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분류 규칙 추출

        이상봉(Sangbong Lee),한명묵(Myungmook Han),이일병(Yillby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Ⅱ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류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구현된 방법인 KBGA(Knowledge-Based Genetic Algorithms)와 다른 분류 방법들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이전에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분류에서는 개체 집단에 여러 가지 연산자들을 적용해서 분류 규칙으로 진화시켜나가는 방법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데이터를 조사하여 분류를 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치는 비트들을 찾아서 규칙으로 표현하고, 이들을 개체 집단에 넣어서 분류 규칙으로 진화시켜 나갔다. 분류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비트들을 규칙 형태의 분류 지식으로 개체 집단 안에 집어넣음으로써 빠른 세대 안에 좋은 규칙을 찾아낼 수 있었다.

      • 논 비점오염 배출저감을 위한 물 관리 시스템 개발

        이상봉 ( Sangbong Lee ),김민영 ( Minyoung Kim ),김승희 ( Seounghee Kim ),김영진 ( Youngjin Kim ),김민경 ( Minky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최근 이상기상과 환경오염이 심해지면서 수질과 수생태계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부문의 질소와 인 양분수지는 OECD평균치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며, 질소수지의 경우 OECD평균치의 약 3배인 240kg/ha/yr에 달한다. 특히, 농업부문발생 비점오염 중 대부분은 관개기 초기의 논에서 다량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장단위 논에서 연간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평가하고 공학적 기법에 의한 논 발생 오염물질의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물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논의 담수심을 자동으로 관리하여 배수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취수물꼬시스템과 활성탄을 적용한 배수물꼬를 설치한 결과, 관개기 초기 논에서 발생하는 T-N, T-P의 양을 각각 36%, 26%저감할 수 있었다.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protect water quality and aqua-ecosystem. Nutrient balances of T-N and T-P in agriculture has recorded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and T-N balance reached 240mg/ha/kr which is three time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In particular, it has been known that most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agriculture occurred during the early stage of irrigation. Therefore, this study assessed the annual discharge of pollutants from paddy fields and developed the water management technique to reduce the pollutant loads. An automatic control of ponding depth enabled to minimize the amount of pollutant discharged from a paddy field and the intake sluice integrated with activated carbon developed in this study reduced the occurrences of T-N and T-P by 36% and 26%, respectively.

      • 논 발생 오염물질 배출 저감에 관한 연구

        이상봉 ( Sangbong Lee ),김민영 ( Minyoung Kim ),김승희 ( Seounghee Kim ),김민경 ( Minky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최근 이상기상과 환경오염이 심해지면서 수질과 수생태계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 농업부문의 질소와 인 양분수지는 OECD평균치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며, 질소수지의 경우 OECD평균치의 약 3배인 240kg/ha/yr에 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장단위 논에서 연간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평가하고 공학적 기법에 의한 논발생 오염물질의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물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논의 담수심을 자동으로 관리하여 배수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물관리시스템과 활성탄을 적용한 배수물꼬를 설치한 결과, 관개기 논에서 발생하는 T-N, T-P의 양을 각각 43~70%저감할 수 있었다. 또한 관개기 취수량과 재배관리용수량을 각각 52%와 39% 줄이는 효과가 나타났다.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protect water quality and aqua-ecosystem. Nutrient balances of T-N and T-P in agriculture has recorded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and T-N balance reached 240mg/ha/kr which is three time higher than the OECD average. This study assessed the annual generation rate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rom paddy fields and developed the water management technique to reduce them from the engineering point of view. Automatic control of ponding depth within a paddy field, the water management system for minimizing drainage discharge, and outlet sluice filled with activated carbon discharg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Overall findings showed that 43~70% reductions of T-N and T-P were monitored in discharge waters and the diversion requirement during irrigation period and the water demand during cultivation period were reduced by 52% and 39%, respectively.

      • 유채 재배지의 관행 배수대책에 관한 연구

        이상봉 ( Sangbong Lee ),전종길 ( Jonggil Jeon ),김민영 ( Minyoung Kim ),염성현 ( Sunghyun Yum ),양선영 ( Sunyoung Yang ),이경도 ( Kyungdo Lee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최근 바이오디젤 원료로 이용 가능한 유채를 벼의 후작으로 논에서 재배하는 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유채는 습해에 취약하기 때문에, 수분유지 기능적 특성을 가진 논에서 재배할 경우, 명거 및 암거의 설치 등 배수개량이 필요하다. 특히, 해안 근처 간척지 논의 경우에는 배수불량 및 동절기에 토양 염분 상승으로 인한 생육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북 부안, 전남 영광 일대의 유채 재배 논 관행 배수 실태를 조사하고 포장의 배수성이 유채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여 유채 재배 논의 배수개량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채 재배논의 배수는 주로 명거에 의존한 지표배수를 실시하고 있었으며, 암거 및 승수로 설치 포장은 없었다. 또한 명거 간격은 150~340cm로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나 토성 및 면적을 고려한 적정 규격은 없었다. 생육기간 전반에 걸친 토양수분변화와 수량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배수 양호한 포장이 불량한 포장에 비해 평균 2.7배 높은 수량을 보였다. The growth of rapeseed for bio-diesel material has been receiving much attention. However, since rapeseed is vulnerable to humidity, when it is grown in paddy fields which functions to maintain a high level of mois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pen and closed conduits. Particularly, reclaimed paddy fields nearby the coast, the rapeseed growth becomes poor due to poor drainage conditions and the high soil salinity level during the winter.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nventional drainage condition of paddy fields in Buan, Jeonbuk and Youngguang, Jeonnam. In addition, the response of rapeseed yield on a type of drainage was also stud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used for the fundamental database to develop drainage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rapeseed growing paddy fields. Some of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drainage in rapeseed growing paddies was usually performed using the open conduits, there were no closed conduits and intercepting drain canals installed. In addition, the interval of open conduits ranged from 150 to 340cm, which clearly showed the regional differences. There was no standard considering soil characteristics and areas.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the changes of soil moisture contents and rapeseed yields were investigated and the yield in paddies with good drainage condition was 2.7 times better than the ones in paddies with poor drainage condition.

      • 논둑 보강용 시트의 설치 효과

        이상봉 ( Lee Sangbong ),전종길 ( Jeon Jonggil ),문종필 ( Moon Jongpil ),김민영 ( Kim Minyoung ),이수장 ( Lee Sujang ) 한국농공학회 200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8 No.-

        Recently paddy levee collapse has been increased due to neglectable management such as the omission of the levee coating and the occurrence of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 Because of levee collapse, ponding depth can not be hold, and it needs a lot of expense to restoration and effort. In this study, levee covering sheet was developed for reinforcing the levee and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2 districts(Sangju and Pyeongteak) to clarify its installation effects. From results, the developed the covering sheet gave good effects in preventing weed incidence and levee crash.

      • 논둑 붕괴의 원인에 관한 기초 연구

        이상봉 ( Lee Sangbong ),전종길 ( Jeon Jonggil ),김영화 ( Kim Younghwa ),이수장 ( Lee Sujang ),강석원 ( Kang Sukwon ) 한국농공학회 200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7 No.-

        Recently paddy levee collapse has been increased due to neglectable management such as the omission of the levee coating and the occurrence of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 Because of levee collapse, ponding depth can not be hold, and it needs a lot of expense to restoration and effort. For the development of levee reinforcement technology, the reasons of levee collapses, collapse scales, damaged forms at 3 districts(Yangpyeong, Hwasung, Cheongwon), where the levee collapse often occurs, were investigated as the basic data. From results, the main factors of the levee collapse were levee gradient and the portion of clay ratio. Too low or too high clay contents in soil was one of collapse reason.

      • 유채 재배 논의 배수성 개량에 관한 연구

        이상봉 ( Sangbong Lee ),김민영 ( Minyoung Kim ),염성현 ( Sunghyun Yum ),김승희 ( Seounghee Kim ),양선영 ( Sunyoung Yang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최근 바이오디젤원료와 사료작물의 확보를 위하여 벼의 후작으로 유채를 재배하는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유채는 습해에 취약하기 때문에, 수분유지 기능적 특성을 가진 논에서 재배할 경우, 명거 및 암거의 설치 등 배수개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채재배 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명거의 간격에 대해 검토하고 수평암거의 도입가능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명거의 경우 설치간격보다는 배치 및 기울기가 배수성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평암거 설치 후가 설치 전에 비해 토양 잔류염분 농도가 현저히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치간격이 좁을수록 염분제거 및 과잉수분 배제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육 및 수량조사 결과, 배수성이 양호한 곳에서 생육 및 증수효과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biodiesel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means of reducing fossil fuel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Particularly, biodiesel production potential from rapeseed led many researchers to seek for the best growth condition of rapeseed in reclaimed lands. The vulnerability of rapeseed to humidity and salinity is well known, and the rapeseed growth in reclaimed paddy fields nearby the coast becomes poor due to poor drainage conditions and the high soil salinity level during the winter.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determining the optimal installation standard for each type of conduits and evaluating the feasibility of horizontal-closed conduit for better rapeseed production. The installation intervals were varied; 2, 4 and 6m for open conduit and 3, 5 and 7m for closed conduit, respectively. Groundwater level, soil moisture content and salinity reading from the surface and subsurface soils during the study period (January in 2009 through June in 2010) were monito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mpact of installation arrangement and slope was greater than the installation interval in the case of open conduit, 2) the horizontal-closed conduit was very effective to reduce the soil salinity levels, 3) as the installation interval became small, the reduction of salinity level and excessive soil moisture contents increased, and 4) better growth condition and yield of rapeseed were achieved from the paddy fields with good drainage conditions.

      • 고분자응집제 처리에 따른 간척지 토양의 비산먼지 발생 저감 효과

        이상봉 ( Sangbong Lee ),김영진 ( Youngjin Kim ),최용훈 ( Yonghun Choi ),김민영 ( Minyoung Kim ),김희태 ( Heetae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고분자응집제(Polyacrylamide)는 강력한 흡착관능기를 가지는 유기화합물로 미세입자를 결합시키는 능력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상하수도처리, 비산먼지 방지, 접착제 및 포장재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하고 있으며, 농업분야의 경우 토양 물리성 개량, 토양유실 저감을 통한 농지기반 보호 등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제조 또는 유통 중인 고분자응집제(천연고분자계 5종, 합성고분자계 5종) 중 Jar-test를 통해 선발한 응집능력이 우수한 2종류(D, R)의 응집제에 대해 간척지 토양의 표면에 처리 한 후 비산먼지 발생저감 효과를 풍동시험으로 평가하였다. 풍동시험은 농촌진흥청 내에 설치되어 있는 개방형 아음속 경계층 풍동(L×B×H : 34×3×2m, 시험부 15m)에서 실시하였다. 풍동 내에 새만금 간척지에서 샘플링한 토양(Loamy Sand)을 일정 크기(50cm×50cm×2cm)의 고정 패드에 충진하고 고분자응집제(50ppm)의 표면 살포량(0.1, 0.5, 1.0mm)과 풍속을 변화(4∼12m/s)시키면서 시험 전후의 토양시료 무게 변화로 비산먼지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최대 풍속 값은 해당 토양을 샘플링한 지역의 최근 3년간 최대 풍속기록을 참조하여 설정하였으며 풍속별 지속시간은 5분으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비산먼지 발생량은 D, R 모두 풍속이 증가할수록 늘어나고 표면 살포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대풍속(12m/s)에서 살포량이 1.0mm와 0.5mm 일 때 D의 비산량은 각각 초기 시료무게의 0.18%, 0.28%, R의 경우 각각 0.20%, 0.33%로 2종류 모두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동일조건에서의 비산량은 풍속이 낮아질수록 근소한 차를 보였다. 한편 살포량이 0.1mm인 경우는 최대풍속의 비산량이 40∼41%로 나타나 무처리 42%에 비해 비산방지 효과가 크기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후 추가적인 시험을 통해 간척지토양의 비산방지를 위한 고분자응집제의 현장 적용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