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증이 있는 이분슬개골의 제한적인 외측 지대 유리술 치료

        이승림,한성호,양보규,정선욱,하정현,안영준,정병준,전도환,빈성우,Yi Seung Rim,Hahn Sung Ho,Yang Bo Kyu,Chung Shun Wook,Ha Jung Hyun,Ahn Young Joon,Chung Byung June,Jeon Do Hwan,Bin Sung Wo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3 No.1

        목적: 슬개골 상외측부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의 치료로 시행한 제한적 외측지대 유리술의 단기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 중 제한적인 외측지대 유리술을 시행받은 14명의 환자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전 예에서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22.3세 (20$\~$44세)였고 방사선학적 검사상 이분슬개골은 Saupe 분류상 2형이 3예, 3형이 13예였다. 핵의학적 검사상 이분슬개골 부위에 동위원소 섭취증가의 소견을 보였다. 수술은 관혈적 방법을 이용하여 이분슬개골에 부착된 외측 광근건을 골막하에서 분리하였다. 임상적으로는 통증의 감소 여부와 활동정도, 방사선학적으로 이분슬개골편의 경사도(fragment tilting angle)와 이분슬개골편의 슬개골과의 간격 등을 술전과 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14개월 (12$\~$16개월)이었다. 결과: 제한적 외측지대 유리술 후 이분슬개골 부위의 통증을 호소한 예는 없었으며 임상평가상 전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방사선학적 평가상 이분슬개골편의 경사도와 이분슬개골편과 슬개골과의 간격은 술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감소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통증을 동반한 이분슬개골의 치료에 있어서 제한적인 외측지대 유리술은 보다 덜 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가져와 상기 질환의 치료로서 우수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s of limited vastus lateralis release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 1995 to Jun. 2002, we performed limited lateral retinacular release in 14 patients(16 cases)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All patients were men and mean age was 22.3 years old. The opeative techique was that insertion of the vastus lateralis to the painful patellar fragment is detached subperiosteally. We evaluated the clinical results by degree of pain and level of activity. Also we analyzed the radiologic findings by measuring fragment tilting angle and gap between fragments.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14 months. Results: At final follow up, all of the patients showed pain relief and can be returned to more than recreational sports activity after the operation. On radiologic findings, fragment tilting angle and gap between fragments were reduced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Conclusion: The limited lateral retinacular release for treatment of painful bipartite patella is one of good methods which is less invasive and shows good results in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 전위된 요골두 골절의 보존적 치료의 결과

        이승림,한성호,안영준,유재호,전도환,양보규,Yi, Seung-Rim,Hahn, Sung-Ho,An, Young-Joon,Yoo, Jae-Ho,Jeon, Do-Whan,Yang, Bo-Kyu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sult of conservative treatment in displaced radial head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15 cases of displaced radial head fracture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from April 1992 to May 2002. Follow-up period was more than 1 year. They were all males and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as 20.2($11{\sim}24$)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3.4($12{\sim}15$) months. They were able to do active pronation and supination more than 70 degrees initially, who were applied long arm splint less than 1 week. The functional rating index modified after B.F. Morrey and no further displacement and union state of fragment in simple X-ray were used in follow-up assessment. Results: On the basis of the functional rating index modified after B.F. Morrey that included elements of pain, motion, strength, and stability, the results were 8 excellent, 7 good in patients who were treated conservatively, who had union and no further displacement of fragment in follow-up. Conclusion: We conclude that if they are able to do active pronation and supination more than 70 degrees initially, we take them to do early range of motion exercise after subsiding swelling, which can restrict limitation of range of motion exercise and return to the living early. 목적: 전위된 요골두 골절 환자에 있어 보존적 치료 후의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4월부터 2002년 5월까지 본원에서 보존적 치료 받은 전위된 요골두 골절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보존적 치료를 받은 15명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20.2($11{\sim}24$)세였으며 평균 추시기간은 13.4($12{\sim}15$)개월이었다. 그리고 내원 당시에 능동적 회내전 및 회외전이 70도 이상 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일주일 정도의 장상지 석고 부목 고정술 후 조기 주관절 운동을 시행 하였다. 치료 결과는 변형된 Morrey 등의 기능적 평가와 방사선적 평가로 더 이상의 골편 전위 유무와 유합 소견으로 평가 하였다. 결과: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전위된 요골두 골절 환자 15명 중 변형된 Morrey 등의 기능적 평가에서 우수 8명, 양호 7명의 결과를 보였으며, 조기 주관절 운동을 시행하더라도 골편의 더 이상의 전위나 불유합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전위된 요골두 골절 치료시 내원 당시에 회내전 및 회외전의 정도를 확인하고 능동적으로 70도 이상의 소견이 보이는 환자에 대해 부종이 감소된 이후에 조기 주관절 운동을 시킴으로써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을 막을 수 있고 일상 생활으로 복귀가 빨라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골성 추지에서 변형된 신전 차단 수기에 의한 치료 결과

        이승림 ( Seung Rim Yi ),한성호 ( Sung Ho Hahn ),양보규 ( Bo Kyu Yang ),안영준 ( Yang Joon Ahn ),유재호 ( Jae Hoo Yoo ),여용범 ( Yong Beom Yeo ),빈성우 ( Sung Woo Bin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골성 추지에서 변형된 신전 차단 수기를 이용한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2월부터 2004년 1월까지 골성 추지로 진단 받고 변형된 신전 차단 수기 (modified extension block technique)를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6명, 1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3개월 이었다. 수술 적응증은 골절편이 원위 지관절면을 1/3 이상 침범했거나 원위 지관절의 아탈구가 있는 경우로 하였다. 결과: 원위 지관절 평균 신전 소실은 2.3˚, 평균 운동 범위는 68.8˚였다. 단순 방사선 촬영상 모든 예에서 골절 유합 소견을 보였다. Crawford 평가 기준에서는 12예(75%)에서 good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합병증으로 술 후 2주 내의 정복 소실이 2예, 운동 시 경미한 통증이 1예 있었다. 결론: 변형된 신전 차단 수기는 수술 방법이 쉽고 간편하며 피부 절개로 인한 합병증이 없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골성 추지의 치료로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of the modified extension block technique for bony mallet finge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6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the modified extension block technique for bony mallet finger from December 2002 to January 2004.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 up was 13 (12~17) months. The indication of operation was the presence of a large bony fragment invading more than 1/3 of the articular surface or the palmar subluxation in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Results: The average extension lag was 2.3˚, and the range of motion of the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was 68.8˚. Radiograph showed bony union state in all cases. By the Crawford`s evaluation criteria, 12 cases (75%) was excellent or goo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3 cases, which were reduction loss within postoperative 2 weeks in 2 cases and mild pain with motion in 1 case. Conclusion: The modified extension block technique is a easy and simple method. It shows a good result without complications from skin incision. So, it seems a useful method for bony mallet finger.

      • KCI등재

        젊은 남성에서 팔씨름에 의해 발생한 상완골 간부 골절

        이승림 ( Seung Rim Yi ),권지은 ( Jieun Kwon ),이예현 ( Ye Hyun Lee ),양보규 ( Bo Kyu Yang ),안영준 ( Young Joon Ahn ),임세혁 ( Se Hyuk Im ),조준희 ( Joon Hee Cho ),박상훈 ( Sang Hoon Park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7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5 No.3

        Humeral shaft fracture sustaining arm wrestling is rare, but occurs intermittently. We treated 15 cases of humeral shaft spiral fractures occurred during arm wrestling for fun since 2007. Average age was 22.47±2.69 years, average body mass index was 22.67±2.06 kg/m<sup>2</sup>. There was no prominent tendency for the fractures to occur at a certain phase of the match. Fractured level and length of each case were measured in the plain radiographs and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reports. Eight cases (53.3%) had an associating medial butterfly fragment, and the time taken until the fracture occurred was longer than that of simple spiral fracture (15.62±9.03 seconds vs. 7.85±2.67 seconds, p=0.048). Fractures were distributed mid to distal one third of humerus, the length of fracture was 7.93±2.69 cm and involved 25.43%±8.24% of humeral length. All cases except one treated surgically using plate and screws and returned their full activities within postoperative 3 months. Although arm wrestling is a simple and joyful sport, participants should be aware of the risks of injury during arm wrestling, especially for the amateur players.

      • KCI등재

        전체 대퇴골에 발생한 골괴사 환자에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이승림(Seung Rim Yi),임세혁(Se Hyuk Im),박상훈(Sang Hoo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3

        무혈성 골괴사는 골조직 및 골수 조직의 허혈성 상태로 인한 괴사로 정의될 수 있으며, 외상성 및 비외상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혈성 골괴사는 대퇴골 골두, 상완골 골두와 같이 장골의 골단 부위에서 주로 발생한다. 기존의 무혈성 골괴사는 대부분 대퇴골 골두에 한정된 증례에 대한 보고 및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근위 대퇴골의 무혈성 괴사의 존재는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이후 생물학적 고정 실패의 원인이 된다. 본 저자들은 대퇴골 골두로부터 대퇴골 경부, 간단부 간부 및 원위부에 이르는 골수강내 부위의 대퇴골 전 영역의 무혈성 골괴사가 관찰된 56세 남자 환자에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2년 추시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vascular necrosis (AVN) is defined as the cellular death of bone and bone marrow components due to the loss of blood supply, and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or non-traumatic events. AVN usually involves the epiphysis of a long bone, such as the femoral and humeral heads, which are susceptible to osteonecrosi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ut they were restricted to investigations of femoral head avascular necrosis. The presence of osteonecrosis in the proximal femur may impair biological fixation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We report a 56-year-old male patient with avascular necrosis located not only at the femoral head, but also in the entire femur, including the medullary cavity, who underwent total hip arthroplasty 2 years earlier along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변형된 장경대 연장술(N형 장경대 연장술)을 이용한 외형 발음성 고관절의 수술적 치료

        이승림 ( Seung Rim Yi ),이상훈 ( Sang Hoon Lee ),노정호 ( Jung Ho No ),박지만 ( Ji Man Park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4

        목적: 장경대에 의한 발음성 고관절 환자를 대상으로 변형된 장경대 연장술 (이하 N형 장경대 연장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새로운 술식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본원에서 수술을 시행 받은 발음성 고관절 환자 44명 58례 중, N형 장경대 연장술을 시행 받고 추시 관찰 기간이 6개월 이상 된 25명 3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례에서 남자였고 평균 연령은 21세였다. 최초 증상의 발현은 내원 전 평균11.5개월(1개월~4년)이었고, 우측에만 발생하여 수술한 경우가 6례, 좌측은 10례였다. 양측에 모두 발생한 9명 중 양측 모두 수술한 경우가 5명 10례, 우측만 수술한 경우가 1명 1례, 좌측만 수술한 경우가 3명 3례였다. 판정은 술 후6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걸림 현상과 동통 없이 일상생활과 운동이 가능한 경우를 성공(Success)으로, 걸림 현상이나 동통 중 하나의 증상이라도 잔존하는 경우를 실패(Fail)로 나누었다. 결과: 수술 중 관찰된 장경대의 후연은 평균 8.9 mm (6~14mm)로 비후되어 있었고 장경대의 절개 시 평균 25mm (20~35mm)의 연장이 이루어졌으며 봉합 후 장경대의 전후면 폭이 좁혀짐을 관찰하였다. 술 후 29례(97%)에서 걸림 현상과 동통이 모두 소실되었고, 재발된 1례는 변연부 연장술이 충분하지 않았던 환자로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후 재발은 없었다. 결론: N형 장경대 연장술은 장경대에 의해 발생되는 발음성 고관절 환자에 있어 우수한 수술적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Modified Z-plasty(N-plasty) was performed on patients with snapping hip syndrome arising from the iliotibial band, whose pain and clicking sensation persisted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 The effectiveness of this new technique was evaluated from an analysis of the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44 patients (58 cases), who still felt pain and reported a clicking sensation during daily life despite hospitalization for at least 2 months from January 1999 to August 2007, this study evaluated a total of 25 patients (30 cases) who underwent N-plasty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6 months. All patients were male with a mean age of 21 years. The initial symptoms developed an average of 11.5 months prior to the hospital visit (range, 1 month to 4 years). The affected side was the right side in 6 cases and the left in 10. Among 9 patients affected bilaterally, 5 patients (10 cases) underwent surgery on both sides, 1(1 case) on the right side, and 3 (3 cases) on the left side. Surgery was defined as being successful when at 6 months after surgery the patient could carry out their daily activities and exercise without a clicking sensation or pain. Failure was defined when either a clicking sensation or pain was present. Results: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iliotibial band was thickened by an average of 8.9 mm (range, 6~14 mm). A tenotomy of the iliotibial band lengthened the band by an average of 25 mm (range, 20~35 mm) and narrowed the width of the iliotibial band anterior to posterior. Twenty-nine cases (97%) had a successful outcome after surgery. Recurrence occurred in 1 case. After additional surgery, the recurrence was found to be due to the insufficient length of the tenotomy. Conclusion: N-plasty performed in external type snapping hip patients is an effective method with a high success rate.

      • KCI등재
      • 외측 원판형 연골 전각부의 전방십자인대 전방부로의 부착변형에 관한 증례보고

        이상훈,이승림,노정호,류호광,Lee, Sang-Hoon,Yi, Seung-Rim,Noh, Jung-Ho,Ryu, Ho-Kwang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2

        The lateral meniscus is morphologically more variable than the medial meniscus. An abnormal lateral meniscus also varies with respect to its size, shape and stability, and such variations can occur in any patient of any age. The most common variant is a discoid lateral meniscus. We recently encountered a patient with a discoid lateral meniscus for which the anterior horn of the meniscus was anomalously inserted into the anterior ACL. The patient was forty five years old women who had persistent pain for three to four years without any specific trauma history. She was preoperatively diagnosed as having discoid lateral meniscus by MRI, and was confirmed the presence of the complex tear and anomalous insertion of the anterior horn of the discoid lateral meniscus into the anterior ACL by arthroscopic examination. Arthroscopic subtotal meniscectomy was performed and the symptoms were improved after surgery. 외측 연골은 형태적으로 내측 연골보다 더 다양하다. 외측 연골의 변이형태는 크기, 형태, 안정성 관점에서 다양하다. 다양한 형태는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형태는 외측 원판형 연골이다. 저자들은 최근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가 전방십자인대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있는 변형이 동반된 외측 원판형 연골을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45세 여자 환자로 특별한 외상력없이 3~4년간 슬관절 동통을 호소하였으며,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외측 원판형 연골로 진단되었다. 관절경 검사상에서는 반월상 연골의 전각부가 전방십자인대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있는 변형이 동반된 완전형 외측 원판형 연골로 복합파열이 동반되어 있어 아전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술 후 증상의 호전이 관찰되었다.

      • KCI등재
      • Suture anchor를 이용하여 건봉합술을 시행한 심수지 굴건 지연파열 - 증례 보고 -

        김성완,이승림,양보규,김우,이성엽,Kim, Seong Wan,Yi, Seung Rim,Yang, Bo Kyu,Kim, Woo,Lee, Sung Yup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심수지 굴건의 견열성 파열은 상대적으로 드문 손상으로 심수지 굴건의 파열은 주로 심수지 굴건이 수축된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원위지절의 신전에 의해 일어나거나 중립위의 수지 말단에 강한 신전력이 작용하여 과신전되어 발생한다. 본 증례는 22세 남자 전투 경찰대원으로 방패를 쥔 상태에서 진압훈련 후 2일째 심수지 굴건의 파열이 발생한 드문 경우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vulsion rupture of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at the distal phalanx is a rare injury. It usually occurs during extension of the DIP joint, while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is contracted, or when strong ex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distal phalanx. We experienced a patient, combat policeman who had avulsion rupture of flexor digitorum profundus tendon at the distal phalanx after 2 days of combat exercise. Here, we would like to report unusual case of rare tendon injury with studies from other pap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