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탁구 경기내용분석 프로그램 개발

        이순호 ( Soon Ho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4

        연구의 목적은 .탁구 전용 경기내용분석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이순호(2007)의 연구를 기반으로 탁구 전용 경기내용 분석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탁구 경기내용분석 프로그램은 실시간으로 영상촬영 혹은 비디오테이프나 디지털 영상자료를 재생하면서 경기내용을 분석하며, 경기내용분석은 1차적 분석과 2차적인 세부내용 분석으로 구분하였다. 1차적 분석은 경기현장에서 경기를 촬영하면서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경기종료와 함께 지도자와 선수에게 피드백을 하는 목적으로 간략한 서비스와 리시브 그리고 득점 의 요인을 분석하는 기능이다. 2차 분석은 1차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랠리의 공격 기술과 구질, 코스 등의 세부요인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보기는 현장에서 지도자와 선수들이 다양한 패턴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공격구질 및 득점 구질의 비율과 분포, 공격과 리시브의 지역 및 코스 등을 제시하였다. 각 득실점 포인트는 서비스에서 득점에 이르는 랠리의 시뮬레이션을 보여주면서 이에 해당되는 동영상 구간도 함께 재생시키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경기전체의 개괄적인 경기결과는 세트별 경기결과, 세트별 득점과 실점의 구질 결과를 제시하였다. 세부적인 경기결과는 기술 구질에 따른 득점조건, 구사한 구질별 공격 지역 그리고 리시브 지역에 따른 공격지역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구질 및 득실점 조건은 서비스 구질 및 득/실점, 리시브 구질 및 득/실점, 3구 혹은 이상 득/실점을 제시하였다. 구질별 공격지역은 서비스 득점 구질별 공격지역, 리시브 득점 구질별 공격지역 그리고 3구 혹은 이상 득실을 제시하였다. 리시브 지역별 공격지역은 리시브 득점지역에 따른 공격지역, 3구 이상 득점의 리시브 지역에 따른 공격지역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경기결과들은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분석프로그램은 통합검색 기능에 의해 동영상 및 경기분석결과 요인을 키워드에 의해 검색하고 찾을 수 있다. 탁구경기분석 프로그램은 2008베이징 올림픽을 대비하여 우리나라 대표선수들의 경쟁상대국가(12개 국가)의 주전선수들을 대상으로 120여개의 경기영상자료를 분석하였고, 이를 현장지원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문제점이나 현장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과 조건을 최적화하도록 연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였고 프로그램을 안정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alysis program for table tennis competitions. This analysis program for table tennis competitions was developed based on Lee`s(2007). To analyze table tennis game contents, photographing, tape and digital data were used. The game content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analysis and the second analysis. In the first part only service, receive and gain condition were analyzed to provide real-time feedback of competition. Specific skills and offense courses were analyzed in the second part.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Viewing had sub-categories which were composed of offense skill, score ration and distribution, area and offense and receive course. Each score and error point were able to be simulated in the movies from serve and score. Also, a Re-paly button to create the section of movie was made. The whole event results were presented in game results, set scores and error points. The specific results of the event were presented in point condition by skill, offense area by skill, and offense area by receive area. Offense skill and point and error condition and error were presented in serve type and point/error, receive type and point/error, third ball or over point/error. Offense area by skill was presented in offense area by serve point skill, offense area by receive point skill, and third ball or over point/error. Offense area by receive area was presented in offense area by receive point area, offense area by receive area in point of third ball or over. These results are able to be converted in text file and be export. Also, the analysis program video can look up movies and game analysis results factor by file search function. This program was practically used to analyze main rival players for the 2008 Olympic Games, and updated for optimization and stabilization to apply it for the practice.

      • SCOPUSKCI등재

        응집제 생산균주의 분리 및 배양특성

        이순호(Soon-Ho Lee),권기석(Gi-Seok Kwon),이재동(Jae-Dong Lee),이문호(Mun-Ho Lee),오희목(Hee-Mock Oh),윤병대(Byung-Dae Yoon),이태호(Tae-H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4 No.5

        응집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토양시료로 부터 분리하여 그 중 응집활성이 높은 1 균주를 선택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조사한 결과, Arcuadendron sp.으로 동정되었으며 본 균주를 Arcuadendron sp. TS-49로 명명하였다. 응집제 생산 최적배지는 3% glucose, 0.2% yeast extract, 0.1% NH₄Cl, 0.05% MnSO₄, 0.01% MgSO₄(pH 7.0)의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배양 온도 및 배양 pH는 30℃, pH 7.0일 때가 최적이었다. 최적 배양조건하에서 4~5일간 배양시 응집제 생산량이 최대에 도달하였으며 배양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응집활성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생분해성이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이때의 응집제 생산량은 screenig 배지에 비해 거의 10배 정도로 향상되었으며, 각종 microorganism과 suspended solid에 대한 응집작용을 검토한 결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모든 공시물질에 응집활성을 나타내었다. 응집제의 조성을 검토하기 위해 각종 정성 test를 행한 결과, 당과 단백질이 검출되어 일종의 glycoprotein임이 확인되었다. Flocculant-producing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s using kaoline as the flocculating test material. One strain that had high flocculating activity among them was selected and identified as Arcuadendron sp. TS-49. The favorable medium for production of the flocculant was 3% glucose, 0.2% yeast extract, 0.1% NH₄C1, 0.01% MgSO₄, and 0.05% MnSO₄ in 150㎖ of T.W. with initial pH 7.0. The optimum culture temperature and pH were 30℃ and pH 7.0, respectively. The flocculant activity was observed most highly after 4 to 5 days of cultivation at the optimum condition and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lapse of cultivation time. The flocculant was produced constituently and seemed to be degraded for reassimilation during cultivation. The productivity achieved by this system was about ten-fold higher than that of screening medium. This bioflocculant flocculated all tested solids, including various microorganisms and organic/inorganic compounds. Several qualitative analyses of the the bioflocculant showed that it was a kind of glycoprotein containing sugars and protein.

      • 농약 PLS 대비 추진사항 및 연착륙 방안

        이순호 ( Soon-ho Lee ),김진숙 ( Jin-sook Kim ),권찬혁 ( Chan-hyeok Kwon ),정경희 ( Kyung-hee J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농약은 병해충 관리를 통하여 농작물의 생산성 향상 및 농작업의 편이성 증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농자재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수확 전 살포일 미준수 및 미등록 농작물에 농약 살포 등 안전사용기준 미준수로 국내 소비자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다. 수입식품의 경우에도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위해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농약들이 지속적으로 검출됨에 따라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국내 및 수입 식품 중 잔류농약 안전관리를 위하여 일본, 유럽연합(EU)에서 시행하고 있는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을 도입 추진 중이다. PLS 제도는 등록(신청)하여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것 이외의 농약이 검출되었을 경우 불검출 수준의 일률기준(0.01 mg/kg)으로 관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PLS 제도를 도입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무분별한 농약의 오·남용 방지 및 안전성이 검토되지 않은 농약을 수입단계부터 원천적으로 차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PLS가 시행되면 잔류허용기준이 없는 경우 현재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및 유사농산물 기준 적용으로 상당수가 유통이 가능하였으나, 향후에는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농약의 경우 0.01mg/kg 이상 검출되면 유통할 수 없게 된다. 한편 PLS 의 도입은 2단계로 나누어서 추진되고 있다. 수입에 의존하는 견과류 및 열대과일류의 경우 2016년12월31일부터 시행되었고, 나머지 농산물의 경우 2019년1월1일부터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PLS 도입으로 인한 생산자·소비자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규·직권 등록 농약의 신속한 기준설정, 환경으로부터의 비의도적 오염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EMRL) 설정, 사용할 농약의 수가 부족한 소면적 재배 농산물에 대한 그룹 잔류허용기준(group MRL) 설정, 수입식품 잔류허용기준 설정(import tolerance)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등의 보완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PLS의 조기 정착을 위하여 농림축산식품부 등 11개 기관과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교육·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주요 농산물 수입국, 수입업체, 농약회사 등에 대한 국내 PLS 제도 설명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등 소통강화에도 노력하고 있다.

      • KCI등재

        체조 도마 스카라트리플 기술 동작에 대한 사례 연구

        이순호(Lee, Soon-Ho),송주호(Song, Joo-Ho),박종철(Park, Jong-Chul) 한국체육과학회 201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1 No.6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technical quality and present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 on the Tsukahara Triple skill in vaulting. For this study, Technique is only possible gymnast were participated in acquiring 3D kinematic data with 3high speed cameras. Direct Linear Transformation(DLT) method was used and the kinematic variables were calculate for Kwon3D 3.1 program an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or the success of the Tsukahara Triple, horizontal velocity must be maintained. pre-flight(Prf) times longer and Horse Contact(HC) time should be reduced. When to contact the board should not be lower the height of the center of mass. Blocking motion in Board Touch Down(BTD) and Horse Touch Down(HTD) height by ensuring that the flight distance can be achieved and hip joint and board contact angle should be maintained. It was important to increase the angular velocity of trunk rotation, while maintaining sufficient rotational state at post flight phase from falling and to increase the angular velocity of trunk twist. High possibility to apply the new technology to flight distance of Tsukahara Triple skill, securing the flight time and the flight height of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was an important factor.

      • KCI등재

        창던지기기 남자 국가대표 중점지원 선수의 기술동작 분석

        이순호 ( Soon Ho Lee ) 한국운동역학회 201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창던지기의 결정적인 경기력의 요인으로서 릴리즈 조건 그리고 릴리즈 요인과 직접적인 상관성을 갖는 왼쪽 무릎각도, 신체중심의 속도 변화 및 감속율 등을 분석하였다. Lee et al.(2009, 2010)은 창던지기 국가대표 중점지원 선수들의 문제점은 크로스스텝 이후 왼발 착지동작과 릴리즈 순간의 동작에서 리듬과 타이밍이 일관성이 부족하다고 평가하였다. 딜리버리 구간의 소요시간은 기술동작의 리듬과 타이밍을 보여주는 기술로서, 딜리버리 구간의 소요 시간은 Sub. B가 Sub. A보다 다소 빠른 결과를 보여 주었다. Sub. B가 다소 빠른 소요시간의 구간은 P1의 구간이었다. Morriss et al.(1997), Jose et al.(2004)의 연구에서, 딜리버리 구간의 소요시간은 0.26∼0.31 s의 범위이고, P1 국면은 0.13∼0.18 s, P2 국면은 평균 0.13 s로 보고하였다. 딜리버리 구간에서의 국면별 그리고 이벤트간의 소요시간은 외국의 우수 선수 역시 다양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선수 개인의 특성의 결과로 해석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선수 자신의 기술동작에 따른 일관성 있는 소요시간을 유지하는 기술이다. Jose et al.(2004)도 P1에서의 소요시간은 0.18∼0.26 s 그리고 P2에서는 0.11∼0.14 s의 큰 범위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Harmon et al. (2000)는 크로스 스텝 이후, 빠른 왼발 착지를 통해 주로에서 얻은 빠른 속도의 에너지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릴리즈 속도는 기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신체에서 상체로 전이되는 파워(power)가 창으로 전달되는 양의 크기이다(Morris et al., 1997). 대상자들의 릴리즈 속도는 외국 우수 선수들과 비교하여 낮은 속도이다. Morris et al.(1997)는 81.06∼89.06 m의 기록에서 평균 29.4 m/s의 릴리즈 속도로 보고하였고, Jose et al.(2004)는 89.50 m의 기록을 보인 선수는 29.7 m/s의 릴리즈 속도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Gunter(1996)은 릴리즈 시 가속의 효과를 채찍의 효과로 표현하였고, 이를 추진력의 전환(impulse transmission) 기술이라고 설명하였다. 창의 자세각은 공격각의 크기에 따라 변화를 준다. 공격 각은 풍속이나 풍향 이외, 창의 순간 가속도가 클수록 작아질 수 있는 요인이기도 하다. 공격각은 공기저항에 의한 창의 양력을 유도하는 변인이며, 각의 범위는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 있다. 외국 우수 선수의 경우 평균 공격각을 Morriss et al.(1997)는 -3.5(±2.81), Jose et al. (2004)는 2.84(±5.31)으로 보고하였고, Bottcher와 Kuhl(1998)은 여자 선수들의 평균 공격각을 0.88(±6.20)으로 보고하였다. 80 m 이상의 기록을 보인 외국 우수 선수의 경우, -8∼12도의 범위를 보여주고 있다(Morriss et al., 1997; Jose et al., 2004). Jose et al.(2004)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이상적인 릴리즈 각을 32∼37도라고 하였고, 공격각은 8도를 넘지 않아야 효과적인 투사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Hubbard와 Alway(1989)은 23∼35 의 릴리즈 속도에서 가장 이상적인 공격각의 범위는 0∼2.5도라고 하였다. Sub. A, B의 공격각은 각각 평균 2.4도, 1.2도로서 외국의 우수 선수들의 릴리즈 각과 유사한 범위로 평가 되나, Sub. B의 공격각은 -3.5∼5.9도의 범위로서 다소 큰 범위로 나타났다. Jose et al.(2004)는 릴리즈 높이를 탄도 효과(ballistic efficiency)라 하였고, 릴리즈 높이는 릴리즈 순간 상체의 휨, 왼쪽 발의 무릎 각도, 릴리즈 각, 공격각, 릴리즈 속도 등과 직접적인 상관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릴리즈 높이는 릴리즈 순간 왼발이 지면에 지지하고 있는 동안의 높이에서 투사의 목표가 된다고 하였다. 이에 1999년 IAAF 세계육상대회에서 Zelezny와 Parivianen의 선수가 1.80∼2.14 m의 릴리즈 높이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Bottcher와 Kuhl(1998)은 1997 여자 투창대회에서 Damaske 선수와 Tilea 선수가 105%Ht, 108%Ht의 릴리즈 높이로 나타났다고 보고 하였다. 이에 Sub. A, B의 릴리즈 높이는 각각 평균 95.9, 89.2%Ht로 나타난 바와 같이, Sub. A는 적정한 높이의 범위로 판단되나 Sub. B의 릴리즈 높이는 외국 우수 선수들에 비해 크게 낮은 결과로 평가된다. Sub. B의 경우 P2 구간에서 상체가 좌측으로 과도하게 회전되면서 상체가 낮게 굽혀지는 원인으로 판단된다. 크로스 스텝에서 오른발이 지면에 착지되는 순간 신체 중심의 속도는 주로의 속도를 기반으로 한다. 신체중심 속도는 왼발이 지면에 착지되면서 급격히 감속이 된다. 속도의 감속은 왼발의 순간적인 착지에 의한 지면의 탄성 에너지를 상체 그리고 창으로 전이시키는 동작이다(Bottcher & Kuhl, 1998). Gunter(2008)는 왼발의 블록킹 동작에 의해 순간적인 허리 토크(twist of the pelvis)가 이루어진 후 신체중심의 감속과 함께 상체분절의 가속과 감속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Morriss et al.(1997)은 1995세계육상선수권대회 창던지기 분석 결과에서 왼발이 착지되는 순간(E3) 신체중심의 속도를 5.0∼6.7 m/s 그리고 E3에서 릴리즈 순간까지의 신체중심의 감속율을 37∼53%lose로 보고하였고, 81 m 이상의 기록으로 나타난 선수들의 감속율은 평균 46%lose로 보고하였다. 이에 반해 Sub. A, B의 E3의 평균 신체중심 속도는 4.99, 5.26 로서 비교적 느린 속도로 평가 된다. Sub. B의 경우 빠른 주로의 속도를 RFD까지 연장시켰으나, 이후 급격한 감속은 RFD 이후 상체가 활처럼 휘어지면서 신체중심을 추진시키는 동작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Sub. A, B의 신체중심속도의 평균 감속율은 각각 57.0%lose, 48.9%lose로서, 세계 우수 선수들에 비해 충분히 감속되지 못하는 결과이며, E1과 E3의 신체중심의 낮은 속도를 감안하면 감속율이 더욱 낮은 결과로 평가된다. 신체중심의 감속율은 왼발 착지의 블록킹의 효과로 평가되고, 순간적인 블록킹의 탄성 에너지는 신체중심에서 허리 그리고 상체로 이어지고, 순간적인 파워는 어깨와 팔 그리고 창으로 전이된다(Gunter, 2008; Harmon, 1992). 릴리즈 구간에서의 왼쪽발의 착지는 강한 탄성에너지를 유도하여 허리와 상체 그리고 창으로 파워를 전이시키는 근원을 제공한다(Gunter, 2008; Jose et al., 2004; Morriss et al., 1997). P2 구간은 왼발 착지와 함께 블록킹을 유도하는 시기로서, 넓은 보폭과 함께 무릎을 곧게 펴는 동작이 중요하다(Robert & Marilyn, 1985; Komi & Mero, 1985; Joseph, 2000). Morriss et al.(1997)은 LFT에서의 평균 무릎각을 147.3도(116∼177도)로 나타났고, LFD에서는 평균 169.5도 그리고 릴리즈 순간은 평균 151.2도로 보고하였다. Jose et al.(2004)는 크로스 스텝 직후 왼발이 지면에 완전히 착지 되면서 “블록킹” 혹은 “지지대”와 같이 표현하면서 신체중심의 감속을 일으키는 순간이라 하였고, 이는 릴리즈 속도를 최대로 유도하는 동작이라고 하였다. 기록이 86 m 이상을 보인 Zelezny, Backley, Henry의 E3 무릎각은 168∼173도로 나타난 바와 같이(Morriss et al., 1997), 박재명 선수와 정상진 선수의 LFD 무릎각은 다소 낮은 결과라 평가 된다. Jose et al.(2004)의 연구에서도 85 m 이상의 기록을 보인 선수들의 LFD 무릎각은 170∼178도로 나타났다. 또한 Zelezny, Backley, Henry선수들은 LFT보다 LFD의 무릎각이 다소 증가된 각의 결과를 보였다(Morriss et al., 1997). Lee et al.(2009, 2010)의 연구에서, 크로스 스텝 직후 오른발 착지에 이어 왼발이 착지되는 과정은 지면반력을 최대로 유도하여 신체중심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시기이며, 이때 왼발을 추진시키는 동작보다는 신체중심을 추진시키는 감각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Lee et al.(2010)는 Sub. B가 낮은 신체중심의 높이와 무릎이 굽혀지는 경향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고 보고하였으나,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REL에서 무릎각이 비교적 작은 각은 릴리즈 시 상체의 과도한 측면 회전으로 무릎이 다소 굽혀지는 동작의 결과라 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왼발착지의 블록킹에 의한 폭발적인 허리 토크를 효율적으로 이루어내지 못한 동작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딜리버리 구간은 허리의 탄성에너지에 의해 협응된 상지 분절의 연속적인 동작으로, 분절의 근위단(proximal)에서 원위단(distal)으로 에너지를 전이 시키는 동작이며, 고관절, 어께, 팔꿈치 그리고 창으로의 연속적인 파워 에너지가 전달된다(Atwater, 1979; Mero et. al. 1994). Morriss et al.(1997)의 연구에서, Zelezny와 Hecht의 선수는 어깨와 팔꿈치의 최대 속도가 대상자에 비해 다소 낮았으나, 손목의 속도는 다른 선수들에 비해 큰 속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대상자들의 상지 관절의 속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P2 구간의 손의 속도에서, Sub. A는 REL 직전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으나, Sub. B는 속도가 크기 않고 Sub. A에 비해 낮은 속도 증가의 경향을 볼 수 있다. 손목의 속도는 기록과 비례되며, 어깨나 팔꿈치 관절의 속도는 딜리버리 구간에서의 자세와 동작과 관련된 요인이라 평가 된다. 왼발이 완전히 착지되면서 블록킹과 함께 허리의 강한 탄성에너지가 발휘되는 구간이다. 신체중심점은 감속과 함께 상체가 활처럼 휘면서 전·상 방향으로 추진된다. 이때 허리토크에 의한 상체의 회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어깨나 팔꿈치가 먼저 추진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딜리버리 구간의 소요시간 평가에서 대상자들이 우수 선수들에 비해 P2 국면의 시간이 짧았던 결과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athletes` characteristics a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y analyzing the kinematic factors having a decisive influence on competitive abilities such as release conditions in the delivery phase on major Korean javelin athletes. Two supported javelin throwers of the Korean national te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otal average time required of the delivery phase was 0.31(±0.016). The athletes` release angle was 33.2 to 41.7 degrees. The attack angle varied widely from -3.5 to 5.9 degrees. The Javelin heights of Subject A and B were 95.9 and 89.2%Ht. The average stride length were 180.6 and 176.7cm. The center of mass velocity of LFD and REL was relatively low in all the subjects. The average deceleration rates of center of mass velocity of Subject A and B were 57.2 and 48.9%lose. The left knee angles of Subject A and B were 160.1 and 155.5 degrees in LFD, 153.0 and 164.0 degrees in REL. The joint velocity of upper limb segments was relatively low in all the subjects. The maximum average wrist velocity of Subject A and B was 18.2 and 16.3 m/s in REL.

      • KCI등재

        중국 주전선수들의 탁구경기 득점시스템 분석

        이순호(Soon Ho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2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중국의 대표적인 주전 남자선수 3명을 대상으로 국제 주요 탁구경기의 득점시스템을 분석하여, 대표선수들의 국제대회 및 올림픽을 대비한 전략적 훈련방안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들은 구별 득점률에서 3구, 리시브, 4구의 득점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는 비교적 단순한 기술을 구사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득점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짧은 중앙코스의 A5지역이었다. 리시브 구질은 포커트를 주로 사용(32.6∼45.9%)하였고, 다음으로는 포핸드/백핸드 리시브에서 구사횟수 대비 평균 20%의 득점률이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3구 5구득점구는 집중적으로 포핸드/백핸드드라이브로 나타났으며, 포핸드드라이브 득점 비율이 3구보다 5구에서 더 높게나타났다. 3구와 5구의 득점지역은 대상자 모두 긴 코스의 A1, A2, A3에서 가장 높은 득점률이 나타났다. 4구와6구의 득점률과 득점지역에서, 대상자들은 3구 5구 조건과 유사한 결과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긴 코스의 A3 지역보다 A1 지역에서 득점률이 더 크게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서비스 구사와 득점 빈도가 가장 높은 A5 지역의 조건에서, 연관성 분석에 의한 3구 득점시스템 결과는 다음과 같다. WH는 A5→B5→A3(백핸드드라이브 득점), A5→B6(B1)→A1 (포핸드드라이브), A5→B4→A3(백핸드드라이브), A5→B6(B2)→A2의 순으로 나타났고, ML은 A5→B1→A1(백핸드드라이브)의 득점시스템이 대상자들 중 가장 높은 연관성으로 나타났고, 두 번째는 A5→B1→A3의 백핸드드라이브 시스템으로 나타났다. 다음 순으로는 A5→B4→A2, A5→B6→A2의 중앙코스의 득점시스템으로 나타났다. WL은 A5→B1→A1(A3)의 양핸드드라이브에 의한 득점시스템의 연관성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상대선수가 짧은 중앙 코스인 B5 지역으로 리시브 할 때 낮은 연관성 빈도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way of preparing for Olympic and international table tennis competitions by analyzing the game contents of the three ace Chinese male play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that can support the strategic training of Korean national table tennis players. The subjects showed high scoring in third ball(23.2∼29.7%), receive(16.7∼22.7%), fourth ball(12.6∼ 16.0%) and service(10.8∼17%). The most high scoring area showed A5 of short middle course, service scoring rate were 47.9∼54.0%. Receive ball pitch were forecut(32.6∼45.9%), the next ball pitch rate were average 20% at fore/back drive pitch. When serves were made into A5, the highest scoring system in the third ball for each player were as follows; WH showed order for A5→B5→A3, A5→B6(B1)→A1, A5→B4→A3, A5→B6(B2)→A2. ML showed highest scoring system of A5→B1→A1 by the most association analysis and second highest scoring system were A5→B1→A3. WL`s highest scoring system were A5→B1→A1(A3) and when receives were made B5 of short middle course by opponent, showed lower association analysis rate.

      • KCI등재

        편마비 보행 지지구간에서 건측 하지분절의 운동역학적 에너지 평가

        이순호 ( Soon Ho Lee ),문제헌 ( Je Heon Mo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대조군 5명과 실험군 5명를 대상으로 편마비 환자의 건측 하지의 지지구간에서 일어나는 하지관절의 역학적 에너지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지구간의 평균 소요시간에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178.2%의 비율로서 더 길게 나타났다. 하지관절의 가동 범위에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발목, 무릎 그리고 고관절에서 더 큰 범위로 나타났다. 하지관절의 근 모멘트 역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더 큰 굴근 모멘트와 신근 모멘트로 나타났다. 실험군은 무릎관절 근 모멘트에서 중간지지기 이후 큰 굴곡 모멘트가 나타났고, 고관절 근 모멘트는 P1 구간에서 신전 모멘트가 더 크게 나타났다. 실험군에서 P2 구간의 큰 지지 모멘트는 중간지지기가 시작되면서 과다한 양적 일과 음적 일이 발휘되어 서로 상쇄되는 보상동작으로 평가된다. 이와 관련하여 하지관절의 근 파워에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양적 일과 음적 일이 더 크게 나타났다. 건측 하지는 장애측 하지에 대한 주동근 역할로서의 보상동작이며, 이러한 보상동작은 한 관절에서 에너지를 발생하고 다른 관절에서 에너지를 흡수하는 과정의 평형을 이루기가 어려워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echanical work done of healthy support leg in hemiolegia gait. Ten subject were split into two groups of five ,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For the mean time of support phase, the experimental group was ratio of 178.2% longer than control group. For the Rom of supporting leg`s join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larger ROM at the ankle, knee and hip joint angle. The experimental group`s lower limb extensor and flexor moment of force was larger than control group. For the knee moment, is was shown that the maximum flexor moment of force in experimental group occurred after middle support phase. Similarly the hip extensor moment of force was larger than flexor moment of force during the phase 2. As the experimental group had larger moment force during the second phase, it is believed to because of strategy of compensation. This study shown that experimental group requires more power as they need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strength and control, which is a well known characteristic of hemiplegic gait.

      • KCI등재

        디지털영상자료를 이용한 경기내용분석 프로그램 개발

        이순호 ( Soon Ho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영상자료를 이용하여 경기내용 및 기술동작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경기내용분석 프로그램은 지도자나 선수들이 현장에서 직접 적용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피드백 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시스템은 첫째 비디오 카메라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아날로그 영상자료를 실시간으로 콘텐츠를 구축하고, 또한 영상촬영과 함께 경기요인의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 편집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기내용분석은 종목의 경기특성에 따라 경기요인 카테고리 사전을 만들어 사용하며, 경기요인에 따라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정렬하여 요인들을 재생시킬 수 있다. 두 번째는 30 ㎐의 영사자료를 디인터레이스(de-interlace) 방법에 의해 60 ㎐로 변환하여 모션영상자료를 만들어 재생시키는 기능이다. 모션영상은 2개 이상의 화면에서 동시 재생하며, 각 화면의 동영상은 특정한 시각으로 동조시킬 수 있다. 세 번째는 2D 정량분석 기능이다. 정량분석은 현장에서 정량분석 결과를 직접 확인하고 적용하기 위해 프로세싱의 과정을 최소화하였다. 정량분석은 이미지 정량분석과 구간정량분석 기능이 있다. 정량분석은 DLT 및 Butterworth Filter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미지 정량분석은 이미지를 선택하여 변위, 각도(각속도, 각가속도), 거리, 속도(가속도) 등의 요인들을 분석할 수 있다. 현장에서 경기 영상자료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은 영상자료와 분석결과들의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 보관하고, 지도자와 선수들이 정보를 공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체육과학연구원에서는 경기 영상분석 프로그램에 의한 분석 결과를 대상 영상의 첨부 파일로 보관하도록 하였고, 이러한 콘텐츠들은 아카이브시스템에서 보관 관리하고, 각 종목에서는 동영상 홈페이지에서 관리 및 공유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develop sports analysis and technical movement analysis programs using video content. An analysis program will be used for educational purpose for trainers and athletes, and provide real-time feedback on the spot. The system is designed to connect to video cameras and computers, and constructs content using analogue video data. We also developed a real-time editing function by sport features. The second feature of the program is its play function, which interlaces 30Hz video content to 60Hz. Motion video can be played on more than two screens at the same time, and each screen can be set to a specific time. The 2D quantitative analysis, the third feature, minimizes the processing required, in order to allow for checking and adopting the results on the spot. There are two function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image and segment analysis. During image quantitative analysis, displacement, angle, (angular velocity, angular acceleration), and velocity, (acceleration),factors can be analyzed through imagery. It is important not only to make a sport analysis widely applicable but also for trainers and athletes to be able to systematically store and share the video analysis results. Therefore, the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stores the analysis results as attachments to the original target videos. These content items are stored in an archive system, related to a management and sharing system that is managed and shared on the web, by sport e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