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문미억양에 관한 연구

        이숙향,Lee Suk-Hyang 대한음성학회 1985 말소리 Vol.9 No.-

        This study has two objectives. ft attempts to describe the forms and (He functions of sentence final intonations in Korean, and it also attempts to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questions and rising intonation for Korean and English.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2, the version of Korean(standard Korean) which this study is assumed to analyse, the sources of material involved, and the method and scope of analysis are stated. Chapter 3, which is a preparatory stage for the analysis of the function of intonation in standard Korean in Chapter 4, classifies the material according to the type of intonation used. In Chapter 4i the discussion is entirely devoted to the function of Korean intonation. The conclusions of Chapter 4 are as follows: Firstly, intonation contours in Korean have the function of distinguishing the sentence types; the falling contour marks declaratives, Wh- interrogatives and imperatives, while the rising contour marks yes/no interrogatives. However,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in the interrogative sentences with the inflectional ending '-chi', a very different phenomenon is observed; that is to say, most of yes/no interrogatives are marked by the falling contour and all of Wh- interrogatives by the rising one. Secondly, the falling contour in Korean is typically employed in performing the illocutionary act of assertion in rhetorical and tag questions. Thirdly, the intonation in Korean contributes to express the speaker's special attitudes or emotions. In Chapter 5,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questions and rising intonation is examined, Liberman's theory turns out to be untenable. Further-more. this thesis shows that an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questions and rising intonation should have its basis on general linguistic facts.

      • KCI등재

        한국어 자음약화현상과 인접모음의 고저성

        이숙향,Lee Suk-Hyang 대한음성학회 1997 말소리 Vol.33 No.-

        This study examined one of the hypotheses on the consonant reduction in Korean inferred from the Articulatory Phonology framework through phonetic experiments: Degree of consonant reduction depends on the height of the neighboring vowels--the lower the height of the neighboring vowel is, the higher the degree of reduction of stop closure period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general, turned out to support the hypothesis with some cases requiring other phonetic considerations, e.g., rate of some tongue tip movement in the case of dental lenis stop /t/ or the facts that bilabial lenis stop /p/ share its primary articulators, lips, with the neighboring vowel /u/ and that for bilabial closure, the upper lip lowers more for compensation of little movement of lower lip when its raising gets disturbed for some reasons.

      • KCI등재

        국내 중등 통합교육 연구의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이숙향 ( Suk Hyang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3

        통합교육의 양적, 질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국내 중등 통합교육은 구조적인 문제와 더불어 빈약한 연구토대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 통합교육에 대한 최근 10여 년 동안의 문헌들을 분석하여 국내 중등 통합교육의 연구동향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향후 연구과제들에 대해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 통합교육에 대한 국내문헌들 중 53편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선정된 논문들은 연구 주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가지 연구 주제로 분류되었다: (1) 중등 통합교육 및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및 또래관계, (2) 중등 통합교육 및 관련 쟁점,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 및 부모의 인식, (3) 장애학생의 관점에서 본 중등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적응, (4) 중등 통합교육 관련 교수방법. 각 연구 주제에 따라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환경, 발표연도에 따른 세부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최종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국내 중등 통합교육의 연구동향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1) 중등 통합교육에 대한 장애학생과 부모의 인식 및 요구 조사, (2) 교사요구 중심의 지원 및 지원의 효과 검증, (3) 고등학교 통합교육 및 중등 교과운영 관련 연구 활성화, (4) 다양한 장애이해 관련 프로그램 및 역통합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5) 중등 통합교육의 다양한 쟁점 및 교수방법 관련 연구 활성화.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has faced challenges due to systematic problems and lack of research in spite of dramatic growth of inclusiv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by reviewing Korean literature related to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published for the last 10 years. Based on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study, a total of 53 articles were identified. The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including: (1) attitud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 (2) perceptions of teachers and parents on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3) adjustment in secondary inclusive settings from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4) instructional methods regard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After analyzing these four themes, each article was analyzed with sub-variables across four themes such as published year,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and setting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are provided as follows: (1) investigating perceptions and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on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2) examining effects of supports for teachers based on their needs, (3) research regard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in high school level and teaching academic subjects, (4) investigating effects of various programs to promote understanding disability including reversed inclusive education program, and (5) research regarding various issues of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and instructional methods.

      • KCI등재

        장애학생의 학교급간 전환 관련국내 연구동향 고찰

        이숙향 ( Suk Hyang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학교급간 전환 관련 국내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유치원에서부터 고등학교 이후 전환을 아우르는 전체 학교급간 전환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성공적인 학교급간 전환 및 지원을 위한 연구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급간 전환 관련 국내 문헌 41편을 학교급간, 발표연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따른 변인별로 분석하고 아울러 각 학교급간 전환을 위한 적응기술 유형 및 전환 지원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급간에 따른 분석에서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 관련 연구가 단 2편인데 반해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로의 전환 관련 연구는 24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에 따른 분석에서는 학교급간 전환 관련 실태 및 인식을 주제로 한 논문과 조사연구 논문이 각각 20편으로 나타나 특정 학교급간, 연구주제 및 방법에 연구들이 편중된 경향을 나타냈다. 학교급간 전환을 위한 적응기술에 따른 분석에서는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이 학교급간에 상관없이 가장 중요한 적응기술로 나타났으며, 학교급간 전환 지원 프로그램 구성요소 분석결과 정보제공, 학교방문, 개별면담이 공통적인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학교급간 전환 및 지원 관련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전환 관련 연구의 필요성, 2) 상급학교에서의 적응기술 관련 연구 활성화, 3) 학생과 가족 모두를 고려한 전환 지원 프로그램 개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school transi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transition through kindergarten to after high school,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For this study, 41 articles regarding school transi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ublished in Korea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across variables of school levels, years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along with types of adaptive skills needed in school transitions and components of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research trends on school transi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unbalanced across the variables of school level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cial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common adaptive skills in school transitions regardless of school levels, and providing school information, visiting a school, and personal counseling were common components of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s.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ovided as follows: (1) Necessity of research on middle-to-high school transition, (2) vitalization of research on adaptive skills needed in school transitions, and (3) development of school transition support programs for both students and their parents.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이숙향(Lee, Suk-Hyang),안혜신(An, Hyesin),최지혜(Choi, Jeehae),김아영(Kim, Ayoung),양지희(Yang, Ji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학교-가정연계 건강 자기옹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5명과 발달장애 학생 및 성인자녀를 둔 부모 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특수교사와는 초·중·고 학교급별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부모와는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4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주요 건강문제 및 대처 관련 쟁점, 2) 건강관리 및 교육의 실제, 3) 건강관리 및 교육 관련 지원요구, 4) 학교-가정연계 건강 자기옹호 프로그램 개발 관련 요구.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토대로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 자기옹호 역량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 자기옹호의 필요성 및 역량 강화, 2) 학교-가정연계 건강 자기옹호 프로그램 개발, 3) 지역사회의 협력 지원체계 및 관련 인프라 구축.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n health care an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develop health self-advocacy programs with school-home connection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1 parents of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themes emerged as follows: (a) major health problems and issues in addressing the problems, (b) practices in health care and education, (c) support needs for health care and education, and (d) needs related to development of health self-advocacy programs with school-home connec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enhance health self-advocac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necessity of enhancing health self-advocacy for self-directed health care, (b) development of programs to enhance health self-advocacy based on school-home connections, and (c)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systems for community collaboration and relevant infrastructure.

      • KCI등재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이숙향 ( Lee Suk-hyang ),안혜신 ( An Hye-sin ),정정은 ( Jung Jung-eun ),송명숙 ( Song Myoung-su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14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과 경험,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지도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한 부모를 3개 소그룹별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면담을 진행하였고, 5개월 후 유지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10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자료와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수집된 질적자료를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7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프로그램 참여 이전 양육태도, 2) 유용한 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요소, 3) 자기결정 지도방법 및 팁, 4) 자기결정지도 및 유지의 어려움, 5) 부모의 양육태도 및 지도방법의 변화, 6) 자녀 및 가족의 변화, 7) 프로그램 개선방안 및 자기결정 관련 지원요구.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바탕으로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방안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양육태도의 변화를 통한 교수 기회의 증가 및 자녀 변화, 2) 자녀의 특성 및 요구중심의 수준별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3) 학교 및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전문가 연수 강화, 4) 장기적인 미래계획 수행을 위한 협력 및 제도적 지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14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Support Program for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at Home. For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ll participants across three groups after program was terminated, and then five month later,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arents during maintenance test.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seven themes emerged as follows: (a) parenting attitudes before program participation, (b) useful program contents and components, (c) methods and tips for teaching self-determination, (d) difficulties in teaching self-determination and its maintenance, (e) changes in parenting attitudes and teaching methods, (f) changes in children and families, and (g) ways to improve program and support needs regarding promoting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home and to facilitate future research such as (a) increased opportunities for promoting self-determination and children’s development by changes of parenting attitudes, (b)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program based on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needs, (c) enhancement of in-service training for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home, and (d) collabor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long term future plan.

      • KCI등재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및 교수 실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

        이숙향 ( Suk Hyang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2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부모가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및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교수적 실제들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특수교사와 부모들의 의견을 통해 직접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초ㆍ중ㆍ고등학교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에 근무 중인 17명의 특수교사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그룹면담을 실시하였고, 10명의 장애학생 부모를 대상으로는 전화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5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2)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기회제공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3) 자기결정에 대한 기회제공 및 교수전략, (4) 자기결정에 대한 교수의 어려움, (5)자기결정 교수의 어려움에 대한 대처 및 지원방안.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우리나라 문화적 맥락에서 자기결정을 이해하고 적용함으로써 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 증진 및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제언들이 제공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structional practices that are related to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be self-determined. For this purpose, 17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at special schools or special classrooms acros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10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ers and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ents.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ive themes emerged as follows: (a)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b)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providing opportunities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c) providing opportuniti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d) difficulties related to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e) support and other methods to address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further implications were provided in order to improve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and its application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제1부: 학술논문 : 개인 및 학급차원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적용이 중등 통합교육 환경의 장애학생 및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이숙향 ( Suk Hyang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3

        본 연구는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이 중재 특성상 국내 중등 통합교육 현장의 구조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개인 및 학급차원의 SDLMI 적용이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수업참여행동 및 목표달성과 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통합교육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ㆍ경기 지역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50명(실험집단, 통제집단 각각 25명), 특수교사 27명, 일반교사 49명이 참여하였다. 개인 및 학급차원에서의 SDLMI 적용을 위해 실험집단의 특수교사에게는 사전 연수 및 기타 교수적 지원이 제공되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생 및 교사에게는 관련 종속변인들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가 중재 전후에 각각 실시되었다. 두 집단 간 사전ㆍ사후검사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개인 및 학급차원의 SDLMI 적용은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및 수업참여행동을 증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업 및 전환 관련 목표달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실험집단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도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제언이 제공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mpact of individual and class -wide application of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SDLMI) on self-determinati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and goal-attain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ong with the impact on teacher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ttitude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Fifty students with disabilities(25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27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49 gener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acher training was provid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intervention and instructional supports were also given for the teachers during intervention. Pre- and post-tests of relevant dependent variable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analyses of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s in both groups showed that individual and class-wide application of SDLMI had positive influence on self-determination,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and goal-attainm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eacher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ttitude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ward inclusive education . Based on this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related to SDLMI were provided.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의 효과 및 적용 방안 고찰

        이숙향(Lee Suk-Hya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 및 자기결정을 증진하기 위한 교수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된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SDLMI)의 중재효과를 조사한 국내외 집단 실험연구 논문 12편을 최종 선정하여 연구 변인별로 심층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SDLMI는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 및 전환 관련 목표달성, 자기결정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SDLMI의 효과적인 적용방안과 향후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들이 논의되었다: 1) 다양한 연령과 장애유형을 포함한 SDLMI 중재 대상 확대, 2) 기존 SDLMI의 수정 및 다양한 교수방법과 결합한 적용 방안 모색, 3) 일반교육과정 접근과 전환성과를 동시에 고려한 SDLMI 적용, 4)SDLMI 중재의 종속변인 측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 모색 및 종단연구 고려, 5) SDLMI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다양한 교수적 지원 개발 As the importance of promot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emphasized, researchers have made an effort to develop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vention effects of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SDLMI) by reviewing literatures related to applications of SDLMI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sing group comparison research design. Based on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study, a total of 12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finding showed that SDLMI was effective in meeting academic and functional goa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omoting their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applications of and future research on SDLMI are provided as follows: (1) extending applications of SDLMI for various participants by including students with various ages and disabilities, (2) considering various methods to adapt original SDLMI and combine SDLMI with other instructional methods, (3) applying SDLMI for both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ransition goals, (4) developing various instruments to measure 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SDLMI applications and trying longitudinal research, and (5) developing various instructional supports to effective applications of SDLMI.

      • KCI등재

        중등 통합교육의 현실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장애학생과 부모의 통합교육 경험 및 인식을 중심으로

        이숙향 ( Suk Hyang Lee ),안혜신 ( Hey Sin Ah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장애학생과 부모가 경험한 중등 통합교육의 현실 및 지원요구에 대해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반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20명과 일반학교에서 특수학교로 진학 및 전학을 한 장애학생 l4명을 포함한 총 34명의 장애학생과 21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들은 Nvivo8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4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진학 및 전학 이유와 만족도, (2) 일반학교의 현실, (3) 특수학교의 현실, (4) 지원요구 관련 공통쟁점.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등 통합교육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이 제시되었다: (1) 상급학교 진학 및 전학을 위한 정보제공, (2) 장애이해 및 태도 개선을 위한 수업 및 프로그램 제공, (3) 통합학급 내 수업 및 인적 지원 확대, (4) 경계선급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된 지원 및 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개발, (5) 전문성과 인성을 겸비한 특수교사 양성, (6) 특수학급 운영의 유연성 및 학교체제에 대한 고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alities and support needs regard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For this purpose, 34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20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ied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n general public schools and 14 students studied in special schools, who transferred to the special schools from general schools) and 21 parents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using Nvivo8, four themes were emerged as follows: (a) reasons and satisfaction of transferring to special schools or going to general public schools, (b) realities of general public schools, (c) realities of special schools, and (d) issues related to common support needs in general public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related to improving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were provided as follows: (a) providing information for choosing or transferring schools, (b) providing lessons or program to improve negativ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c) facilitating support for class lessons and providing more personal supports, (e) developing individual supports and inter-schools(between general public schools and special schools)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borderlines, (e) training teachers well-prepared both in expertise and in personality, and (f) flexibl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considering schoo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