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중·일 식공간에서의 取食文化 비교

        이유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3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8 No.3

        Korea, China and Japan are countries located in Northeast Asia territory sharing similar natural environment. Countries are also using rice as a main diet material accompanied with vegetables, marine products and bean or fermented bean food. Yet, at the same time each country's food culture appeared as to be unique in food space due to their diverse food materials from different natural,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 This research is probing a way to recover subjective food culture and accomplish food environment which appropriates to modern globalized era by developing simple and economical repast tools meeting public s needs and distributing unique repast tools becomes Korean food culture and can be used in the life pattern of modernized nuclear families.

      • KCI등재

        초본(草本)에 그려진 선(線)에 대한 소고 - 이당 김은호의 미인도 초본을 중심으로 -

        이유주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3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4 No.76

        In the artistic process, an artist's ideas or subjects often take shape in forms like initial sketches, drawings, and other types of drafts. These sketches are a collection of 'lines' formed by both conscious and unconscious energies, linking the artist's mental and physical states. While initial sketches are usually seen as preliminary to final works, this study focuses on their intrinsic artistic qualities, particularly the 'lines' they comprise. This research paper delves into a detaile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23 initial sketches made for Beauty Paintings by the artist Eunho Kim. The sketches are compared and analyzed against their corresponding finalized works of art. The principal aim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various elements that construct these lines, as well as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thematic, formal, and relational aspects that these lines embody.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seeks to explore and articulate the inherent value and meaning that initial sketches possess as stand alone pieces of art.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lines in initial sketches' engage in organic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demonstrating their own vitality and presence even before being overtaken by the coloring process. These lines are reflective of the artist's unique viewpoint, creativity, and insights, along with spatiotemporal considerations. They endow the initial sketches with an independent artistic value, corroborating the notion that these lines are not merely decorative or structural elements but are critical in establishing the sketches as stand alone artistic creations.

      • KCI등재

        예술장르 전환과정에서의 창의성 연구 문학텍스트의 - 시각예술화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이유주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2 No.69

        문학이 미술로, 미술이 음악 등으로 전환되는 예술 의 타자지향성은 하나의 예술이 다른 예술로 변화하 려는 특성을 가리킨다. 특히 문학과 미술은 각 장르 들이 가지는 이미지성을 비롯한 친연성을 통해 상호 교류하며 오랫동안 그 관계성을 이어왔다. 시화나 글 그림 또는 삽화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대표적인 사 례이다. 그러나 본고에서 살펴보는 예술장르의 전환 사례는 단순히 이와 같은 직접적인 재현으로서의 전 환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고에서 다루는 예술장르의 전환은,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하되 시각예술가의 적 극적인 창발이 발현되어 오롯한 시각예술작품으로 재 창작된 경우를 말한다. 문학작품과 시각예술은 소위 예술로서 각기 나름의 표상과 고유성, 상징성과 독창성 등을 기본적으로 가 지고 있다. 각 작품 자체가 이미 개별 예술로서의 특 성을 원천적으로 가지고 있는데, 문학작품을 창작의 원형으로 삼고 이에 기반해 시각예술로 거듭나게 하 는 재창작의 과정에는 중첩된 창작이 행해진다. 문학 작품에 내재된 가치와 상징과 메시지 등이 시각예술가에 의해 물질 형태의 산물로 재창작되는 가운데 이 루어지는 접속, 소환, 융합, 변이, 전이, 재맥락과 재배 치 등은‘연결과 확장’, ‘이해와 해석’ 그리고 ‘창 발과 추상’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술에 예술이 더 해지는, 즉 문학콘텐츠가 시각예술로 재창작되는 과 정에서 발생하고, 드러나고, 작동하는 다양한 요소와 각 지점은 두 예술가의 만남이 유발하는 창의의 보고 (寶庫)일 수 있다. 이 과정을 고찰하여 창의적인 전 시기획을 위한 시사를 도출해 보겠다. The other orientation of art, in which literature is converted into art and art into music, points to the characteristic where one art tries to transform into another form of art. Literature and art have especially preserved their connections by mutually exchanging the naturalistic forms that comes from the various imagery in each respective fields. Illustrated poetry and illustrations within literature are the most generally well-known forms that represent this transition. However, the ‘transformation of art genre’ that is referenced in this study is not referring to this simplistically direct recreation of a description into an art form. It is referring to the visualization that is created by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visual artists with the subject at hand being a work of literature. As supposed forms of art, literary works and visual arts fundamentally posses their own type of model, uniqueness, symbolism, and originality. Each work itself already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ective art style, but with creation being the base of literary works, you can say that creation and superposition is carried out within the process of recreating these works into visual forms. The contact, citation, fusion, transition, change, recontextualization, reorganization, etc. that happens during the process of a visual artist recreating the inherent properties of a work of literature, like its attributes, values, symbols, message, etc, into a physical form goes through connection and expansio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nd development and abstraction. The various elements and respective points that occurs and are revealed during the process of art being added to art, in other words, literary content being recreated into a visual form, can be seen as the repository of creativity caused by the meeting of two artists. By examining this process, I will try to derive implications for creative exhibition planning.

      • KCI등재후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다구(茶具)에 관한 문헌적 고찰

        이유주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9 No.4

        The Korean tea culture appeared in a variety of ceremonies of the royal household. It was a method of religion for scholars and Buddhist monks, and sometimes it also was a refinement, too. In addition, it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household medicine for the common people. As mentioned above, the Korean tea culture has a deep-rooted effect o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spiritual aspect, art, learning, to the practical life. Recently the tea culture has been rapidly coming into vogue. So the tea culture has been recognised not only to be an index of the cultural level, but also to be an important cultural phenomenon. Besides, It came to be a major role as a reception method by which we can communicate with quests from all over the world. Because preferred tea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s and to the regions, tea utensils have been changed along with the tea culture. The present Korean tea culture has a tendency to go to the somewhat different way from the traditional one.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let us apprehend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hold the national pride. In addition, the value of the Tea should be assessed more properly, and our own Tea that is unique, simple, and natural, should be settled in the our culture.

      • KCI등재후보

        한식당 상차림의 사례연구

        이유주,한경수 한국외식경영학회 2004 외식경영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accomplished through a case study. According to the case study, it would be analyze that examined service ways, chair-shapes, menus, structural elements(tableware, linen, chopsticks & cutlery, water glasses, and small instruments) & styles of table coordination in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From the results, the study would like to suggest the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table coordination. Basically, the case study was practised as contents analysis of each restaurants' table coordination. 13 of korean traditional restaurants were selected by menupan.com. The results as followed. most of restaurants would served as time series service style, used chair type. In case of table ware, they used westernized tableware like china ware.

      • KCI등재

        레스토랑의 이미지유형별 색채특성 분석

        이유주,한경수 한국외식경영학회 2007 외식경영연구 Vol.10 No.1

        The study was intended to assess the factors outlining interior images of restaurants, to collect and analyze a characteristic of the color, and to stud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olor images for restaurants.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In order to analyze a latest characteristic of the color for restaurants from the World Restaurants and Bars 1.2.3.4. A characteristic of the color for the respective image was evaluated by I.R.I Hue & Tone 898. We carried out a survey of 33 color experts (professionals and graduate students of dining atmosphere display and color professionals) to find out objective color images. We picked adjectives with regard to images of visual environment to classify color images for restaurants. We performed a factor analysis on the basis of relationship among the selected color adjectives to investigate a system of classification. In results, 6 standard adjectives were extracted; ‘courtesy’, ‘mild’, ‘dynamic’, ‘high-tech’, ‘natural’, and ‘simple’. We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valuate a characteristic of the color for the respective image. In results, an image was generally influenced by the hue, and particularly by the hue of ceiling and wall. GGY was common hue for the ceiling. GYY for the wall, Y for the floor and the table, and GYBG for the chair was frequent.

      • KCI등재

        중국인 관광객의 부산 관광지 이미지에 대한 선호도 분석

        이유주,유형숙,손경희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부산관광공사가 홈페이지를 통해 홍보하는 부산의 대표 관광지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함으로써 관광객들의 우선 선호 관광지 및 비선호 관광지를 파악하여 부산 관광지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하는 기초조사를 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30명을 대상으로 부산 관광지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Q방법론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중국인 관광객들이 선호한 관광지로는 부산이 한국을 대표하는 해양관광도시라는 이미지와 부합하여 바다와 관련된 관광지 선호도가 높았다. 특히 광안대교는 중국인 관광객에게 높게 선호되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그 외, 해운대해수욕장·달맞이길, 태종대, 오륙도·이기대 스카이워크 등 상대적으로 홍보가 잘되어 있고 접근성이 좋은 지역이 선호되었다. 반면에 송도, 송정해수욕장은 빼어난 경관을 자랑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중국인 관광객들에게는 홍보 부족과 교통수단의 불편 등으로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인 관광객에게는 자연(바다), 음식, 쇼핑, 문화체험이 선호되고 있음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크루즈투어, 카지노 등 오락체험형이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stressed fact-finding to supplement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ourist attractions in Busan. To this end, the study has conducted a preference survey on top tourist spots that are being promoted by the Busan Tourism Organization (BTO) via its homepage and found out Chinese tourists' preferred locations. The study has reviewed the state of Chinese tourists in Korea and previous research and data on Chinese tourist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30 Chinese tourists in Busan. Q methodology was employed for the surve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Chinese tourists showed their preference for tourist spots related to the sea. It is assumed that they are dominated by the image of Busan, a marine city representing Korea. The survey also showed nature (sea), food, shopping, and cultural tourism were commonly favored by Chinese tourists.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material for Busan Metropolitan City to initiate policies for inbound tourism.

      • KCI등재후보

        서양 식공간의 문화사적 고찰 : 테이블 데코레이션의 구성요소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structural elements of Table Decoration

        이유주,한경수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19 No.1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recogni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 about western table decoration. For the study, the documentary study would be accomplished, the range of time was during Renaissance, Baroque, Rococo, and Neo-classic period, and the range of space was among Italy, France, and England. Styles for example architectures, interior designs, arts, and sculptures represented their own period, and had great influences on eating habits, and the eating habits would be influent on kitchen utensils. As a results of th fact, the structural elements and decoration of table would be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riods of time. Today's food cultural trends consisted of consumption, taste, sense, and consumers' demands become diversified, so the paper would be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new designs proper for our own modem sense that cope with modem feeling.

      • KCI등재

        단일염기서열변이 검출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STADEN 패키지 기반 Sanger sequencing 결과 데이터 분석

        이유주,이재봉,임규상,김봉기,김지혁,박희복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 2023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지 Vol.7 No.1

        Nucleotide sequences of DNA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organisms and in particula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that shows a difference of one nucleotide sequence in DNA may also affect phenotypic vari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read the nucleotide sequence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in domestic animals Sanger sequencing one of the DNA sequencing methods is widely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genome wide association study results and the analysis of DNA sequences from small to medium scale experiments Several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to analyze such sequencing results of which STADEN package https staden sourceforge net one of the open source programs is a useful program with a great cost advantage compared to other commercialized programs that require a license fee Through the Pregap4 and Gap4 programs installed in the STADEN package sequence assembly and editing analysis with user provided settings can be conducted to detect SNPs The nucleotide sequence results of the STADEN package can be used for follow up bioinformatic analyses such as database query or phylogenetic analysis 1. STADEN 패키지는 라이선스 비용을 들이지 않고 Sanger sequencing 결과의 분석 및 편집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으로 https://staden.sourceforge.net/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2. STADEN 패키지의 Pregap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설정에 맞게 DNA sequence assembly를 수행할 수 있으며, Gap4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NA sequence assembly의 결과를 분석, 편집하여 SNP를 검출할 수 있다.

      • 학술논문발표 : 기관(Trachea)에서 발생한 선양 낭성 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의 세포학적 소견 -증례 보고-

        이유주,한상협,김윤영,황윤신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4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

        배 경 : 선양 낭성 암종은 타액선에서 주로 발생하나 기도 및 후두, 유방, 자궁경부, 바르톨린스 선에서도 발생되어지고 드물게 기관과 기관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이다. 서서히 성장하는 암이지만 국소적으로 신경 및 림프절로의 침윤성 성장을 보이기도 한다. 폐에서 발생한 선양 낭성 암종의 조직학적 소견과 임상상은 잘 기술되어 있으나 세포학적 소견은 드물다. 본 기관에서 기관지 찰과물과 세척물(B.brushing, washing specimen)에서 세포학적 검사 상 진단된 선양 낭성 암종 1예를 경험하여 세포학적 소견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 Trachea부터 carina 직상방에 이르는 10cm 에 걸쳐 내강을 전체적으로 폐쇄시키고 있는 mass가 관찰되어 기관지솔질, 기관지 세척물,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채취된 세포 검사 물은 액상세포검사법에 의해 슬라이드 제작되었고 현미경하에서 검경되었다. 결 과 : 기관지 솔질법과 세척액의 세포학적 검사 상 기관지 상피세포가 다수 관찰되었고 염증성 배경에 다양한 크기의 세포군집이 관찰되었다. 세포군집을 이루는 개개의 세포의 크기는 작고 일정한 모양이었으며, 핵은 원형 혹은 난원형으로 미세한 과립상의 염색질을 갖고 있었고 세포질의 양은 빈약하였다. 세포의 다형성이나 이형성은 미약하였고 유사분열은 관찰되지 않았다. 몇몇 세포군집에서 약간의 호염기성을 지닌 무정형의 물질로 채워진 낭성 공간을 관찰 할 수 있었는데 비교적 경계는 잘 지어져 있었다. 일부에서 삼차원적인 구형의 형태를 보이는 세포군집도 있었다. 이와 같은 세포학적 특징을 미루어 선양 낭성 암종을 의심하였다. 기관지 내시경 생검의 조직 소견으로는 점막은 섬모성 위중층 원주상피로 피복되어있었고 종괴는 상피하부에서 관찰되었는데 기저양 세포들로 구성된 채모양(cribriform) 구조와 관상 (tubular) 구조가 함께 존재하였다. 조직 검사시 직경 0.2cm 의 조직이었기에 주위조직의 침윤상은 관찰하기 어려웠다. 위와 같은 결과로 인해 본원에 내원한 50세 여자환자의 기관에서 발생한 신생물은 기관지 찰과물과 세척물 검체에서 원발성 선양 낭성 암종(Primary adenoid cystic carcinoma)을 진단하였고 조직검사를 통해 선양 낭포암종 (Adenoid cystic carcinoma)을 확진하였다. 고 찰 : 선양 낭성 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은 타액선, 구강, 후두, 유방, 자궁경부, 식도 등에서 관찰되는 암종으로 기관, 세기관지의 점막하선에서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어 전체 원발성 폐종양의 1% 미만을 차지한다. 폐에 발생한 선양 낭성 암종은 재발이나 전이를 잘하며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7.6년 정도이다. 조직학적으로 관상(tubular), 채모양(cribriform), 고형(solid)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있으며 신경주위 침범이 흔히 관찰된다. 관상은 소주상이라고 하며 1,2층의 세포가 관 및 소주모양으로 배열되는 형태이고, 사상은 난원형 혹은 원형으로 상피가 증식하며 내부에 점액성 물질을 함유하며, 고형은 비교적 균일한 모양의 상피가 판상 증식을 하는 형이다. 조직학적 유형과 예후의 상관도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Foot 및 Frazell은 차이가 없다고 하며, 그 외의 다른 여러 저자들은 고형이 더 침습적이고 재발 및 전이가 흔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세포학적으로는 기관지 점막에 궤양이 동반되거나 생검에 의한 점막 손상시 객담이나 기관지 분비물의 검사상 종양세포를 관찰 할 수 있다. 선양 낭성 암종 세포의 크기는 일정하고 핵은 구형이며 미세한 과립상의 염색질을 지니는데, 때로는 이러한 종양세포들은 약간 호염기성을 지닌 무정형의 물질로 채워진 낭성 공간을 형성하거나 삼차원적인 구형의 형태를 보인다고 한다. 세포학적 소견상 종양세포의 크기가 작고 일정한 점에서 기저세포 증식증, 소세포암종, 유암종 등과 감별해야하는데 소세포 암종의 경우에는 거칠은 핵염색질과 핵의 Molding 등으로 감별할 수 있다. 유암종과의 감별은 세포학적 소견상 유암종 세포가 보다 다형성이 심하며 과염색상의 핵과 거칠며 불규칙하게 분포된 염색질을 지닌다는 점으로 감별할 수 있다고 한다. 본원에서 진단된 기관(Trachea)에서 발생한 선양 낭성 암종은 아직 세포학적으로 드문 증례이어서 앞으로 더 많은 자료와 증례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며 수술 전 세침 흡인 생검(FNAB)을 통한 조직학적 유형의 결정은 적절한 수술 방법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