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구윤리 확립에 있어서 정부개입에 대한 미국 사례 분석및 한국에의 시사점

        이송호(Lee, Song-Ho),정일환(Chung, Il-h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의 연구윤리 확립과정에서 정부개입의 주요 쟁점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연구윤리 확립을 위한 정부개입 범위, 정부개입 방법, 정부개입의 수준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미국에서 발표된 관련 법령, 보고서, 언론보도 자료 등 문헌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정부개입의 범위는 정부지원 연구는 물론 민간 부문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어야 하며, 윤리뿐만 아니라 법적문제가 될 수 있는 사안에 대한 예방적 규제에 대해서도 정부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개입의 방법은 1차적인 책임을 대학 및 연구기관에 부여하는 간접적인 방식이 바람직하며, 학문분야별로 개입의 방식에 차별화를 두고, 규제와 지원의 균형일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정부개입 수준은 규제와 지원의 기본틀 마련까지만 개입하고 구체적인 세부 규제와 지원은 대학과 연구기관에 맡겨야 한다. 즉 목표및 원칙 제시에만 정부가 직접 개입하고 이행 기준 설정, 윤리위반 감시, 비윤리성 판단, 제재수준 결정 등에는 간접 개입해야 한다. [결론] 한국내 연구윤리 확립은 연구의 가치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적인 장치로 볼 수 있다. 연구윤리 확립 정책으로 정부의 단기적 획일적 개입은 지양되 어야 한다. 연구윤리의 범위와 정부개입의 적정성을 결정하는 데는 국제표준과 학문분야별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자 및 연구기관의 참여를 확대해야 하며, 연구윤리 확보를 위해서는 연구자 및 연구기관의 자율적인 관리풍토의 조성에 초점을 두고 심각한 연구윤리 위반 사항에 대해서는 정부차원에서 대응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for adequate span, methods and degree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academic society in order to secure research ethics. [Methods] or this purpose, it examined an American Case in depth and suggested directions of Korean government intervention on the basis of American experience. [Results] First, the span of government intervention needs to expand beyond government-sponsored researches into private organizationsponsored and independent researches. Second, the government needs to intervene in researcher’s activities, indirectly via university and institutes and discriminately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academic disciplines. And the government intervention should maintain balance between regulations and assistances. Third, the government regulation should be confined to setting principles of regulation. The authority to set criteria of regulation, identify violations of them, and decide the kinds of sanction should be relegated to universities and institutes. The government assistance should be extended from compliance with regulation to fostering an atmosphere of ethical research, and be complementary to the efforts of universities and institutes. term and uniformed intervention.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consider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haracteristics of academic discipline, but also guarantee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and institutes.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노인의 연령에 따른 노인복지관 여가시설의 이용 만족도 평가

        이송현(주저자) ( Song Hyun Lee ),황연숙(교신저자) ( Yeon Sook Hw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5

        급속하게 진행되는 고령화와 다양성이 요구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지역 노인 복지의 중심역할을 담당하는 노인복지관은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 시키는 대표적인 서비스 기관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서는 노인복지관이 노인세대의 다양한 욕구수준에 부합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노인복지관 여가시설을 학습, 예능, 건강, 편의시설로 분류하고, 노인의 연령에 따른 만족도 평가를 통하여 이용관점의 만족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7곳의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노인의 연령에 따른 노인복지관 여가시설에대한 만족도는 연령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하는 여가시설로는 60대와 70대는 학습시설, 80대는 예능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복지관 여가시설의 공간특성에 대한 만족도는 친밀성, 쾌적성, 기능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노인복지관 여가시설의 공간특성이 노인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60대 노인의 경우 쾌적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70대의 노인은 친밀성, 80대의 노인은 지원성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emand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s grows rapidly with a pivotal role in community welfare of the seniors as the leading service agencies that meet various needs of the seniors.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s satisfac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elfare centers in accordance with various ages of the seniors to provide a space that corresponds a various needs of the elder generation. The study conducted case studies on 7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ing overall satisfaction about senior welfare centers,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the eighties. Researching the most satisfying facilities, sixties and seventies were satisfied with an education facility, the eighties were satisfied with entertainment facilities. Second, satisfaction abo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appears intimacy, comfort and functionality were higher. Thir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nior welfare centers was impacting on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sixties, the comfor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Senior of seventies was the intimacy, senior of eighties was the most influential about affordance.

      • KCI등재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노인복지관에 대한 만족도 연구

        이송현(주저자) ( Song Hyun Lee ),어성신(공동저자) ( Sung Sin Eo ),황연숙(교신저자) ( Yeon Sook Hw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3

        지속적인 노인인구의 증가와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지역 내 노인복지관은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대표적인 서비스 공간으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과거세대에 비해 높은 학력수준, 경제능력의 향상,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이 변화됨에 따라 이전 세대와는 다르게 양질의 서비스를 추구하는 성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연륜적 특성 지표인 라이프스타일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노인복지관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7곳의 노인복지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군집분석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독립활동형, 보호활동형, 적극도전형, 소극도전형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노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노인복지관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호활동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소극도전형, 적극도전형, 독립활동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노인복지관의 공간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독립활동형과 소극도전형은 친밀성, 보호활동형은 쾌적성, 적극도전형은 편의성이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With the continuous rise of elderly population and rapid progression of aging in our society, greater emphasis is placed on the importance of local seniors welfare centers as representative service space that meets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tendency among current users to seek high-quality service as their educational level, economic ability and lifestyle have changed for the better compared to past generation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senior welfare centers according to life-style type of the elderly, using a lifestyle measurement tool which incorporates indicators of gerontographic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users of seven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lifestyle were derived through cluster analysis; independent activity type, protective activity type, active challenge type, and passive challenge typ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seniors welfare centers by the life-style of the elderly is highest for the protective activity type followed by the passive challenge type, the active challenge type, and the independent activity type. Third, upon examining the effect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welfare centers on the satisfaction of elderly users by type of lifestyle, it was found that the independent activity type and the passive challenge type users are most influenced by intimacy, the protective activity type users by comfort, and the active challenge type users by convenience.

      • 음향미세유체역학 기반 심혈관 질환 바이오마커 단백질 분리

        이송하(Song Ha Lee),박진수(Jinsoo Park)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We propose an acousto-microfludic method for separ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biomarker proteins (C-reactive protein and thrombin) conjugated with aptamer-functionalized microparticles of different sizes inside a microchannel. Surface acoustic waves (SAWs) generated from an interdigital transducer are utilized to induce acoustic radiation force (ARF) acting on the protein-conjugated microparticles. The magnitude of the SAW-induced ARF that the protein-conjugated microparticles vary depending on the microparticle size. The surface of the streptavidin-coated polystyrene microparticles were functionalized with DNA-based aptamers to selectively capture their corresponding target proteins. We experimentally demonstrate the continuous and simultaneous separation of multiple human proteins that serve as early diagnostic biomarke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 KCI등재
      • 수정 Cam-clay 이론을 이용한 점토의 비배수 강도 예측에 관한 연구

        이송 ( Lee¸ Song ),규환 ( Lee¸ Kyu-hwan ),김태훈 ( Kim¸ Tae-hwoo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6 No.2

        국내 지역에서 대부분의 자연 연약점토는 약간 또는 매우 과압밀된 상태를 갖고 있다. 이러한 연약한 지반에 제방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지지력이 결정되어야 하며, 응력이력에 따른 비배수 전단강도는 단계하중재하시 재방의 단계성토고와 안정성을 분석함에 매우 중요하게 하다. 이러한 점에서 한계상태이론의 Cam-clay 이론은 정규압밀과 과압밀된 점토지반의 비배 수 전단강도를 예측함에 있어 합리적인 결과를 주며, 비등방조건에서 비배수 전단강도의 예측 은 실내삼축시험과 잘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CCM 이론의 적용성을 국내 저소성 실트질 점토를 블록 샘플링하여 실내 등방 및 비등방 시험을 실시하여 검증하였으며, 과거 여러 지역에서 연구된 결과들과 비교하여 재분석하였다.

      • KCI등재

        피드백이 영어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송은(Lee, So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2언어 쓰기 지도에서 피드백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작문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 쓰기 피드백 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방식으로 재분석하고 그 결과를 학술적으로 논의 하였다. 2019년 1월부터 3월까지 학술논문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본 연구를 위해 마련된 연구 자료 선별기준에 따라 총 23편의 선행연구들을 최종 연구 자료로 선정하였다. 우선 선정된 연구를 국내연구와 국외연구로 구분하고, 개별 연구에서 적용된 피드백의 유형에 따라 direct teacher feedback(교사의 직접 피드백), peer feedback(동료 피드백), indirect teacher feedback(교사의 간접 피드백)으로 분류하여 조작적 정의하고 피드백 유형별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선별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이 적용한 교사의 직접 및 간접 피드백이 학습자의 영어작문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고 반면, 동료 피드백이 학습자의 영어 작문능력 향상에 미친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L2 writing feedback practice on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L2 writing feedback. More than 500 studies on English writing feedback practice were collected and reviewed from January to March, 2019; 23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analyses of the study. The selected studies were first divided into domestic studies and international studies; then,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feedback types that each study implemented, direct teacher feedback, peer feedback, and indirect teacher feedback.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direct and indirect teacher feedback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tudent writers’ English writing development while peer feedback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The analyzed studies have somewhat high heterogeneity regarding teacher feedback; however, they have low heterogeneity with regard to peer feedback. It is thought that such heterogeneity was caused by different types of assessments or assignments that the studies employed to evaluate students’ writing development and their distinct evaluation standards.

      • KCI등재

        우리나라 관계장관회의시스템의 변천과 특징에 관한 분석

        이송호(Song Ho Lee) 서울행정학회 2007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8 No.3

        This study analyzed how Korean government organized its cabinet council system over time and evaluated this system from the standpoints of integration, productivity, efficiency and fairness in the government issue management.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diverse types of cabinet councils and their subunits. But these establishments have been made in the convenience of government departments without strategic consideration for better management of government issues. And chairmen and their staffs have been selected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the power of key departments. Issue-handling procedures were designed on the rule of thumb. Therefore, cabinet council system is not yet strategically systematized and its internal structure and procedure have not been institutionalized yet. For the integrative, efficient and fair management of government issues, the existing cabinet council system needs to be systemizes and institutionalized in both macro- and micro-level. Types and number of cabinet councils to establish should b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president's needs, not the departmental convenience. And internal structure, chairmen, staffs and procedure should be designed and operated to manage government issues in efficient and fair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