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 개신교의 정상가족 만들기: 타자화와 주체화 전략을 중심으로

        이숙진 한국종교학회 2022 宗敎硏究 Vol.82 No.1

        This article criticall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making of "normal family" in recent Korean Protestantism, focusing on Protestant strategies of otherization and subjectification. Since entering a post-industrial society, the modern nuclear family model has been dismantled in our society, and various family forms such as single-person families, unmarried families, cohabitation families, and same-sex families have emerged. Protestantism sees this as a serious crisis and is attempting to create a normal family by advocating overcoming the social crisis through family recovery. At this time, a normal family is a family model that values the function of members according to gender roles, that is, a modern nuclear family based on male labor and female reproductive labor. Korean Protestantism is pursuing a strategy of otherization and subjectification. The former is a strategy that excludes and eradicates obstacles or destructors of normal family. Homosexuality emerges as the other of normal family. Homosexuality is defined both as a "strategy of Satan" that fundamentally destroys the family system based on the Divine order and as a "social evil" that destroys the modern nuclear family. Therefore, Korean Protestantism tries to launch an anti-homosexuality movement enthusiastically. Meanwhile, the latter is a strategy to reproduce subjects essential for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normal family. Family-related programs such as Durannon Father School and Hifamily are typical examples. These programs attempt to create a heterosexual family under the slogan "respectful husband, beloved wife." Furthermore, it aims for a traditional patriarchal family model consisting of strict fathers and obedient wives and children. However, the reinforcement of "normal family" model excludes the newly emerging family types from the category of normality. The concept of family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change. It is a narrow attitude to regard the family model based on patriarchalism as the universal and ideal family form or to understand it as the only true family model of Christianity. What Korean Protestantism currently need is an open attitude toward various family models. 이 글은 최근 한국 개신교에서 등장하고 있는 ‘정상가족’ 만들기의 성격과 그 효과를 타자화 전략과 주체화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후기산업화 사회로 진입한 이래 우리 사회에는 근대적 핵가족모델이 해체되고 1인가족, 비혼가족, 동거가족, 동성가족 등 다양한 가족형태가 출현하고 있다. 개신교는 이를 심각한 위기로 보고 가족의 회복을 통한 정상가족 만들기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때 정상가족이란 성 역할에 따른 구성원의 기능을 중시하는 가족모델 즉 부양자로서의 남성노동력과 여성의 재생산노동에 근거한 근대적 핵가족이다. 개신교의 정상가족 만들기에는 타자화 전략과 주체화 전략이 작동하고 있다. 타자화 전략은 정상가족의 방해물이나 파괴자를 배제, 척결하는 전략으로서 동성애가 정상가족의 주요 타자로 등장한다. 동성애는 신의 창조질서에 근거한 가족제도를 근본적으로 파괴하는 ‘사탄의 전략’이자 남성과 여성의 역할 구분에 따른 근대적 핵가족 질서를 파괴하는 ‘사회악’으로 규정된다. 따라서 개신교는 동성애가 교회 안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대내적으로 통제의 메커니즘을 작동시키는 동시에 대외적 차원에서는 동성애 척결을 위한 반동성애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한다. 주체화 전략은 정상가족의 유지와 강화에 필수적인 주체를 재생산하는 전략이다. 두란노아버지학교나 하이패미리와 같은 가족 관련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존경받는 남편, 사랑받는 아내’라는 구호 하에 이성애 중심의 가족 만들기를 시도한다. 나아가 엄격한 아버지와 그에 순종하는 아내와 자녀로 구성되는 전통적인 가부장적 가족모델을 지향한다. 그런데 이러한 ‘정상가족’ 모델의 강화는 1인가족을 비롯한 새로운 가족형태를 정상성의 범주에서 배제한다. 가족 개념은 사회변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가부장적 문화와 가치에 근거하여 형성된 가족모델을 가장 보편적이고 이상적인 가족형태로 믿거나 가장 기독교적인 가족모형으로 이해하는 것은 협소한 태도다. 현재 한국 개신교에 필요한 것은 다양한 가족 양태에 대한 열린 태도다.

      • KCI등재
      • KCI등재

        서술종결형어미 ‘-단다’의 형성과 의미기능 분석

        이숙진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39 No.-

        This paper examines the derivational process of ‘-tanta’, the characteristics of its distribution, and its semantic functions. In sum, ‘-tanta’ is a form that appeared after a quatotive verb ‘ha-’ lost its quatotive function and underwent the grammaticalization around the 16th century. Moreover, this paper analyzes that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 of ‘-tanta’ reflects the pragmatic feature of the quatotive structure. ‘-tanta’ appears in the hearer-oriented discourse where a speaker conveys information existing only within his/her territory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must be regarding to the event or situation that has already occurred or has already been settled. Lastly, the persistence of the speaker's psychological remoteness which expressed in the quatotive structure is used as the strategy of politeness. That is, when the speaker is conveying the information within his/her territory, he used ‘-tanta’ in order to express a remoteness from the information as to not threaten the negative face-saving of a hearer who wishes to be free from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that is outside his/her interest. 본고에서는 ‘-단다’가 어떠한 과정으로 형성되었으며, ‘단다’의 분포적 특성이 무엇이고, 그의 의미 기능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단다’는 16세기경 인용동사 ‘-’가 인용서술의 기능을 잃어버리고 문법화의 길을 걷게 되면서 나타난 형태이다. 본고에서는 ‘-단다’가 보이는 분포적 제약 현상을 인용구문이 가지는 화용상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단다’는 청자가 상정된 담화 환경에 나타나고, 화자의 인지영역 내에 이미 들어와 있는 사건이나 상태를 전달하는 경우에 쓰이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인용구문에서 화자가 표현하는 심리적 거리감이 문법화된 ‘-단다’에도 지속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단다’가 청자의 소극적 체면을 유지시켜주는 화용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즉 화자가 자신의 인지영역 내에 있는 정보를 전달할 때, 청자가 관심 밖의 내용에 대해 자유롭고자 하는 소극적 체면을 위협하지 않도록 전달 정보에 대해 거리감을 표현하기 위해 ‘-단다’를 사용하는 것이다.

      • KCI등재

        CCS MOCVD 반응기의 GaN 증착 특성 예측을 위한 3차원 유동 및 화학반응 해석

        박신,김경진,곽호상 대한기계학회 2019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3 No.4

        A numerical study is conducted on the reacting flow for an epitaxial growth of a GaN film in a closed-coupled showerhead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reactor. A model based on the ANSYS Fluent is employed to simulate the three-dimensional flow and associated transport phenomena of reacting gases, namely trimethylgallium and ammonia, that are injected from a number of nozzles, with hydrogen used as a carrier gas. The results show that considering some simplistic chemical reactions enables a resonable prediction of the GaN deposition rate that is closely related to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key species.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flow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inertia effects of injected gases lead to a local nonuniform growth of GaN.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varying flow rate, pressure and rotation r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an optimal operation. LED 광원 제조에 많이 사용되는 CCS MOCVD 반응기에서 GaN 박막을 만드는 증착 공정에 대한 수치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송기체인 수소와 혼합된 기상의 유기금속 원료 TMG와 반응기체 암모니아가 다수의 소형 노즐을 통해 반응로에 개별적으로 주입된 후 형성되는 3차원 유동과 열 및 물질전달, 화학 반응을 상용 전산유체역학 코드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는 간이 화학반응 모델을 이용하여 GaN 증착률의 예측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국소 증착률은 반응에 관여하는 주 화학종의 농도분포와 연관관계가 있으며, 노즐에서 주입되는 기체의 관성력에 기인한 국소적인 3차원적 농도분포가 증착 불균일도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일련의 수치실험을 통하여 공정 조건인 유량, 작동압력, 원판 회전수가 증착률과 증착 균일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최적운전 지침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