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나님 나라 관점으로 바라본 “차별화된 복의 선언” 으로써의 팔복에 대한 이해

        이우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5 복음과 실천신학 Vol.34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하나님 나라의 신학에 기초한 팔복의 메시지를 연구하는데 있다. 특히 이 논문은 사탄의 지배하에 있는 세상나라의 복과는 대조를 이루는 차별화된 복으로써 팔복을 다루게 될 것이다. 확신하건데 본 연구는 팔복의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현대 설교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데도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예수께서 무리를 보시고 산에 올라가 앉으시니 제자들이 나아온지라”(마5:1)라는 구절로 시작하는 팔복은 예수님을 새로운 모세임을 암시하고 있다. 새로운 모세로서 예수님은 율법을 성취하러 오셨다. 율법이 온 인류에게가 아니라 이스라엘에게만 주어진 것처럼, 산상 수훈의 팔복의 메시지도 모든 민족에게 부여된 명령이 아니라 하나님의 백성을 위한 은혜로운 메시지로 주어진 것이다. 팔복의 메시지는 구원 받기 위한 조건으로서 복종되어야 하는 율법이 아니다. 또한 그것은 단지 왕국의 은혜로운 축복에 대한 직설법의 선포 없이 주어진 명령법으로서 윤리적인 호소를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것은 선물로 주어진 복음의 메시지를 받아들인 사람들을 위한 복의 말씀인 것이다. 그래서 팔복의 첫 번째 말씀이 심령이 가난한 사람의 복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은 의미심장하다고 할 수 있다. 레온 모리스가 적절히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팔복의 설교가 명령들이 아니라 복의 메시지들로 시작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예수님은 그의 제자들에게 위대한 요구를 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들은 은혜의 문맥에서 이해되어져야만 한다.“ 만일 모리스의 말이 사실이라면, 산상 수훈 안에 팔복의 메시지는 은혜에 기초한 하나님 백성의 제자도를 위한 말씀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로빙크의 표현에 따르면, 하나님의 백성은 ”대조사회“로서의 교회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대조사회로서의 교회는 사람들로 하여금 세상적인 복을 추구하도록 꾀는 거짓된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추구해야만 한다. 팔복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바람직한 설교를 위한 방향성과 방법론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갖게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가 팔복의 메시지를 설교할 때, 반문화적 방식(countercultural way)으로 전해야 한다고 역설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message of the beatitudes based on the theology of the kingdom of God. In particular, this article will deal with the beatitudes as a differentiated blessing of the kingdom of God in contrast with the blessing of worldly kingdom under the stan's reign. I can say with confidence that this study will not only help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beatitudes properly but also will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of modern preaching. The beatitudes starting from the phrase in that "Now when Jesus saw the crowds, he went up on a mountainside" (5:1)is to imply that Jesus is like a new Moses. As a new Moses, Jesus came to fulfill the law. Just as the law was given not to the entire world, but only to Israel, so the beatitudes in the Sermon on the mount is not a obligation to be imposed on the all nations, but is a gracious word for the people of God. The message of beatitudes is not law to be obeyed as entrance requirements for salvation. Also, it is not ethical exhortations as merely 'the imperative' without considering indicative pronouncements of gracious kingdom blessings. It is, rather, blessing for those who are accepted the message of the gospel given as a gift. So,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 first blessing of the beatitudes is for those who are the poor in spirit. As Leon Morris explains rightly,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ermon begins with beatitudes rather than imperatives. Jesus will go on to make great demands on his followers, but these demands are to be understood in a context of grace." If it is true, the beatitudes in Sermon on the mount is considered as the message for discipleship of the people of God based on the grace. According to Lohfink's expression, the people of God mean, in other words, the church as "contrast society." The church as contrast society should pursuits the kingdom of God in the midst of a false world which induces people to desire worldly blessings. This understanding about the beatitudes is closely related to the direction and methodology for sound sermon, In this study, that's why the author says that message of the beatitude should preach in the countercultural way.

      • KCI등재

        삶을 변화시키는 요한계시록 설교를 위한 고찰 : 목회자, 신학자, 시인으로의 설교자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이우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41 No.-

        본 논문의 목적은 목회자, 신학자, 그리고 시인으로 설교자 요한의 정체성 을 중심으로 삶을 변화시키는 요한계시록 설교의 길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묵시: 현실을 새롭게 하는 영성”(IVP)라는 유진 피터슨의 책 에서 요한을 설교자로 이해하는 그의 통찰력에 크게 빚지고 있다. 유진 피터슨 의 전제에 따르면, 요한은 요한계시록을 목사와 신학자 그리고 시인의 관점과 마인드로 글을 쓰고 있다고 이해한다. 그의 핵심적인 강조점이 드러나는 진술 은“요한계시록을 예배의 행위 안에서 통합이 이뤄지는 목사, 시인, 그리고 신 학자의 사역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유진피터슨이 제시하는 통찰력과 함께, 필자는 거기서 얻은 착상을 발전시 켜 삶을 변화시키는 요한계시록 설교의 방향성을 연결 지어 보고자 한다. 설교 자가 목회자로서 이해되어질 때, 삶을 변화시키는 설교를 위한 요한계시록의 저술의도(목적) 적절히 논의 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설교자가 신학자로 이해되어질 때, 삶을 변화시키는 하나님 나라 의 승리로서의 요한계시록의 설교를 통해 선포되어져야 하는 내용들이 언급되 어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설교자가 시인으로 이해되어질 때, 우리는 요한계시록 장르에 기초한 삶을 변화시키는 설교를 위해 어떤 설교 형식을 선 택해야만 하는지를 논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way of life-changing sermon on the book of revelation especially focused on the identity of the preacher as a pastor, theologian, and poet. For this, I am greatly indebted to Eugene H. Peterson for suggesting an insight to make understand John as the preacher. According to the premise of Eugene H. Peterson’s book, “Reversed Thunder: The Revelation of John and the Praying Imagination”, the preacher, John wrote Revelation in the view and mind of a pastor, theologian, and poet. His cental statement is to see revelation as “the work of pastor, poet, and theologian achieved a synthesis in the act of worship.” In the light of Eugene Peterson’ insight. I tries to connect it with the direction for life-changing preaching of the book of Revelation. When a preacher is understood as a pastor, the intention of writing(purpose) of Revelation for life-changing sermon can appropriately be discussed. Next, when a preacher is understood as a theologian, the contents (as the victory of the kingdom of God) of Revelation to be proclaimed for lifechanging sermon can be mentioned. Finally, when a preacher is understood as a poet, it can be discussed that we should choose any sermon form for life-changing sermon based on the genre of Revelation.

      • KCI등재

        국내 죽음불안 연구 동향 : 상담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이우제,조은이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국내 상담 관련 분야에서 죽음불안을 주제로 수행된 경험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 및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43편의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유형의 세부내용에 대해 추가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죽음불안을 주제로 한 연구는 주로 노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연구방법에 있어 양적 연구의 빈도가 높았다. 연구유형은 변인 간 관계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고, 특히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고자 한 연구가 많았다. 그 외 일부 프로그램 연구와 척도개발 연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도출한 주요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및 상담 관련 개입의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This review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empirical studies on death anxiety in Korea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43 articles published from 1999 to 2019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year of publication, participants, methodology, and research typ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es on the elderly accounted for nearly half of the total. When it comes to the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es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In terms of research types, most of studies explored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focusing on identif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death anxiety. In addition, some program studies and scale development studies were identified.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Sidney Greidanus의 설교 연구 : 현대 설교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을 중심으로

        이우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3 복음과 실천신학 Vol.27 No.-

        This paper aims to suggest alternative ways for the recovery and renewal of biblical preaching through the homiletical theory of Sidney Greidanus. The reason that we pay attention to his homiletical view is not only that he diagnoses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preaching, but also that he suggests the right direction for biblical preaching. In this paper, only three significant issues are explored. First, as an alternative way to overcome the limit of “subjective/atomistic sermon”, he suggests textualthematic sermon. His textual-thematic sermon is similar to “big-idea sermon” or “expository preaching” of Haddon Robinson. Second, as another alternative way to overcome the limit of “anthropocentric/ moralistic sermon”, he suggests “theocentric-Christocentric preaching. Through the distinctive theory, which is often called redemptivehistorical homiletics, he ties to use hermeneutic opinion in order to emphasizes the organic unity of the history of redemption climaxing in the person, ministry and teaching of Jesus Christ. Third, as the last alternative way to overcome the limit of “dualistic application sermon”, he suggests relevant preaching. It is not a thoughtful evaluation to criticize his homiletic theory as losing the importance of application for contemporary audience. To him, “to preach the word means, therefore, to pass on the church here and now the message of the Bible.”

      • KCI등재

        コーパスに見られる「ほんとう」の使用

        이우제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62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actual usage of“HONTO”, which acts as a noun, adverb, and predicate in a sentence, It reconsiders the problems of current dictionary descriptions, and how to reflect the actual usage of “HONTO”.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usage of the "HONTO" in the "Balanced Modern Japanese Written Language Balanced Corpus" in order to clarify how well it matches the description in the dictionary. First, the usage frequency is as follows. 本当(24962 hits)>ほんと(4098 hits)>ほんとう(3565 hits)>ホント(2389 hits)>ホントウ(13 hits) As a result, in terms of frequency of use, the Chinese characters 本当 were used the most overwhelmingly, followed by the Hiragana notation and the Katakana notation.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word class (or part-of-speech) of “HONTO”, it is revealed that the word is used in each part-of-speech environment that is predetermined.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semantic usages of ほんと, it was found that there are a wider range of semantic usages than those explained in the dictionar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usage of ほんとう is influenc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event and the following event. Finally, it is possible to know how the writers on the Web reflect their feelings and emotions by notation. 이번 연구에서는 사전의 의미기술의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일본어의 「ほんとう」를 대상으로 사전의 의미 기술과 실제 사용의 얼마나 일 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본어 모어화자의 실제 언어사용의 실태를 알 수 있는 「均衡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 BCCWJ )」로부터 「ほんとう」의 사용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사용빈도, 공기어, 콜로케이션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용 빈도 면에서는 한자표기의 「本当」가 압도적을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히라가나 표기, 가타가나의 표기의 순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품사별로 어떠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품사별 사용 환경이 각각 정해진 일정한 틀로 사용되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의미용법에 대해서는 「ほんと」를 중심으로 조사해 본 결과 의미용법은 사전에서 설명되어진 것 보다 다양한 용법 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ほんとう」의 용법은 전건과 후건과의 관계, 즉 사용상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 로 Web 상에서 글을 쓰는 사람이 자신의 기분이나 감정을 어떻게 표기에 의해 반영하는지, 그 실테를 알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백색의 인식에 관한 한․일대조연구

        이우제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5 일본언어문화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how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native speakers of Japanese recognize “white color” and how it is reflected in the compounding word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s are clear. In the compounding words Korean prefix“Hin-”means white, light color, unadded, meaningless. In the compounding words Japanese prefix “Siro- · Sira-” means white, light color, unprocessed, unadded, nearly transparent, shiny, pur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