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예술치료 중심의 연구동향 분석

        이에스더,김나경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3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Korea concerning studies on arts therapy for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Of a total of 219 studies of which 121 were academic papers and 98 were theses studying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over the past decade from 2009 to 2018, 26 studies on arts therapy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The detailed categories of arts therapy were divided into the six categories of music therapy, visual arts therapy, dance/movement therapy, film therapy, theater therapy and literature therapy. The studies were analyzed into a total of seven types based on study fields (subjects), year, study participants, areas within arts therapy, the design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analysis realted to implementation of programs, use of media in arts therapy and study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arts therapy studies were actively conducted from 2013 to 2015, with middle school students being the most frequent subjects. In terms of detailed study fields, visual arts therapy was the most frequent. in terms of study design and methodology, a mixed study method with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was most often used. In terms of programs, those lasting 30-90 minutes for more than 10 sessions, with two sessions per week, were the most common. In terms of media used in arts therapy, mandala, collage, singing, musical instrument playing and spontaneous music playing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 supplement materia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o reduce major sympto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tudy on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there needs to be more varied therapies used in addition to visual arts therapy. Second, a wide variety of designs, methodology and media need to be applied. Third,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conducted on children. Lastly, in terms of the detailed field of arts therapy, therapy media in each field should become more vari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예술치료 중심의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학교폭력 가해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된 학술지 121편과 학위논문 98편의 총 219편 중에서, 예술치료 연구 총 26편을 추출하여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예술치료의 세부영역은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영화치료, 연극치료, 문학치료의 6개로 분류하여 연구영역(교과)비교, 연도, 연구대상, 예술치료 내 영역, 연구 설계 및 방법, 프로그램 실행 관련 분석, 예술치료 활용매체 및 연구결과 분석에 의한 전체 7개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내용분석의 결과 예술치료 연구는 2013년에서 2015년에 걸쳐 활발히 연구되었으며, 중학생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세부영역에서는 미술치료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연구 설계 및 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한 혼합연구방법을 주로 사용되었다. 예술치료 프로그램 실행 관련 분석에서는 주 2회 10회기 이상 30~90분 이상의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예술치료 매체에서는 만다라, 꼴라주,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즉흥연주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그 결과 대상군의 특성을 파악하는 보조 자료로써 활용가능성과 주요증상 감소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최종결과는 첫째,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연구에서 예술치료 내 미술치료 외 다른 영역의 치료가 보다 더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둘째, 다양한 연구 설계 및 방법과 매체의 적용이 필요하며, 셋째, 학교폭력 대상군의 연구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아질 필요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예술치료 세부 영역 내에서는 각 분야의 치료 매체 활용이 더 다양화되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비주얼 사운드이미지 결합을 통한 작품 연구

        이에스더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9 음악교육공학 Vol.- No.9

        This study explains the combination of visual sound and image design through short animation (THE CUBE) from the beginning stages of the movie until the end. We discussed the interaction of visual image and sound design. From each individual field which has time limited (sound) and express limited (visual). The study try to interact both limitations so we can focus on this study. The synergies gained from merging these two limitations is what we are looking at trying to understand. Directly sound design helps animation come along smoothly and indirectly it gives us a sense of emotional satisfaction to see both come together as a single entity. So on this view of study, sound design which is a little behind in making animation and visual images through the creation of arts and in depth study open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of the two fields in visual arts and sound design motivates interaction and I hope it can be used as a guide for people in related field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ain the interaction principl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visual sound and image through the short animation movie "THE CUBE". The in depth study took place from the beginning stages of the movie until the end. We discussed in detail the interaction of visual sound and image design. From each individual field which has time limited (sound) and express limited (visual), we try to interact both limitations so we can focus on this study. The synergies gained from merging these two limitations is what we are trying to understand. Directly, sound design helps animation come along smoothly while indirectly it gives us a sense of emotional satisfaction to see both come together as a single entity. So on this view of study, sound design which is a little behind in making animation and visual images through the creation of arts and in depth study open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of the two fields in visual arts and sound design motivates interaction and I hope it can be used as a guide for people in related fields This study explains the combination of visual sound and image design through short animation (THE CUBE) from the beginning stages of the movie until the end. We discussed the interaction of visual image and sound design. From each individual field which has time limited (sound) and express limited (visual). The study try to interact both limitations so we can focus on this study. The synergies gained from merging these two limitations is what we are looking at trying to understand. Directly sound design helps animation come along smoothly and indirectly it gives us a sense of emotional satisfaction to see both come together as a single entity. So on this view of study, sound design which is a little behind in making animation and visual images through the creation of arts and in depth study open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of the two fields in visual arts and sound design motivates interaction and I hope it can be used as a guide for people in related field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ain the interaction principl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visual sound and image through the short animation movie "THE CUBE". The in depth study took place from the beginning stages of the movie until the end. We discussed in detail the interaction of visual sound and image design. From each individual field which has time limited (sound) and express limited (visual), we try to interact both limitations so we can focus on this study. The synergies gained from merging these two limitations is what we are trying to understand. Directly, sound design helps animation come along smoothly while indirectly it gives us a sense of emotional satisfaction to see both come together as a single entity. So on this view of study, sound design which is a little behind in making animation and visual images through the creation of arts and in depth study open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of the two fields in visual arts and sound design motivates interaction and I hope it can be used as a guide for people in related fields

      • KCI등재

        영상매체 활용 음악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이에스더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1

        음악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은 학생들의 흥미나 호기심을 고려하고, 그들의 인지정서 발달과 관심 수준에도 적합해야 하며, 이를 통해 요구되는 통합적 성취수준에도 도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영상매체는 그 자체가 종합예술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들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하기에 좋은 활용매체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음악교실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음악 교실수업에서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에 입각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영상매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기분화가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

        이에스더,정혜정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3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ttachment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on sexual assertiveness, along with the regulation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with parents and sexual assertiveness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73 male and 164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Results: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xual assertiveness across genders, in the level of attachment with parents across parental marital status, and in the level of some subfactors of self-differentiation across gend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emotional fusion i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sexual assertivenes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with their parents and sexual assertiveness is mediated by self-differentiation. Conclus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results would suggest some useful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with college students to improve their sexual health.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기분화가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또 부․모애착과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의 안전한 성행동의 보호요인이 되는 성적 자기주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대학생 남자 173명, 여자 164명이며 자기보고식 설문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차이 검증에서 성적 자기주장과 자기분화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부․모 애착은 부․모의 결혼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부․모애착과 자기분화가 성적 자기주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정서적 융합이 성적 자기주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마지막으로 부․모애착과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에서 자기분화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능력 향상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등 상담현장에서 필요한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창의적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예술교육의 의미와 당위성에 대한 논의

        이에스더 한국문화교육학회 2013 문화예술교육연구 Vol.8 No.3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for the creative 'STEAM' is evident in the research on the meaning of the letter 'A' (Arts) in 'STEAM', which currently has been evolving. The essence of arts makes a basis for each education field,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which is the core competence in arts education, can be completed more by combining with STEAM. In order for exchanging meaningful knowledge among the students in classes, and combining ideas and experiences, and searching for new meanings to happen, the walls between different educational fields should be broken and a combined form of instruction between the fields should be started. In order for 'STEAM' education through truly creative thinking to happen, a preparation of 'a place of immersion' that will develop students' artistic creativity as well as aesthetic level by providing an active standard of arts education is 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need and duty of arts education for 'STEAM'. Since artistic experience and learning plays a large role in the educational procedure for creative and well-rounded human cultivation, STEAM education based on arts education that actively utilizes comprehensive arts area as well as science, skills, technology, mathematics for cultivating creative futuristic talent is necessary. 창의적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예술교육은 현재 융합교육에서 변화하고 있는 ‘A(Arts, 예술)’의 의미에 관한 탐구로 그 중요성을 살펴 볼 수 있다. 예술의 본질이 각 학문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예술교육의 핵심역량인 창의성 개발은 융합인재교육과 통합될 때 더욱 완성될 수 있다. 교실에서의 학생 상호간에 의미 있는 지식의 교환, 아이디어와 경험의 연결, 새로운 의미 탐구 등의 학습활동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교과 간의 벽이 허물어지고 이들 간 통합형태의 수업이 전개되어야 한다. 진정한 의미의 창의적인 사고를 통한 융합인재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수준의 예술교육이 제공되어 학생들의 예술적 창의성과 함께 심미적인 수준까지 개발할 수 있는‘몰입의 장’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예술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예술적 경험과 학습은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간육성을 위한 교육의 과정에서도 그 기저를 이루고 있으므로 창의적인 미래형 융합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과학, 기술, 테크놀로지, 수학기반 뿐만 아니라 포괄적인 예술분야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된 예술교육 기반 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영상매체 활용 예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성과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에스더,박미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3 음악교육공학 Vol.- No.16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n arts therapy program using visual media to improve diminished adolescents' sociality and self-esteem in school. The visual media arts therapy program was administered to 14-15 year-old-middle school students in S school district within D metropolitan city from April 7 to June 30. During this time, the students took twelve 80-minute sessions. The research utilized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and analyzed the dependent variables from the pretest and posttest based on a .05 significance level using a paired t-test SPSS 16.0.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the effect size was analyzed within subjects based on dependent variables used by Cohen(1988). Two measurement methods were used for this research; K-SSRS(Korean Social Skill Rating System) (Moon 2003), was adapted from Gresham and Elliot (1990), and the Self-Respect Scale used by Yoon(1996), originally developed by Rosenberg(1965). Two major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 research. First, the diminished adolescents in school lif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arts therapy using visual media. They also showed higher scores on assertion and self-control. Increases in cooperation and empathy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ct. The significant results from cooperation and empathy stemmed from the adolescents’ interaction rather than assertion and self-control indicating an individual’s internal responses. Second, the diminished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fter the program in the self-esteem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sociality and self-esteem as well. A number of suggestions can be made for follow-up research; First, future studies needs to develop the program and apply it to the population with an added control group. Second, the next research should be done in different areas geographically. In addition, more resources and systematic procedures are required to access this arts therapy program using visual media. Lastly, we need to modify the current program and at the same time develop advanced programs to maintain a positive effect in arts therapy using visual media.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 arts therapy using visual media had in significantly improving diminished adolescents' sociality and self-esteem.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성과 자존감 향상을 위한 영상매체 활용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D광역시 S구에 위치한 M중학교에 재학 중인 만 14-15세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2년 4월 7일부터 6월 30일까지 매 회기 약 80분씩 12회기로 실시하였다. 단일집단 반복측정 실험설계를 사용하였으며, 12회기까지 참가한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각 종속변인별로 치료 전과 종결 직후의 점수와 치료 전과 추후 점수들에 대하여 SPSS 16.0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대응표본 t검증을 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의미도 검증에 비해 표본의 크기에 영향을 덜 받는 Cohen(1988)의 피험자 내 효과 크기(effect size)를 각 종속변인별로 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청소년은 영상매체 활용 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사회성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부적응 청소년은 영상매체 활용 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자존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영상매체 활용 예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성과 자존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대학 내 뮤지컬학과의 개설현황 연구

        이에스더,이정선 한국음악교육학회 2011 음악교육연구 Vol.40 No.1

        현대 공연예술의 종류와 장르는 매우 다양하다. 수많은 공연예술 분야 중에서 오늘날 대중으로부터 많은 관심과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이 뮤지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뮤지컬이 우리나라 대학 내에서 교과목 또는 전공분야로 시작된 지 10여년이 지났다. 현재 약 30여 대학 및 8개 대학원에 뮤지컬학과(전공)가 개설되어 있으며 그 숫자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초창기 각 대학의 고유한 환경과 여건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신설된 뮤지컬학과는 많은 변화를 거치면서 현재의 학과 또는 전공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뮤지컬이라는 새로운 학문분야가 우리나라 대학 내에서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현재 학과(전공)로 정착되어진 현황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