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농구선수의 성별에 따른 등속성 무릎 관절 근기능 비교 분석

        이삼준,방현석,황부근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농구선수의 성별에 따른 등속성 무릎관절 근기능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농구 선수 총 23명(남자: 11명, 여자: 12명)을 대상으로 Biodex를 이용하여 60゜/sec와 90゜/sec 각속도에 서 무릎관절 굴곡근과 신전근에 대한 등속성 근기능을 측정하였으며, 최대근력, 체중당 최대근력, 평균 근파워, HQ ratio 에 대해 집단내 좌·우측 및 성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0゜/sec와 90゜/sec 등속성 근기 능에서 남녀 모두 좌우측에 대한 차이는 없었지만, 여자 선수는 남자 선수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60゜/sec와 90゜ /sec의 HQ ratio는 남녀 모두 좌우측에 대한 차이는 없었지만 좌측의 경우 여자 선수는 남자 선수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자 농구 선수의 근기능 상태가 남자 농구 선수에 비해 매우 부족할 뿐만 아니라 HQ ratio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 다. 따라서 여자 농구 선수들의 상해예방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는 무릎관절의 근력 및 근파워 트레이닝을 통한 하지 근력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무릎관절 굴곡근 강화에 대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the knee joint in high school basketball players. Twenty-three high school basketball players (11 males and 12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knee flexion and extension were measured at 60 degrees/sec and 90 degrees/sec angular velocity using Biodex for the evaluation of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lower limbs for maximum muscle strength, maximum muscle power per body weight, average muscle power, and HQ ratio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and right measurement values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60 degrees/sec and 90 degrees/sec, but the results of female athlet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male athletes. The HQ ratios of 60゜/sec and 90゜/sec did not differ from both men and women, but the values of left legs in female athlet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ale athletes. Thus, the lower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HQ ratio of female basketball players indicate an insufficient isokinetic muscle function ability comparted to men player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injury and improve performance of female basketball play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through muscle strength and muscle power training of the knee joint, and in particular, it is recommended that a training program for strengthening knee joint flexion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후보

        고강도 훈련방법에 따른 보디빌더의 근 성장관련 호르몬, 염증성사이토카인 및 등속성 근력의 변화

        이삼준,방현석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High-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on Muscle Growth Related Hormon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Isokinetic Strength in body builders. The 25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rest pause set group(RPG) of 8, giant set group(GIG) of 9, and ascending set group(ASG) of 8 and they conducted assigned training 6 times a week for 12 weeks. Analysis of ANCOVA was done using SPSS 19.0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conducting ascending set is more effective than rest pause and giant on Muscle Growth Related Hormone secretion. Giant set training is effective on Isokinetic Strength, especially IL-6. Knee joint isokinectic muscle strength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Percentage body fat of body composi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of 3 groups, and ASG showed more significant decrease than RPG and GIG. It is shown that even High-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could have various change depending on training composition. However,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adding various variables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보디빌더를 대상으로 고강도 저항훈련을 실시하여 근 성장관련호르몬, 염증성사이토카인 및 등속성 근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남성보디빌더 25명을 대상으로 휴식-정지집단 8명, 자이언트집단 9명, 어센딩집단 8명으로 구분하여, 주 6회, 총 12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센딩 세트가 휴식-정지 및 자이언트세트 훈련법에 비해 근 성장 관련호르몬 분비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자이언트훈련법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IL-6의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슬관절 등속성 근력은 세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었지만, 집단 간 유의차는 없었다. 신체구성 중 체지방률은 세 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되었고, 어센딩 집단이 휴식-정지 집단과 자이언트 집단보다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고강도 저항훈련이라 할지라도 훈련의 구성방법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인이 추가된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보디빌딩경기 후 1주일간의 회복방법 차이가 염증지표, 항산화효소와 지질과산화 및 슬관절 등속성 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삼준,황부근,방현석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9 코칭능력개발지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보디빌더의 경기 후 적절한 회복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를 마친 후 7일간의 다양한 회복방법을 적용함으로서 고강도 저항운동과 식습관 조절로 저하되어 있는 신체기능을 효과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B광역시보디빌딩협회에서 주최하는 보디빌딩 대회에 출전한 선수 53명으로 하였으며, 집단구분은 걷기집단 12명, 요가집단 14명, 저강도 웨이트트레이닝집단 13명, 안정성휴식집단 14명으로 하였다. 집단별 본 운동시간은 30분씩 동일하게 실시하였고, 운동방법으로 걷기는트레드밀을 이용하여 4km/h의 속력으로 30분간 실시하였으며, 요가는 선자세(12자세), 앉은자세(4자세), 누운자세(3자세)로 총 19가지동작을 실시하였다. 저강도 웨이트트레이닝은 1RM의 50%강도로 10개의 부위에 각 1종목운동을 1set 실시하였으며, 반복횟수는 15회로 하였다. 연구결과 CRP는 회복기간 후 걷기와 요가를 실시한 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WBC는 4집단 모두 회복기간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집단 간의 비교에서 CRP와 WBC는 걷기와 요가집단이 저강도 웨이트트레이닝과 안정휴식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Fibrinogen은 회복기간 후 4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SOD는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지만, CAT는 운동을실시한 3집단에서만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MDA는 회복기간 후 4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 집단 간의 비교에서 걷기집단이 안정휴식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신근 최대우력은 회복기간 후 4집단 모두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고, 굴근은 운동을 실시한 3집단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에서 굴근은 요가와 걷기집단이 안정휴식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근지구력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중년 여성의 저항성 운동 기간이 면역세포 및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이삼준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Resistance training has been recommended muscular- and neuro-system. The level of testosterone and cortisol have been known as excellent marker of training effect. Also, FFA is good index of lipid metabolism during the exercis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anabolic responses and lipid metabolism after resistance exercise of high level intensity(HI:10reps at 80% of 1RM, 3sets), moderate level intensity(MI:13reps at 60% of 1RM, 3sets), and low level intensity(LI:20reps at 40% of 1RM, 3se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4 women, who didn't have history of cardiopulmonary diseases and medical problems. Approximately, total exercise volume was 39,000J and resting time had 1minute on all of the exercise protocols. Hormonal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three different times: pre, post and recovery thirty minutes of the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followed;The intensity of resistance exercise was not shown the differences in anabolic responses. But, these data shown the trend that slight high in 60% of 1RM. Furthermore, FFA wasn't significantly change after all of the exercise protoco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per intensity for muscle hypertrophy is applicable to 60% of 1RM. Also, Immune cell and level of cortisol is dependent to uration of resistance exercise 저항성 훈련은 신경 근육 시스템에 대한 주요 강력한 자극이며, testosterone 호르몬의 비율은 저항성 훈련의 효과에 대한 검증의 좋은 지표로 알려져 있다. 저항성 훈련동안의 지질 대사의 좋은 지표는 또한 FFA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강도의 저항성 훈련 이후에 단백질 동화 반응과 지질 대사 운동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고강도는 1RM의 80%, 3sets, 10회 반복(HI), 중정도의 강도는 1RM의 60%, 13회, 3sets(MI), 그리고 저강도는 1RM의 40%, 3sets 20회(LI)로 실시를 하였다. 피험자는 누구나 심폐 질환과 의료 문제가 없는 14명의 여성들로 자발적인 참여를 하였다. 운동의 총량(total volume)은 39,000J, 휴식시간은 1분으로 실시를 하였다. 호르몬 농도 측정은 3번 실시를 하였으며, 운동전-중-운동후 회복기 30분에서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동화반응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고강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1RM의 60%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FFA는 운동후 모든 강도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근육의 발달을 위한 적절한 강도는 1RM의 60%에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임신 전 운동이 새끼 쥐의 해마 치상회에서 초기 발현 유전자에 미치는 영향

        이삼준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임신 전 운동이 새끼 쥐의 해마 치상회에서 초기 발현 유전자인 c-Fos 및 nNOS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목적을 위해 3주령의 sprague-dawley(SD) 쥐를 이용하여(수컷; n=12, 암컷; n=24) 크게 통제 집단(Con), 수컷 운동집단(ME), 암컷 운동집단(FE) 및 수컷과 암컷 모두 운동시킨 집단(BE)으로 구분하였다 (각 집단별 수컷 n=3, 암컷 n=6). 집단 구분 후, ME 집단의 수컷, FE 집단의 암컷 및 BE 집단의 수컷과 암컷을 대상으 로 주당 5일의 트레드밀 운동을 4주간 적용하였다. 운동이 종료된 후 각 집단별로 수컷과 암컷을 1대2의 비율로 교배를 시켜 태어난 새끼 쥐 중 수컷만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새끼 쥐가 젖을 떼는 시기( 21일)에 맞추어 희생하였다. 실험결과, 해마 치상회에서 c-Fos 양성세포 수의 경우 FE 및 BE 집단에서 Con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p<.001). 반면 nNOS 양성세포 수의 경우에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임신 전 운동을 통한 새끼 쥐의 c-Fos 발현 증가는 수컷 보다는 암컷에 의해 효과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pregnancy exercise on c-Fos and nNOS- positive cells in DG of offsprings. After 2 weeks of housing under the normal condition (ad libitum), we divided 3 weeks, thirty-six sprague-dawley (SD) rats (twelve male and twenty-four female) into four groups: control group (Con), male exercise group (ME), female exercise group (FE), and both exercise group (BE), each group male n=3 and female n=6. Male rats of ME, female rates of FE, and BE group rats were performed treadmill exercise for 5 days per week, 4 weeks. All of groups, for pregnancy, were housed by one male and two female rats. When the offspring was 21 day old, we sacrificed. As a results, offspring applied to male, female and both pre-pregnancy exerci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Fos-positive cells of DG compared to Con (p<.001). Offspring of BE group was more increased than other groups in c-Fos. But there was not differences in nNOS-positive cells (p<.05). These data showed that female was more effective than male in c-Fos cells of hippocampus by pre-pregnancy exercise.

      • KCI등재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Alleviates Prenatal Stress-Induced Anxiety in Offspring Rats by Enhancing Cell Proliferation Through 5-Hydroxytryptamine 1A Receptor Activation

        이삼준,김태운,박헌경,윤상윤,유안희,문은진,신동훈,조한진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2016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Vol.20 No.S1

        Purpose: Stress during pregnancy is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anxiety-related disorders in offspring later in life.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anxiety-like behaviors and hippocampal cell prolifer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rats exposed to prenatal stress. Methods: Exposure of pregnant rats to a hunting dog in an enclosed room was used to induce stress. Anxiety-like behaviors of offspring were evaluated using the elevated plus maze test. Immunohistochemistry for the detection of 5-bromo-2ʹ- deoxyuridine and doublecortin (DCX)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and 5-hydroxytryptamine 1A receptors (5-HT1A) in the dorsal raphe was conducte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and tyrosine kinase B (TrkB) levels in the hippocampus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Offspring of maternal rats exposed to stress during pregnancy showed anxiety-like behaviors. Offspring also showed reduced expression of BDNF, TrkB, and DCX in the dentate gyrus, decreased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us, and reduced 5-HT1A expression in the dorsal raphe.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by offspring, but not maternal exercise during pregnancy, enhanced cell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these proteins. Conclusions: Postnatal treadmill exercise ameliorated anxiety-like behaviors in offspring of stressed pregnant rats, and the alleviating effect of exercise on these behaviors is hypothesized to result from enhancement of cell proliferation through 5-HT1A activation in offspring rats.

      • KCI등재

        Tensiomyography를 이용한 아마추어 남자 축구선수의 장딴지근과 앞정강이근의 수축 특성 분석

        이삼준,방현석,황부근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9 No.2

        Background: Tensiomyography (TMG) is a relatively new technique that assesses the contractile properties of muscles in response to a single electrical stimulu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ontractile properties of the gastrocnemius and tibialis anterior (TA) muscles in amateur soccer players using TMG. Methods: We recruited 41 male soccer players (high school group, n=21; college group, n=20). The gastrocnemius medialis (GM), gastrocnemius lateralis (GL), and TA muscles of both lower extremities were assessed using TMG. The maximal displacement (Dm), delay time, contraction time (Tc), sustained time, and half-relaxation time were obtained and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First, both groups showed low Dm for the GM and TA muscles, which indicated high stiffness of the muscle tone. Second, the Tc and contraction velocity (Vc) were high for all muscles, except for the GL showing lower speed than the other muscles, which represented the sports-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soccer player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surement variables between the dominant and non-dominant sides, except for the Tc of the GM in high school athletes and Vc of the TA in college athletes. Conclusions: These results reflected the sports-specific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soccer players. A risk of injury is associated with a high degree of stiffness, and various methods for preventing it should be considered. 연구배경: TMG는 단일 전기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근육의 수축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상대적으로 새로운평가 방법이다. 본 연구는 TMG를 이용하여 아마추어 남자축구선수의 앞정강이근과 장딴지근의 수축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41명(고등부 21명, 대학부 20명)의 아마추어 축구선수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TMG는 안쪽 및 가쪽장딴지근(GM, GL)과 앞정강이근(TA)의 왼쪽과 오른쪽 모두를측정하였으며, Dm, Td, Tc, Ts, Tr을 측정하여 두 집단 간비교 및 집단 내 우세측과 비우세측 부위를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두 집단 모두 안쪽장딴지근(GM)과 앞정강이근(TA)은 Dm이 낮아 근경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축시간(Tc) 및 속도(Vc)는 모든 근육에서 빠르게 나타나 축구선수의 스포츠-특이적인 특성이 내재하는 것으로나타났지만 가쪽장딴지근(GL)은 다른 측정 근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렸다. 셋째, 측정 근육별 우세측과 비우세측 간에는 일부(고등부 GM-Tc, 대학부 TA-Vc)를 제외한 대부분의 측정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GM과 TA 근육에서 빠른 수축시간으로 인한 스포츠-특이적인 특성이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근경직도가 높아상해 위험성이 존재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