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상공인협동조합 교육프로그램개발 연구:교과과정개발을 중심으로

        이유빈,이상훈,안정아 한국협동조합학회 2022 韓國協同組合硏究 Vol.40 No.2

        Cooperatives in Korea have achieved rapid quantitative growth every year since the Framework Act on Cooperatives was enacted in 2012, and the proportion of business cooperatives among them is the high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for small business cooperatives based on the collaborative structure of small business owners. The modified ADDIE model was applied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irst,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small business cooperative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t FGI,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actual workers in small business cooperatives using the develop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courses for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were structured with each course composed of a co-operative course and a management course. In addition, small business cooperativ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ranchise, freelancer, and strategic alliance, allowing trainees to choose as intensive study of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t is recommended to use an education coordinator and a modular programming method. This study actively reflected the opinions of field officials of small business co-operatives who are the subjects of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se efforts will lead to the sustainability of small business co-operative in the future. 한국의 협동조합은 2012년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이후 매년 급격한 양적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그중 사업자협동조합의 비중이 가장 높다.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들의 협업구조를 바탕으로 하는 소상공인협동조합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수정된 ADDIE모형 4단계를 적용하였다. 전문가FGI를 기반으로 교과항목선정을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실제 소상공인협동조합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협동조합 설립 전과 설립 후 과정을 구성하였고 각 과정들은 모두 협동조합 과목과 경영과목으로 구성된다. 또한 소상공인협동조합을 프랜차이즈, 프리랜서, 전략적 제휴 3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교육수요자가 속해있는 협동조합의 성격에 따라 심화교육 선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은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전담코디네이터와 모듈형 프로그램 설계 방식을 추가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의 직접수요자인 소상공인협동조합 현장관계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였으며, 이런 노력이 현장의 교육효과성으로 축적되어 향후 소상공인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으로 귀결되기를 기대한다.

      • 미디어에 재현되는 청년세대의 음주문화 : 타자 지향적 소비와 자기 통치 수단으로서의 소비를 중심으로

        이유빈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6

        술이 가진 사회적인 함의는 그 나라의 오랜 전통이나 사회적 분위기를 나타내기도 하며, 이는 정치·경제학적인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오늘날의 청년세대는 기성세대와 다른 술 소비 모습 을 보이고 있는데, 술을 통해 청년세대의 소비문화를 보는 것은, 가치 있는 새로운 시도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개인의 책임이 강화된 과도한 경쟁의 신자유주의 배경 에서 청년세대의 소비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는 기성세대와 다른 청년세대의 술 소비 문화를 발견하여 세대 간의 가치관 차이와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새롭게 나타나는 술과 관련한 새로운 문화현상 등을 파악하였다. 이는 세대 갈등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소통의 기초자 료로 활용되거나, 기업의 청년세대에 대한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연구 결 과를 도출해내려는 연구목적에 있다. 연구의 마지막 목적은 미디어가 재현하는 음주문화를 알 아보는 것이다. 오늘날 유행하는 이른바 술방과 미디어가 재현하는 음주 장면은 시대적 현상 을 반영한 것인지, 아니면 미디어가 술에 대한 관대한 사회적 분위기를 생성하고 있고, 이를 조장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은 청년세대의 술과 소비에 관련한 직간접적 경험을 듣기 위해, 1990년대생인 청년 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1990년대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2000 년생 이후 출생자, 즉 만 22세 이하는 2019년 확산된 코로나와 거리두기 정책으로 인해 음주 문화에 관한 경험이 다른 청년세대들과 다르며, 경제적인 상황도 다르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 다. 또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답변을 학술논문, 드라마와 예능에 등장하는 청년세대의 음주 장면과 텍스트 비교·분석하여 술과 관련한 사회적 분위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오늘날 증가한 미디어 속 음주 장면과 술방은 청년세대의 음주문화를 재현하고 있었 다. 하지만 같은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담배와 달리 미디어는 술을 힐링과 같은 긍정적인 이미지로 재현하고 있었으며, 오늘날 주류업계의 적극적인 마케팅, 술과 관련하여 미미한 정 부 규제는 담배와 대조되는 모습이다. 이는 신자유주의 시대에서 청년세대에게 술이라는 수단 을 일종의 힐링과 자기 통치의 기능으로서 정당화하고 있다고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청년세 대의 술 소비는 여타 다른 소비들과 같이 SNS를 중심으로 자신을 드러내려는 타자지향적인 모습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들의 음주문화는 식문화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으며, 술을 마시 는 행위보다 사진을 찍기 위해 외적 배경에 주목하는 감성 소비, 지인이 방문한 곳이나, SNS 상에서 유명한 곳을 방문하고 싶어 하는 일종의 모방 소비 등이 술 소비에서도 나타났다. 과거와 달라진 청년세대의 음주문화로는 관계 중심적인 술자리가 대부분이었던 기성세대와 달 리 대중화된 혼술이 있다. 이는 코로나로 인한 거리두기 정책과, 1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사 회적 분위기로 점점 더 개인화되어가는 청년세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거 상위 게급 만 소비한다는 이미지를 가졌던 와인과 위스키는 펍(Pub)이나 바(Bar)의 등장으로 대중화되었으며, 술 한잔을 마시더라도 개인의 취향과 개성이 나타남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술자리 에서 끝까지 마시면서 같이 취하는 게 미덕이었던 과거 분위기와 달리 오늘날의 청년세대는 조직 내 술자리를 포함하여 술 권유를 받거나 강압적인 회식 참여는 거의 없어지는 추세라고 진술한다. 이는 과거 한국의 지양해야 할 권유와 같은 술자리 문화가 기성세대를 포함하여 개 선되어야 하는 문화라는 시민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High Proportion of Adult Cases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ype 1 Diabetes Mellitus Population in Korea: A Nationwide Study

        이유빈,한경도,김봉성,진상만,이승은,전지은,안지연,김규리,김재현 대한당뇨병학회 201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43 No.1

        Background: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in all age groups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T1DM in Korea were estimated. Methods: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T1DM between 2007 and 2013 were calculated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datasets of claim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individuals with T1DM between 2009 and 2013 were determined using the database of NHIS preventive health checkups. Results: The prevalence of T1DM in Korea between 2007 and 2013 was 0.041% to 0.047%. The annual incidence rate of T1DM in Korea in 2007 to 2013 was 2.73 to 5.02/100,000 people. Although the incidence rate of typical T1DM was highest in teenagers, it remained steady in adults over 30 years of age. In contrast, the incidence rate of atypical T1DM in 2013 was higher in people aged 40 years or older than in younger age groups. Age- and sex-adjuste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T1DM was 51.65% to 55.06% between 2009 and 2013. Conclusion: T1DM may be more common in Korean adults than previously believed. Metabolic syndrome may be a frequent finding in individuals with T1DM in Korea.

      • KCI등재

        삼각함수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이해 층위 분석

        이유빈,조정수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수학교육논문집 Vol.33 No.3

        본 연구는 삼각함수와 관련된 과제를 통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함수 개념 이해 정도를 Hitt(1998)의 층위 분석을 통해살펴보았다. 우선 학생들의 함수 이해 정도를 층위 분석을 통해 단계를 구분한 후 이해 관점을 과정과 대상 관점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학생들의 함수 개념 이해의 정도 층위는 3단계에서 불완전성을 보였다. 그리고 함수의 이해의 관점은 그래프 해석에서 과정 관점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대수적 표상의 조작이 중요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삼각함수를 다양한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와 함께 문제 해결과 그에 따른 표상 체계 사이의 일관성이 유지되는 함수 개념 이해 층위 5단계에 도달할 수 있는수업모델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using the tasks related trigonometric functions, the degree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concept was examined through the level of Hitt(1998). First, the degree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 was classified by level, then the concept understanding was reclassified by the process or the object. As a result, high school students’ concept understanding showed incompleteness in three stage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proces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graph is the main perspective, and the operation of algebraic representation is regarded as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seems necessary to study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can understand trigonometric functions from various perspectives. It seems necessary to study a lesson model that can reach function concept’s understanding level 5 that maintains consistency between problem solving and representation system.

      • KCI등재

        소아 야뇨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외 임상연구 동향 - 2000년 이후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

        이유빈,정아람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20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34 No.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발표된 야뇨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들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 및 한의학적 치료의 효과와 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방법: 국내외 데이터베이스인 OASIS, KISS, NDSL, RISS, Cochrane, CINAHL, Embase, Pubmed에서 검색하였고, 2000년 이후로 2019년 10월까지 출판된 임상연구만을 포함하였다. 선택된 연구들에 대한 출판 연도, 연구 유형, 야뇨의 유형, 인구통계학적 정보, 유병 기간, 치료 방법 및 내용, 추적 기간, 평가 지표 및 결과 그리고 부작용을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총 38편의 연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 38편에서 야뇨증에 쓰인 한의학적 치료 방법으로는 침 치료가 가장 많았으며, 한약 치료, 전기 자극 치료, 뜸 치료, 혈위 지압 치료, 첩부 요법 순이었다. 침 치료에는 삼음교 (SP6)와 관원 (CV4)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한약 치료에선 축천환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약재는 익지인과 산약이 가장 높은 사용 빈도를 보였다. 치료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한의학적 치료시 총유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평가 지표에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가 보고되었다. 한의학적 치료군에서 발생한 부작용은 모두 침 치료나 천자가 시행된 상황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소아 야뇨증의 전반적인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외의 임상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한의학적 치료의 유효성과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하지만 소아 야뇨증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의 유효성과 안정성이 입증되기 위해선 향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by analyzing the recently published clinical studie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Methods: The literatures were searched from OASIS, KISS, NDSL, RISS, Cochrane, CINAHL, Embase, Pubmed, and only clinical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October 2019 were included. The publication year, study type, type of enuresis, demographic information of participants, duration of illness, intervention type and details, follow-up period, outcome measurements and adverse events of se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38 studies were selected. In the selected studies, acupunctur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reatment for nocturnal enuresis, followed by herbal medicine, electrical stimulation treatment, moxibustion, acupressure and plaster therapy. The most commonly used acupoints for acupuncture were SP6 and CV4, and the most used herbal medicine was Chukcheonwhan, while Alpiniae Fructus (益智仁) and Dioscoreae Rhizoma (山藥) were the most used herbal materials. Most of the studies showed that the total effective rate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was high. All the adverse events occurred in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group were caused by acupuncture or puncture. Conclusions : This study analyzed clinical studie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nocturnal enuresis in children, identified the research trends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he Korean medicine treatment.

      • KCI등재

        Prevalence of the Rotator Cuff Tear Increases With Weakness in Hemiplegic Shoulder

        이유빈,심재승,김기원,백소라,정세희,김원,한태륜 대한재활의학회 2013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7 No.4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or cuff tear (RCT) and the muscle strength in hemiplegic side, and the effects of paralysis on the affected shoulders in hemiplegic patients.Methods A cross-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performed in a university hospital was presented. The study enrolled 55 participants with hemiplegia of diverse degree of motor paresis, excluding those with bilateral lesions, history of major trauma or other co-exis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shoulder. The main outcome measurements were muscle strength of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based on Medical Research Council scale), RCTs of the bilateral shoulders (by ultrasonography), and presence of shoulder pain, subluxation of the glenohumeral joint, passive range of motions, and subacromial spurs.Results Comparing each side of the shoulders, the prevalence of shoulder pain and supraspinatus muscle tear was higher (p<0.0001, p=0.007), and the range of motion was restricted (p<0.0001, p<0.0001, p<0.0001, p<0.0001) in the affected side. There was a significant trend toward higher prevalence of RCT and shoulder subluxation in the weaker shoulder (p=0.019, p<0.0001). In a multivariate analysis, Manual Muscle Test grade of less than three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RCT (p=0.025).Conclusion RCT in hemiplegia had a linear trend with muscle weakness in the affected side and the degree of weakness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the occurrence of RCT. In addition, shoulder pain,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s, and RCT were more frequent on the hemiplegic side of the shoulders. It is the first study to reveal a linear trend between RCT and upper extremity weakness and will provide physicians an insight to the management of RCTs in hemiplegic patients.

      • KCI등재

        온톨로지 기반의 기록물 검색 시스템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안

        이유빈,이해영 한국기록관리학회 2017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7 No.1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users can freely search records and archives without the involvement of archivists. However, existing records retrieval systems show only partial search results, which do not consider the users’ inten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semantic web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and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ICA) is working to develop RIC (Records In Context), a new archival description standard, which reflects the trend. The conceptual model for archival description and its ontology of RIC are the basis for implementing semantic-based retrieval.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viewpoint of the users on how the records retrieval based on meaning should be designed and provided.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hree cases of systems, which are built as semantic web technology, and conducted interviews of the users for the evaluation of the systems based on user experience. This study proposes the kind of interface that can be implemented for the ontology-based record retrieval system. 정보기술의 발달로 이용자들은 아키비스트의 개입 없이 자유롭게 기록을 검색할 수 있게 되었지만, 기존의 기록물 검색 시스템은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는 단편적인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시맨틱 웹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ICA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새로운 기록물 기술 표준인 RIC(Record In Context)을 개발하고 있다. RIC의 개념모델과 온톨로지는 시맨틱 검색을 구현하는 기반이 되기 때문에, 이것이 실제로 어떻게 이용자들에게 서비스될 수 있을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기록물 검색 시스템이 어떤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을지 제안해보았다. 시맨틱 웹 기술을 기반으로 한 검색 시스템의 사례 3가지를 선정해 이용자들의 인터뷰를 통한 사용경험 평가를 진행하였고, 여기에서 얻은 시사점을 기반으로 하여 기록물 검색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4가지 측면으로 구성하여 제안하였다.

      • 온실 난방용 히팅케이블의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이유빈,이창원 한국화재감식학회 2018 한국화재감식학회 학회지 Vol.9 No.2

        In this paper, a number of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on heating cables, the most effective way to save on greenhouse heating cost, to analyze the risk of fire, and to propose fire prevention measures. A field survey of heating cable manufacturing companie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heating mechanism. it has studied the fire vulnerability through structural analysis using stereomicroscope and x-ray machine, and through experiments in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It observed the possibility of overheating due to some product defects, and the possibility of fire caused by deterioration through experiments with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using excessive heat shields. In addition, it concluded that the possibility of inadvertent ignition by the contractor and the users was sufficiently high due to the fire experiments that reproduced unstable elements detected at the fire scene, such as cutting, twisting, pressing, over-winding the heating c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