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암 경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

        이성원,이광민,오규한,염찬우,정상협,함봉진,Lee, Sungwon,Lee, Kwang-Min,Oh, Gyu-Han,Yeom, Chan-Woo,Jung, Sanghyup,Hahm, Bong-J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0 정신신체의학 Vol.28 No.2

        연구목적 암 경험자의 직장복귀는 암 관리의 중요한 영역이 되었지만 암의 예방과 치료 영역에 비해 관련한 지원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와 암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 법 2019년 세 차례 진행된 암 경험자를 위한 음악회에 참석한 암환자 182명을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 및 문제목록과 0~10점 범위의 직장복귀지원 요구도 평가도구를 적용하여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음악회에 참석한 암환자 가족 114명을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온도계 및 문제목록과 직장복귀지원 요구도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가족의 시각에서 암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 및 관련 요인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암환자 군 182명과 암환자 가족 군 114명에 대해 두 군간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를 비교하였고, 각 집단의 요구도 관련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 과 암 경험자를 위한 직장복귀지원이 "매우 필요"하다고 보고한 비율이 암환자 군과 가족 군에서 각각 34.6%, 28.1%이었다.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암환자 군에서 6.60±3.365점, 암환자 가족 군에서 6.17±3.454점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282). 암환자가 스스로 평가한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수술 치료 경험이 있는 경우(OR=2.592, p=0.007), 가임능력 문제를 경험하는 경우(OR=6.137, p=0.025), 외모 문제를 경험하는 경우(OR=2.081, p=0.041), 피로를 경험하는 경우(OR=2.330, p=0.02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 가족이 평가한 암환자의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는 암환자가 유방암 경험자인 경우(호흡기 암종 대비 OR=13.038, p=0.022 ; 혈액암 대비 OR=4.517, p=0.025 ; 기타 암종 대비 OR=13.102, p=0.019), 직장/학교 문제를 호소하는 경우(OR= 4.578, p= 0.005), 우울을 호소하는 경우(OR= 3.213, p=0.02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암 경험자 직장복귀지원에 대한 요구도가 암환자 군과 암환자 가족 군 모두에서 높고, 요구도와 관련된 요인은 두 군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암 경험자를 위한 직장복귀지원 대책이 필요하며, 대책 수립에는 암환자의 임상적 특성, 디스트레스, 암환자와 가족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and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caregivers. Methods : 182 patients and 114 caregivers were recruited. Distress Thermometer and Problem List and scale ranging 0~10 measuring the degree of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were utilized.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between the patient group and caregiver group (patient's needs evaluated by the caregiver) were compared, and related factors were investig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34.6% and 28.1% of patients and caregivers reported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is "very necessary". The degree of needs was 6.60±3.365 points in the patient group and 6.17±3.454 points in the caregiver group,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p=0.282).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evaluated by patients was high when they underwent surgery (OR=2.592, p=0.007), has fertility problems (OR=6.137, p=0.025), has appearance problems (OR=2.081, p=0.041), or has fatigue (OR=2.330, p=0.020). The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of patients evaluated by caregivers was high when patients treated with breast cancer (vs respiratory cancer, OR=13.038, p=0.022 ; vs leukemia/lymphoma, OR=4.517, p=0.025 ; vs other cancer, OR=13.102, p=0.019), has work/school problems (OR=4.578, p=0.005), or has depression (OR=3.213, p=0.022). Conclusions : The degree of needs for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was high, and factors related to the needs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uggests that return-to-work support of cancer survivors is required,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distress of patients, and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should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a support plan.

      • 다극체제와 동아시아 안보: 국제질서 재편에 따른 한반도 안보 위협 논의의 재고찰

        이성원,Lee, Sungwon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2022 Analyses & alternatives Vol.6 No.2

        냉전의 종식 이후, 압도적인 국력을 바탕으로 유지되어왔던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는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 약화와 지역 강대국들의 부상이 맞물리면서, 점차 단극체제에서 양극체제 또는 다극체제로 재편되고 있는 양상이다. 지정학적으로, 동아시아는 미국 뿐 아니라 지역 강대국들의 국익이 첨예하게 중첩되고 대치되는 지역이라는 관점에서, 국제질서의 재편이 가져올 안보 불안정 상황에 관한 논의가 끈임없이 제기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안보 논의가 적절한 위기 인식과 평가에 근간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대두되는 안보 위기론이 과대 위협 인식에 기인하는 경향이 있음을 지적하고, 국제질서의 재편이 지역 안보에 가할 수 있는 위협의 본질과 수준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평가와 개념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양극체제 (1950-1990), 단극체제 (1991-2008), 다극체제 (2009-현재)로 구분되는 기간 동안,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분쟁 양상(빈도와 강도)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무력 분쟁'의 관점에서, 동아시아가 다른 지역에 비해 국제질서 재편에 크게 취약하지 않았으며, 독자적인 평화를 구축하고 유지해 왔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국제질서의 재편으로 인해 가중되는 외교·안보적 부담과 복잡화된 손익 계산이 반드시 중대한 안보 위협으로 해석될 필요가 없음을 강조한다. 불필요한 안보 이슈 확대가 대한민국의 외교적 전략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The U.S.-led international order, sustained by overwhelming national power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is gradually being restructured from a unipolar international system to a bipolar international system or a multipolar international system, coupled with the weakening of U.S. global leadership and the rise of regional powers. Geopolitically, discussions have been constantly raised about the security instability that the reshaping of the international order will bring about, given that East Asia is a region where the national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and regional powers sharply overlap and conflict.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ze whether security discussions in Korea are based on appropriate crisis assessment and evalua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security crisis theory emerging in Korea tends to arise due to threat exaggeration and emphasizes the need for objective evalu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the nature and the level of threats that the restructured international order can pose to regional security. Based on the analysis of changes in conflict patterns (frequency and intensity), occurring in East Asia during the periods divided into a bipolar system (1950-1990), a unipolar system (1991-2008), and a multipolar system (2009-current), this study shows that East Asia has not been as vulnerable to power politics as other regions. This investigation emphasizes that the complexity of Korea's diplomatic and security burden, which are aggravated by the reorganiza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interpreted as a grave security threat. This is because escalating unnecessary security issues could reduce the diplomatic strategic space of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영문학 입문과목,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이성원(Sungwon Lee)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03 영미문학교육 Vol.7 No.2

        This is a kind of position-paper on the important pedagogical issue of how and what to teach in an introductory course in English literature in Korea. What must the instructor have in mind in designing a 15-16 week course in English literature for students who have virtually no literary training and mayor may not wish to major in English? How much of the background knowledge of English history and the literary history, English and Continental, should be considered necessary and adequate in the very first course that is supposed to initiate students to the "pleasures of reading" the "alien" text written in English? What role do literary theories play in such a course? Would it be better that "cultural studies" instead of literary training should be the defining role of the English department, as many would-be reformers of education nowadays propose? This paper answers to these questions by emphasizing that the primary task of any introductory course in literature resides in training the students in the basic skills of reading, in making the students "responsible" readers who are able to "respond" properly to the subtlety of literary texts. In this respect,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what the New Critics have shown in their analysis and explication of literary works needs to be revaluated, regardless of their assumptions, theoretically unjustifiable though it may finally be, about the presence of 'text itself," Their efforts may be understood as an outcome of their pedagogical strategy to cope with a situation of mass education, which is also the situation we now work in, where we have to cope with students with neither appropriate experience in literature nor competence to deal with the English language. We cannot emphasize too much that the first and foremost objective of the course is in the training of the students in close reading of literary texts and in the intense experience of as many specimens of literary works as possible.

      • KCI등재

        지향성 안테나 기반 공중전술네트워크를 위한 적응적 이웃노드 탐색기법

        이성원(SungWon Lee),윤선중(SunJoong Yoon),고영배(YoungBae Ko)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7 No.1

        네트워크중심전(NCW)은 현재 효율적인 전쟁수행을 위한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중심전 개념에서 여러 전술, 전략 단위의 신뢰성 있는 고속 통신을 지원하기 위하여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공중전술네트워크가 형성될 전망이다. 이는 매우 동적인 이동성을 가지는 환경으로써 이러한 환경에 맞는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이웃노드 탐색 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공중전술네트워크를 위한 적응적인 이웃노드 탐색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모든 노드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HELLO 메시지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면서 고 신뢰성을 가지는 새로운 방식의 이웃노드 탐색을 수행하며 성공적인 데이터 전송에 기여한다. 본 제안 기법의 성능과 효율성 검증을 위하여 수학적 분석 및 Qualnet 4.5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Network Centric Warfare(NCW) is becoming a prominent concept in the current trend of warfare. To support high quality communication between strategic/tactical units in the concept of NCW, Tactical Airborne Networks are likely to be constructed in the near future to take part in the NCW. In these Tactical Airborne Networks with dynamic topology variations due to very high mobility of participants nodes, more efficient and reliable neighbor discovery protocols are needed. This paper presents the adaptive HELLO message scheduling algorithm for Tactical Airborne Network using directional antennas. The purposed algorithm can reduce the overhead of periodic HELLO message transfer, while guaranteeing successful data transmission. We concluded a mathematical analysis and simulation studies using Qualnet 4.5 for evaluation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sche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