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를 활용한 플로랄 디자인 제안에 관한 작품 연구

        이사무엘,노경란,유금명,전영희,서지현,김유선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8 No.-

        The net function of the flower not only gives a person a sense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ut also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physical health through direct cultiva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cultural level, the higher the consumption of flowers, and in some developed countries, flower consumption has already become a very natural phenomenon in daily life. While there is a consumption culture for decoration that suits each person's taste, in Korea, flower consumption per person is less than 120,000 won, which is very small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according to the 2018 statistics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reality is that many view flower products only as luxury goods or consumer goods or gifts that are used without recognizing them as cultural product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e and quickly wither away. In addition,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Illegal Solicitation and Money and Collection" and COVID-19, the decrease in demand for flowers used in graduation ceremonies and various events, such as collection bans, have dealt a heavy blow to the flower industry and plunged into a long-term recessi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can be described as a connected network and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to exchange opinions on common interests with others. For companies, not only securing customers but also creating economic value as a new revenue model such as advertising and social ripple effects are drawing keen attention, and are recognized as a new marketing channel. In line with this trend, companies are strategically participating in SNS to promote and market their products and brands. When new products are released through SNS such as Instagram and Facebook, which can communicate with customers in real time, companies are establishing network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by promoting new product information, brand news, and event information. In particular, SNS is known t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qualitative limitations of information on empirical attributes that have been known after using goods and services unlike in the past. Therefore, flower shops also use SNS as a marketing tool to survive only when changes are mad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the times. In this study, we will provide flower-related companies with effective strategies and basic data to promote sales and operating profit of flower shops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loral design works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 were proposed. Color analysis data associated with urban agriculture and smart farms through case suggestions using th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used in the operation of various projects and education in each field. 전세계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각각의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구축하고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환경구성과 마케팅 전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색채이미지 데이터 구성을 위해 20~30대 디자인전공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단어와 색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농업에 연상되는 단어는 스마트팜 23%, 텃밭 19%, 환경 1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는 자동화 38%, 식물공장 15%, 친환경 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각 연상되는 단어를 포탈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한 이미지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도시농업에서 연상되는 단어(스마트팜, 환경, 텃밭)에서 Green Yellow, Green, Yellow Red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톤(tone)은 white톤이 가장 많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자동화, 친환경, 식물공장)에서 Green, Blue, White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톤(tone)은 deep톤과 white톤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환경, 이미지, 연상색채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 이미지는 같은 계열의 색상은 맞지만, 도시농업은 좀 더 연하고, 스마트팜은 도시농업보다 조금 짙은 색이 연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하려고 할때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이미지를 두각시킬 수 있으며 톤(tone)은 vivid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스마트팜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 할 때는 Green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톤(tone)은 deep톤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플로랄 디자인 작품을 제안하였으며,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분석 데이터와 이를 활용한 사례 제안을 통해 각 분야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사업과 교육의 운영 시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CycleGan 딥러닝기반 인공CT영상 생성성능에 대한 입력 MR영상의 T1 및 T2 가중방식의 영향

        이사무엘,정종훈,김진영,이연수 한국방사선학회 202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8 No.1

        MR은 우수한 연조직 대비와 기능 정보를 보여줄 수 있지만, 방사선치료에서 정확한 선량 계산을 위해서는 CT영상의 전자밀도 정보가 필요하다. 방사선치료(Radiotherapy) 계획 워크플로우에서 MR영상과 CT영상을 융합하기 위해 환자는 일반적으로 MR과 CT영상 방식 모두에서 스캔된다. 최근에 딥러닝기술 덕분에 MR영상에서 딥러닝 기반의 CT영상 생성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CT 스캔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MR영상으로부터 CycleGan 딥러닝 기반 CT영상생성을 구현했다. T1가중이나 T2가중 중에 한가지 또는 그 둘다의 MR영상을 가지고 합습한 3가지의 인공지능 CT생성기를 만들었다. 결과에서 우리는 T1가중 MR 영상 기반으로 학습한 생성기가 T1가중 MR영상이 입력될 때 다른 CT생성기보다 더 나은 결과를 생성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반면, T2가중 MR영상 기반 CT생성기는 T2가중 MR영상을 입력 받을 때, 다른 시퀀스기반 CT생성기보다 더 나은 결과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MR영상을 기반으로 한 CT생성기는 곧 임상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특정 시퀀스 MR영상으로 학습한 머신러닝 CT생성기는 다른 시퀀스 MR영상으로 학습한 생성기보다 더 그 특정 시퀀스와 같은 MR영상을 입력받을 때 더 나은 CT영상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Even though MR can reveal excellent soft-tissue contrast and functional information, CT is also required for electron density information for accurate dose calculation in Radiotherapy. For the fusion of MRI and CT images in RT treatment planning workflow, patients are normally scanned on both MRI and CT imaging modalities. Recently deep-learning-based generations of CT images from MR images became possible owing to machine learning technology. This eliminated CT scanning work. This study implemented a CycleGan deep-learning-based CT image generation from MR images. Three CT generators whose learning is based on T1- , T2- , or T1-&T2-weighted MR images were created, respectively. We found that the T1-weighted MR image-based generator can generate better than other CT generators when T1-weighted MR images are input. In contrast, a T2-weighted MR image-based generator can generate better than other CT generators do when T2-weighted MR images are input. The results say that the CT generator from MR images is just outside the practical clinics and the specific weight MR image-based machine-learning generator can generate better CT images than other sequence MR image-based generators do.

      • KCI등재

        사람의 머리 모션 인식을 이용한 게임 인터페이스 구현

        이사무엘(Samual Lee),이창우(Chang Woo Lee) 한국산업정보학회 2014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5

        최근 컴퓨터 비젼이나 게임과 같은 분야에서 사람의 모션을 이용한 다양한 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모션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면, 사용자는 게임이나 콘텐츠에 더욱 몰입감을 느낄 수 있고, 그에 따른 콘텐츠 사용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웹 카메라를 이용해서 캡처한 영상으로부터 모션을 인식하고, 이를 별도의 장비 없이 게임의 인터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 제안된 방법은 MHI(Motion History Image)와 피부색 검출 결과를 결합하여 입력영상으로부터 사람의 머리 부분을 분할하고, MHI 시퀀스(Sequence)를 이용하여 방향과 이동거리를 계산한다. 실험결과에서 제안된 사람의 머리 모션 인식 결과를 실제 게임에 적용하여 게임 캐릭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의 몰입감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그로인해 기능성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ecently, various contents using human motion are developed in computer vision and game industries. If we try to apply human motion to application programs and contents, users can experience a sense of immersion getting into it so that the users feel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from the contents. In this research, we analyze human head motion using images captured from an webcam and then we apply the result of motion recognition to a game without special devices as an interface. The proposed method, first, segments human head region using an image composed of MHI(Motion History Image) and the result of skin color detection, and then we calculate the direction and distance by the MHI sequence. In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for human head motion recognition was tested for controlling a game player.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prov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make a gammer feel more immersed into the game. Furthermore, we expect the proposed method can be an interface of a serious game for medical or rehabilitation purposes.

      •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비교 분석

        이사무엘(Samuel Lee),노경란(Kyungran No),유금명(Jinming Liu),이미자(Miza Lee),이상훈(Sanghoon Lee),전영희(Younghee Jeon),김유선(Yoosun Kim)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전세계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각각의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구축하고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환경구성과 마케팅 전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색채이미지 데이터 구성을 위해 20∼30대 디자인전공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단어와 색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농업에 연상되는 단어는 스마트팜 23%, 텃밭 19%, 환경 1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는 자동화 38%, 식물공장 15%, 친환경 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각 연상되는 단어를 포탈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한 이미지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도시농업에서 연상되는 단어(스마트팜, 환경, 텃밭)에서 Green Yellow, Green, Yellow Red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톤(tone)은 white톤이 가장 많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자동화, 친환경, 식물공장)에서 Green, Blue, White 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톤(tone)은 deep톤과 white톤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환경, 이미지, 연상색채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 이미지는 같은 계열의 색상은 맞지만, 도시농업은 좀 더 연하고, 스마트팜은 도시농업보다 조금 짙은 색이 연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하려고 할때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이미지를 두각시킬 수 있으며 톤(tone)은 vivid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스마트팜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 할 때는 Green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톤(tone)은 deep톤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Improving self-sufficiency in organ transplantation in Korea

        안규리,이사무엘,김영훈,오지은,윤익진,안형준,서수현,정종철,김명수,하종원,김순일,문인성,조원현 대한이식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Transplantation Vol.35 No.3

        After attaining a qualified medical capacity in organ transplantation, Korea has been struggl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deceased organ transplants to reach self-sufficien- cy. As one of these efforts, Korea revised the organ transplantation law in 2010 by adding three articles the mandatory reporting based on the recommendation of the 3rd Global Consultation on Organ Transplantation of Madrid in 2010. Along with the new constitu- tion,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initiated to upgrade the deceased organ transplan- tation system while maintaining the virtues of fairness, justice, and transparency. The Korean Society of Transplantation played a critical role in revising the law as well as in establishing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n Organ Donation Agency (KODA; 2009), the Vitallink (2009), and the Korean Organ Transplantation Registry (KOTRY; 2010). By the activities of these professional organizations, Korea could implement fundamental programs such as mandatory reporting and could develop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organ donation for students and the general popula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deceased donors increased from 1.08 p.m.p. (2000) to 9.23 p.m.p.(2020). Further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organ donor cardholders and family consent rates by well-designed, target-specific education programs to overcome traditional negative cultural barriers toward organ donation. The community atmosphere of honoring and thanking donors and their families should be nurtured by national and regional activities of life-sharing weeks linked with organ donor memorial parks.

      • KCI등재

        인공 신경망 기반의 지문 영상 복원 알고리즘

        장석우(Seok-Woo Jang),이사무엘(Samuel Lee),김계영(Gye-Yo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8

        일반적인 지문 인식기에서 이용되는 미뉴셔 특징은 표현 공격에는 강건하지만 오 정합률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약점이 있다. 따라서 미뉴셔 특징은 스켈리톤 영상과 함께 이용되는 경향이 있다. 보통 지문의 미뉴셔 특징에 대한 보안취약성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있으나 스켈리톤에 대한 취약성 연구는 미약한 형편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스켈리톤에 대한 표현 공격의 취약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문의 스켈리톤으로부터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해 원래의 지문을 복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기존의 Pix2Pix 모델에 잠재 벡터를 추가한 새로운 학습 모델인 Pix2Pix을 제안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지문을 생성한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서는 제시된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해 원래의 지문을 복원한 다음, 복원된 지문을 지문 인식기에 입력시켜 높은 인식률을 달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스켈리톤을 함께 이용하는 지문 인식기는 표현 공격에 취약함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접근방법은 지문 인식 및 복원, 비디오 보안, 생체 인식 등과 연관된 많은 실제적인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use of minutiae by fingerprint readers is robust against presentation attacks, but one weakness is that the mismatch rate is high. Therefore, minutiae tend to be used with skeleton imag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security vulnerabilities in the characteristics of minutiae, but vulnerability studies on the skeleton are weak, so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presentation attacks against the skeleton. To this end, we propose a method based on the skeleton to recover the original fingerprint using a learning algorithm. The proposed method includes a new learning model, Pix2Pix, which adds a latent vector to the existing Pix2Pix model, thereby generating a natural fingerprint. I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original fingerprint is restored using the proposed machine learning, and then, the restored fingerprint is the input for the fingerprint reader in order to achieve a good recognition rate. Thus, this study verifies that fingerprint readers using the skeleton are vulnerable to presentation attacks. The approach presented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useful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concerning fingerprint restoration, video security, and biometr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