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NF 상지패턴에 기초한 진동운동기구 훈련이 노인의 체간 안정성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이형수 ( Hyoungsoo Lee ),임정대 ( Jungdae Im ),이기훈 ( Gihun Lee ),이지성 ( Jiseong Lee ),이진욱 ( Jinwuk Lee ),손지윤 ( Yeonju Seo ),서연주 ( Jiyoon Son ),안효정 ( Hyojoeng An ),오현정 ( Hyunjeong Oh ),윤하늘 ( Haneul Youn ),이서연 대한통합의학회 2015 대한통합의학회지 Vol.3 No.3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vibration exercise grafting PNF patterns for 6 weeks on upper body stability and equilibrium for seniors having fifteen or over of MMSE-K. Method : A total of 10 senior citize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participant performed PNF patterned exercises using vibration sports equipment for 30 minutes, once static a week, for six weeks. We measured trunk stability and balance degree before and after the six-week exercise program. Motor Assessment Scale (MAS) was used to measure trunk stability, while Functional Reach Test (FRT) and Timed Up and Go (TUG) was used to measure balance degree.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paired t-test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pre-program conditions and post-program conditions. Results: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post-program trunk stability measurements increased when compared to pre-program data; however, this increa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 and post-measurements for sa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were statistically unchanged. Conclusion: Due to limitations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procedural design of this experiment, and the limited amount of time participants actually controlled, this study failed to produc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However,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using a systematically implemented exercise program to show support for exercising with flexi-bar as an effective program for the elderly.

      • KCI등재

        초등학생의 조기영어교육 실태 연구

        이서연(Lee, Seo Yeon),배지영(Bae, Jiyoung)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22 초등영어교육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provided in early childhood and its effect. For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pecified as follows: 1)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provided in early childhood? And 2) what is the difference in English learning status between those who have received English language education provided in early childhood and those who have not? As a survey target, 639 students from the fifth through sixth grade, who are now provided with English language education by four elementary school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 questionnaire designed as a research tool consisted of 30 ques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80 perc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the fifth through sixth grade are taught English language in their early childhood. Second, the experiences of early English language education before the third grade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comprehension of English learning and the children’s positive perception of English; therefor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Educational suggestion and implication are presented.

      • KCI등재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이서연 ( Seoyeon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노인실태조사 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다변량회귀 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자기기 활동 수가 많을수록, 정보화기기 사용의 불편함이 적을수록 주관적 건강 상태가 높았고, 우울감은 낮았다. 사회적 관계망은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증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삶의 질에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세대의 정보격차를 최소화하고,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하여 노인의 고립과 소외를 막을 수 있는 학문적·정책적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between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of the elderly on their quality of life (QOL).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with the Survey on the Elderly in 2020. As a result, the higher the digital literacy, the better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social network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in the elderly on QO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igital literacy of the elderly not only directly affects the QOL of the elderly, but also indirectly contributes to the QOL by enhancing the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academic and policy measures to minimize the digital literacy gap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and to prevent the isolation and alienation of the elderly was proposed.

      • KCI우수등재

        컴퓨터영상단말기증후군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사무직 근로자의 척추정렬과 경부통증에 미치는 효과

        이서연 ( Lee Seo-yeon ),김정훈 ( Kim Jung-hoon )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근로자의 컴퓨터영상단말기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VDTS)의 개선을 위한 인간공학 및 운동 처치의 개입이 경부장애지수(Neck Disability Index, NDI) 및 척추만곡도(Spinal Curvature, SC)와 관련된 근골격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제군(n=8)에게 모니터, 책상, 의자 및 키보드의 위치 그리고 모니터 화면의 밝기 등과 같은 인간공학적 작업환경의 변화가 적용되었다. 이와 달리, 실험군(n=13)은 컴퓨터 작업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척추 주변 근육을 위한 스트레칭 및 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8주간(주3회) 적용되었다. 그 결과, 흉추 48도 및 요추 40도의 기준각도에 근거하여 사전 사후의 변화를 집단별로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 흉추 및 요추만곡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발견되었다(p<.01). 또한 NDI는 사전 사후의 차이 비교를 실시한 결과, 실험군이 비교군보다 유의한 경부 통증의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p<.01). 그러므로, 좌업식 작업에 노출되어 있는 사무직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작업환경과 같은 인간공학적 중재와 더불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중축골격 및 척추 주변 근육 강화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이 함께 적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and intervention exercise programs for office workers with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VDTS) on musculoskeletal disease related to Neck Disability Index (NDI) and Spinal Curvature (SC). For the control group (n = 8) modifications in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the height and position of the monitor, the desk and the chair, the angle of the keyboard and the brightness of the monitor screen were applied, and the experimental group (n = 13) experienced the working ergonomic modification as well as a stretching and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to strengthen core muscles for 8 weeks (3 times a week). As a result, based on the reference angles of 48 degrees for thoracic spine and 40 degrees for lumbar spin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oracic and lumbar spine curvature (p <.01). In addition, the NDI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 to post difference (p <.01). Improving the symptoms of VDTS with ergonomic intervention is not sufficient, and it is thought that an additional intervention of mid- and long-term exercise program may be necessary for significant improve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t is recommended that office workers with computer work environment may need to apply ergonomic intervention as well as axial skeleton and core muscle oriented exercise program for long period of time to reduce VDTS-based symptoms.

      • KCI등재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서연(Lee, Seo-Yeon),서현아(Seo, Hyu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 행복감, 교사-영유아의 상호작 용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수준을 알아보고,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지와 실외 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이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1월 7일∼1월 25일까지 3주간 걸쳐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그릿, 행복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 302부를 분석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를 위하여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수준은 보통이상(M >3.0)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 행복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외놀이에서 나타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보육교사의 높은 그릿과 행복감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변인으로 판단되며,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이 높아지려면 실외놀이 에서 보육교사의 그릿과 행복감을 높이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happin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in outdoor play. The proble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outdoor pla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among teachers in outdoor play, 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outdoor play affects teacher-infant interactions. To achieve this goal, 350 child care teachers worked at daycare centers in Busan for three weeks from January 7 to January 25, 2019. Based on the prior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grit, happin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measures. Afterwards, 302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tegrated correlation and multiple return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and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infant children in outdoor play were mediocre (M >3.0).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grit, happines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s of child care teachers shown in outdoor play. Third, the grit and happiness, of the child care teacher shown in the outdoor play turned out to be a variable affecting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refore, the high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must be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s, and the highest priority is to enhance the gri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in outdoor play to increase teacher-infant interactions.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서연(Lee Seo Yeon),우애자(Woo Ae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 교과서에 과학의 본성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으며, 그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 4종을 선정하였다.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은 4가지 범주(이영희, 2013)로 분류하였고, 과학의 본성 수준은 4가지 수준(김영선, 2013)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전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은 범주 ‘Ⅰ. 과학 지식의 본성’ 51.2%, 범주 ‘Ⅱ. 과학적 탐구의 본성’ 28.6%, 범주 ‘Ⅲ. 과학적 사고의 본성’ 7.6%, 범주 ‘Ⅳ.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관계의 본성’ 12.6%로 불균형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하위 요소 분포에서도 일부 하위 요소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단원별 분석에서는 1~7단원까지는 교과서 전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의 4가지 범주의 분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8단원에서는 범주 Ⅰ이 가장 낮고 범주 Ⅳ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임으로써 상반된 분포가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 전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수준은 ‘세련된 관점의 암시적 표현’이 88.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순수한 관점의 명시적 표현’이 0.2%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그러나 각 하위 요소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Ⅳ-1)에서 명시적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Ⅱ-2, Ⅲ-1), Ⅳ-1)은 세련된 관점보다 순수한 관점이 더 높게 나타났다. 교과서 단원별 분석에서는 8단원에서 명시적 표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7단원에서는 명시적 표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NOS) reflected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followed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e study, the four kinds of textbooks were selected. The analysis frame proposed by Lee(2013) is used to analyze the nature of science into four categories. Also, for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nature of science(Kim, 2013), classify for four lev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on the textbooks showed that ‘Ⅰ.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51.2%, ‘Ⅱ.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28.6%, ‘Ⅳ. nature of interaction among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12.6%, and ‘Ⅲ.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7.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ature of science reflected unevenly for each category, and focused on the specific sub-categories. In the analysis of the chapter, chapters 1~7 shows similar tendencies, on the other hand chapter 8 shows conflicting results. Second,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nature of science showed that ‘informed view and implicit’ accounted for 88.8%, on the contrary ‘naive view and explicit’ accounted for 0.2%. Informed view showed much more than naive view, implicit expression showed more than explicit expression. In the analysis of themes, explicit express showed the most at the sub-themes Ⅳ-1), but Ⅱ-2), Ⅲ-1), Ⅳ-1) showed more informed view than naive view. Also,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chapter, chapter 8 shows the most percentage on explicit, while other chapters show little explicit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