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발 조현병, 만성 조현병과 건강 대조군의 뇌활과 분계섬유줄 연결성 비교

        이아리라,윤미림,육기환,최태규,이강수,방민지,이상혁,Lee, Arira,Yun, Mirim,Yook, Ki Hwan,Choi, Tai Kiu,Lee, Kang Soo,Bang, Minji,Lee, Sang-Hyuk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9 생물정신의학 Vol.26 No.1

        Objectives Disrupted integrities of the fornix and stria terminalis have been suggested in schizophrenia.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fornix and stria terminalis comparing first-episode schizophrenia (FESZ), chronic schizophrenia (CS), and healthy controls (HCs) with the application of diffusion-tensor imaging (DTI) techniqu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nectivity of the fornix and stria terminalis among FESZ, CS, and HCs. Methods We included the 44 FESZ patients, 39 CS patients and 20 HCs in this study. Voxel-wis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ractional anisotropy (FA) data was performed using Tract-Based Spatial Statistics to analyze the connectivity of fornix and stria terminalis. In addition, th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Positive Symptoms (SAPS) and the Scale for the Assessment of Negative Symptoms (SANS) were used to evaluate clinical symptom severitie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ESZ, CS, and HCs in age, sex, education years. The SAPS and SANS scores of the schizophrenia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A values of the right fornix cres/stria terminalis in the C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FESZ and H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 values of the right fornix cres/stria terminalis between the FESZ and the HCs.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 values of the right fornix cres/stria terminalies of the the FESZ group and positive, negative symptom scales, and FA values of the right fornix cres/stria terminalis of the CS group and negative symptom scales.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FA values of the fornix and stria terminalis in the CS were lower than in the FESZ and the H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ornix and stria terminalis can play a role in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Thus current study can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 3차 Ball 곡선을 이용한 자유 형태 곡면 근사 방법

        이아리,심재홍,Lee, A-Ri,Sim, Jae-H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4

        A general curve and surface is a basic method to generate Free-form object using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blending function. In typical method, there is an overhead of calculating to present Free-form object with the line segments and interpolation algorithm, In this paper, for resolving this problem efficiently, it will propose the flexible Free-form curves/surfaces using Ball curve shape-preserving property. This method includes Geometric Continuity that is needed to design Free-form Surface of high degree consisted with many curves. Also, when lots of data are reduced using Geometric Property of Free-form curves, the shape-preserving property of resulting object can be maintained, then it can represent any Free-form object with less calculating .

      • KCI등재후보

        Real Time Linux System Design

        이아리,홍선학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14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0 No.2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object scanning with nxtOSEK which is an open sourceplatform. nxtOSEK consists of device driver of leJOS NXJ C/Assembly source code,TOPPERS/ATK(Automotive real time Kernel) and TOPPERS/JSP Real-Time OperatingSystem source code that includes ARM7 specific porting part, and glue code make themwork together. nxtOSEK can provide ANSI C by using GCC tool chain and C API and applyfor real-time multi tasking features. We experimented the 3D scanning with ultra sonic andlaser sensor which are made directly by laser module diode and experimented themeasurement of scanning the object by knowing x, y, and z coordinates for every points thatit scans. In this paper, the laser module is the dimension of 6 × 10[mm] requiring5volts/5[mm], and used the laser light of wavelength in the 650[nm] range. For detecting theobject, we used the beacon detection algorithm and as the laser light swept the objects, thephotodiode monitored the ambient light at interval of 10[ms] which is called a real time. Wecommunicated the 3D scanning platform via bluetooth protocol with host platform and theresults are displayed via DPlot graphic tool. And therefore we enhanced the functionality ofthe 3D scanner for identifying the image scanning with laser sensor modules compared toultra sonic sensor.

      • KCI등재

        Ball 곡선을 이용한 Fitting 알고리즘

        이아리,최영근,Lee, A-Ri,Choe, Yeong-Ge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8 No.1

        In this paper, we present a curve fitting algorithm using a ball curve. Our algorithm is recursive method for fitting, which is not a traditional ball function but a continuous ball function. This algorithm consists of two steps. The first step, it is classified the composite corner points to joint points until selected from the given data set. The second step is the curve fitting. The basis function for curve fitting is use to ball function. Also, the weighted least square method, to insert knot, is an efficient method for piecewise ball curve and ball curve segments will be smoothly connected at all composit points. The proposed algorithm will be applied to represent image representation, like fonts, digital image and GIS.

      • KCI등재

        1920~ 1930년대 남의집살이 여성들의 처우와 인권 문제 - ‘어멈’과 ‘오모니’에서 ‘식모’로-

        이아리 한국근현대사학회 2024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108 No.-

        이 논문에서는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가사노동자의 노동권과 인권 논의에 대한 역사적 기원으로서, 일제하 ‘남의집살이’ 여성들의 대우 개선 논의와처우 및 인권 문제를 돌아보고자 한다. 한국 사회에 가사노동자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일제 식민지기였으며, 이들에 대한 대우 문제 제기는 한일 민족 간 고용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 즉, 1920년대 중반부터 조선인 여성들이 ‘오모니’라 불리며 일본인집 가사노동자로 일하는 경우가 눈에 띄게 나타났고, 당시 조선인 언론들은 이들이 일본인집까지 일하러 가지 않도록 조선인 가정에서 대우를 더 잘해줄 것을 촉구하게되었다. 그런데 이 논의와 상관없이 조선인 여성들은 임금과 노동 조건에서 조선인집보다 나은 일본인집에서 일하기를 훨씬 선호하였고, 결국 남의집살이 여성들에 대한 대우 문제 제기는 현실과 동떨어진 지식인들만의 담론에 머물렀다. 다만 한 가지 성과를 남겼다면, 그것은 신분적 하대의 어감이 강했던 ‘어멈’ 등의 호칭을 ‘식모’로 교체한 것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대우 문제 논의의큰 한계는 당대 남의집살이 여성의 다수를 차지하던 미성년 여아들에 대해서는별로 주목하지 않음으로써 이들을 둘러싼 실질적인 인권 문제들은 간과했다는데에 있었다. 결국 최근에 가사노동자에 대한 정책 논의의 장에 당사자들의 목소리나 실제처우에 대한 이해가 부재하다는 것은 이미 1세기 전의 과오를 다시금 되풀이하는 것이다. 또, 한국 사회는 타민족을 위해 가사서비스노동을 제공한 역사가있음에도 현재에 와서 외국인 가사노동자의 인권은 돌아보지 않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scussion on labor rights and human rights for domestic workers during colonial period, revisioning it as the origin of the discussion that has garnered recent attention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domestic workers first emerged, it brought up social issues regarding their treatment with the angle of labor right, abreast of increasing number of the Korean workers employed in Japanese households. From the mid-1920s onwards, it became noticeable that Korean women, often referred to as 'Omoni', were employed as domestic workers in Japanese households. At that time, Korean media portrayed such inter-racial employment negatively, urging Korean families to treat domestic workers well to keep them in Korean homes. However, despite these negative perceptions, predominantly expressed by Korean male intellectuals in the media, the reality revealed a preference among Korean women for working in Japanese homes due to higher wages and better working conditions. While discourse on the treatment of domestic workers persisted, leading to the replacement of titles like 'Eomum' with 'Sikmo (housekeeper)' to mitigate lower-class connotations, there was a critical limitation in the discussion. Specifically, it largely overlooked the plight of underage girls, who comprised the majority of domestic workers at the time, neglecting the genuine human rights issues surrounding them. Such historical traces echoes with the general flaw in discussions on domestic services in today, which still fail to adequately represent the voices of workers in the real world in policy discussions and to protect their rights.

      • KCI등재

        20세기 초 행랑살이의 확산과 쇠퇴의 맥락

        이아리 한국역사민속학회 2023 역사민속학 Vol.- No.65

        이 연구는 한국의 역사적 주거 형태 중 하나였던 행랑살이를 본격적인 연구 대상으로 다루어, 20세기 초 행랑살이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그동안 양반집에 기거하는 행랑살이에 대해서는 신분제가 존재하던 전통사회의 유제가 지속된 것이라고 여길 뿐 선행연구에서 역사적 고찰이 이루어진 바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행랑살이가 크게 확산되고 다시 쇠퇴하는 역동적인 변화를 보인 것은 20세기 초에 와서였으므로 이는 근대 초기의 구체적인 사회 조건의 변화로 설명되어야 하는 역사적 현상이었다. 행랑은 본래 노비들이 살던 공간이었으나 신분제가 해체되어 가면서 노비를 대신하여 행랑채를 채우기 시작한 것은 경제적 몰락으로 이촌향도를 감행한 지방민들이었다. 행랑살이의 확산은 서울에서 거주할 공간을 찾으려는 이들의 노력에 따른 것이었다. 행랑살이와 주인집간의 관계에 경제적 속성이 강해지면서 전근대적 하대를 지속하려는 주인집과 이를 거부하는 행랑살이 사이에 갈등이 빚어지기도 하였다. 성행했던 행랑살이의 쇠퇴를 이끈 실질적인 요인은 서울의 주거비 폭등과 저렴한 비용으로 행랑살이를 대체할 수 있는 여성 단신(單身) 가사노동자의 등장이었다. 결국 행랑살이는 20세기 들어서며 주택난과 도시화 속에서 확산되었다가, 다시 그 주택난과 도시화가 더욱 심화되자 쇠퇴하였던 것이다. 행랑살이의 노동 양상을 살펴보면, 주인집 집안일을 도맡아 하는 것은 행랑어멈이고 행랑아범은 집 밖에서 다른 돈벌이를 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는 조선 후기 이래로 가내노동의 핵심이었던 부신급수(負薪汲水)가 가장 먼저 상품화, 외주화 되면서 가내노동이 여성에게 집중된 결과였다.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날품팔이나 하던 행랑아범의 모습은 1910~1920년 행랑폐지론이 나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집값의 폭등으로 행랑살이가 쫓겨나면서 산업화가 미진한 조선의 도시에서 행랑어멈은 가사노동자로 전환될 수 있었으나, 행랑아범은 다만 도시 실업군으로 집적하였다. 이 논문은 이상의 내용을 통해 기존 연구들이 도시의 근대적 변화를 전근대 사회와 단절적인 것으로만 그렸던 것, 근대적 노동 분화의 성별화된 양상을 보지 못했던 것을 보완할 수 있는 역사상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Haeng-lang-sal-i(行廊살이, resident servant)” in Korean history, focusing on its transform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previous scholarship, it was seen as a continuation of traditional social custom, little historical analysis has been done on this aspect. However, considering that there were dynamic shifts in the widespread and subsequent decline of “Haeng-lang-sal-i” in the early 20th century, it should be explained by the historical changes of specific social conditions in the beginning of the modern period. Originally, referring to spaces for slave servants, “Haeng-lang” began to be occupied by those from rural areas after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class system. The spread of “Haeng-lang-sal-i” was driven by the efforts of people seeking residential spaces in Seoul. As the economic attributes between “Haeng-lang-sal-i” and the house owners became stronger, conflicts arose between the owners, who sought to maintain pre-modern treatment of servants, and “Haeng-lang-sal-i” who resisted such treatment. It was common for female resident servants to take care of household chores in the owner's house, while male residents sought additional income outside the house. Subsequently, as housing costs in Seoul skyrocketed, and it became more advantageous to hire maids, landlords sought to evict “Haeng-lang-sal-i” families. In the unindustrialized cities of colonial Korea, “Haeng-lang” women could transform to domestic service workers, while “Haeng-lang” men could not evade being left unemployed. In conclusion, this paper offers a new historical perspective that complements previous studies that depicted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cities as a discontinuity from pre-modern society and failed to recognize the gendered aspects of modern labor differentiation.

      • KCI등재

        일제하 직업소개사업의 이원적 구조와 영리 소개업 통제의 한계

        이아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7 No.-

        이 논문은 일제하 직업소개사업의 이원적 구조를 인지한 시각에서 식민지 조선의 영리 소개업 통제에 어떤 문제가 있었으며, 이 같은 맥락에서 1940년 「조선직업소개령」이 어떤 의미인지 검토하였다. 당시 직업소개사업은 공익 표방의 무료 직업소개사업과 중개 수수료를 받는 영리 소개업으로 대별되었다. 그중 특히 후자가 예기,창기,작부 등 접객업 소개의 비중이 커서 여성 인신매매와 결부될 위험이 컸고 법적 통제가 필요하였다. 이 글에서 새롭게 밝힌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 조선은 일본 본국과 비교하여 영리 소개업에 대한 법적 통제가 미흡했는데, 일본에서는 영리 소개업의 점진적 폐지를 염두에 두고 공영 직업소개소를 보급하기 위해 직업소개법이 도입되었으나, 조선에서는 그러한 입법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무허가 영업의 단속에만 초점을 두었기 때문이었다. 둘째, 미비한 법제 위에서 조선에서는 1920년대부터 영리 소개업과 결부된 인신매매가 성행하게 되었으며, 1930년대 후반 전시 상황에 만주로의 활로가 넓어지고 유흥업이 팽창하면서 더욱 조직화, 전문화, 대규모화되었다. 셋째, 1940년 1월 공포된 「조선직업소개령」은 조선 최초의 직업소개법령으로서 그 시행규칙에 소개업 내 겸업 금지 등 인신매매 방지 조항들을 가지고 있었으나 접객업 소개에 적용하지 않는다는 유보 조항이 있는 등 영리 소개업을 통제하는 데 결함이 있었다. 그 결과 소개업을 통한 사기와 인신매매는 전시체제기에도 지속되었고, 국영화된 직업소개소가 전시 노동 동원과 상관이 없는 ‘식모 알선’을 중단하면서 하층민 여성들은 중요한 생계자구책도 잃어버린 채 사기적 소개업과 인신매매의 온상에 방치되었다. 이것은 식민지민의 보호를 위한 입법은 도외시한 채 인적 물적 동원에만 골몰하였던 일제 식민 통치의 문제를 여실히 드러낸다.

      • KCI등재

        중국의 정부지원과 경영진의 인센티브가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

        이아리,이사영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6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impact of government subsidies and executive compensation incentives on firm’s R&D investment in China. We collect data of companies listed on Shanghi and Shenzhen stock exchanges from 2016 to 2020 through CSMAR database. Research Methods: Fixed effect model is selected as a panel data model after comparing with pooled regression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Results in Research: Government subsidies, executive salaries and executive share ownership have a positive impact on firm's R&D investments. Research Conclusion: As government subsidies, executive salaries and executive share ownership increase, firm’s R&D investments increase. However, the degree of impact of three factors on firm’s R&D investments is not same. Government subsidies and executive salaries have a strong impact on firm’s R&D investment, while executive share ownership has a little impact on firm’ R&D investments in China Suggestions in Research: Government supports are more needed to induce firm’s R&D investments. 본 연구는 중국의 상해증권거리소와 심천증권거래소의 상장된 A주식기업을 대상으로, 1099기업 5495개의표본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중국 정부보조금과 경영진의 인센티브로서 경영진 급여 및 경영진 주식소유비중이 기업의 R&D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이다. 연구방법으로 패널분석을 사용하였는데 패널 분석모형으로는 ols 통합모형, 고정효과 모형, 확률효과 모형 중 검정을통하여 가장 적합한 모델인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였다. 기업의 R&D에 대한 투자는 시차를 두고 일어날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전기의 정부보조금, 경영진급여, 경영진 주식 소유비중이 당기 기업의 R&D 투자에대한 영향도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결과 중국에서의 기업 R&D 투자는 정부보조금과 경영진 급여 그리고경영진 주식 소유비중에 의해 정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부보조금과 경영진 급여가경영진 주식소유비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기업 R&D 투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