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증 성인발달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과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 어머니와 실무자를 중심으로
이복실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5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28
This study was aimed at figuring out the service needs of the family and care burde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o groups, primary care mothers and service provider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weight and complication of care burden, the additional needs due to changing circumstances, institutions that seek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 total of three categories.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changes in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tering adulthood with a reduced institutional care services for a long weary parents felt the difficulties' are weighted complex care burden. In order to meet these 'additional need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over the mind and body of fresh content and parental education and flexible services to meet the care needs were requested party. Also meet the family's needs have been recognized as services available through the restless, ready for an alternative future development, service system construction as "institutions that seek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such 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pport for famili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actical, institutional measures were discussed.
성인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복실,제철웅,이동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0 No.40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실천현장에서 실무자들의 발달장애인 자기결정 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 수준에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거주시설과 장애인복지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46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복지서비스 현장에서 실무자들이 발달장애인 자기결정을 지원하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는 실무자의 인식과 지식, 제공기관 요인, 발달장애인 요인, 발달장애인 부모 요인이었다. 이 중 실무자의 인식과 지식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 제공기관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기관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과 제도를 개선하고, 실무자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개선함으로써 자기결정 지원은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지원을 촉진할 수 있도록 기관 전체의 인식과 환경을 바꿀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고, 실무자의 인식과 지식을 개선하기 위해 자기결정 지원에 대한 기관 단위 교육을 강화하고, 당사자와 부모를 대상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자기권리, 자기옹호 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족 희곡 <불길>에 나타난 여순항쟁의 극적 재현과 바다 공간의 변화
이복실 한국공연문화학회 2023 공연문화연구 Vol.- No.46
This study reviews Flame, a play written by an ethnic Korean living in China with the theme of Yeosoon Uprising. Flame was written by Go Cheol, an ethnic Korean play writer. It was published in 1948 and performed as a drama by Hun Chun Xian Literary and Art Group. This work may well be noteworthy in that it was created and performed just after Yeosoon Uprising and in that it reacted the uprising in terms of class and ideology conflicts and the struggles thereof. Being aware of such facts, this study discussed the play in terms of its background, dramatic reenactment of Yeosoon uprisng, its implications and change of the sea space. Flame was created and performed against the complicated backgrounds of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in China, movement of the Chosun Volunteers Army and their political position, ethnic Koreans’ reality and their close relations with North Korea’s literary and arts circles. Flame discussed the fundamental reasons of Yeosoon uprising, class/an idea struggle and need for a democratic revolution, while dramatically reacted the belief of victory and hope thereof. In the end, the Chosun Volunteers Army instilled faith in the communist regime in the chaotic Korean- Chinese society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enhanced the spirit of struggle to contribute to the completion of the democratic revolution. This is the meaning of the dramatic reproduction of the Yeosoon Uprising contained in Flame. The sea featured by Flame was highlighted as a space where ‘the flame of hope’ was burning because the victory of revolution was realized despite the despairs of death, suppression and violence. Before the uprising, a boatman and his son had lived their life desperately and the sea was expressed as a space of suppression, violence, and despair due to the death of his wife and child being falsely charged. Such a space would change into a space of uprising and victory of the suppressed people. In consideration of the timing and space of the performance of Flame, the changed space of sea would well be a space for class struggle and socialism revolution. 이 논문은 여순항쟁을 소재로 한 조선족 희곡 <불길>을 집중적으로 고찰한 글이다. <불길>은 조선족 극작가 고철에 의해 창작된 작품으로 1948년에 발표되었으며 훈춘현 문예단체에 의해 연극으로 공연되었다. 이 작품은 여순항쟁 발생 직후 창작·공연되었다는 점, 한국이 아닌 중국의 조선족 집거 지역에서 창작·공연되었다는 점, 그리고 계급과 이념 갈등 및 그 투쟁을 통해 여순항쟁을 재현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글은 이러한 지점에 천착하여 희곡 <불길>이 당대 중국 조선족 집거지에서 창작·공연된 경위, 여순항쟁의 극적 재현과 그 의미 및 바다 공간의 변화 등에 대해 논의했다. <불길>은 해방 후, 중국의 정세, 조선의용군의 거처와 정치적 입장, 중국 내 조선인들의 현실 및 북한 문예와의 긴밀한 관계 등 복잡한 배경 속에서 창작·공연되었다. 작품은 계급 갈등을 비롯한 해방 직후 한국 사회의 제반 문제를 통해 여순항쟁의 근본적인 계기와 계급/이념 투쟁 및 민주주의 혁명의 필요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필승의 신념과 희망을 극적으로 재현했다. 결국 조선의용군은 <불길>을 통해 해방 직후 혼란스러웠던 조선족 사회에 공산당 정권에 대한 믿음을 심어주고 투쟁정신을 고양시켜 민주주의 혁명을 완수하는 데 이바지하도록 했다. <불길>이 담고 있는 여순항쟁의 극적 재현의 의미가 바로 여기에 있다. <불길> 속 여수바다는 착취와 피착취, 삶과 죽음, 억압과 폭력의 절망적인 공간으로부터 폭동을 통해 혁명의 승리를 쟁취한 희망의 ‘불길’이 타오르는 공간으로 변화되었다. 뱃사공 부자의 고달픈 삶과 철수 처자식의 억울한 죽음을 통해 표현된 폭동 전의 여수바다는 착취와 피착취, 삶과 죽음, 억압과 폭력으로 점철된 절망의 공간이다. 이러한 공간은 결국 정부에 대항하는 피억압자들의 폭동의 공간, 나아가 그들이 바다 한가운데 승리의 깃발을 꽂는 희망의 공간으로 변화했다. <불길>의 공연 시점과 공연 공간을 고려할 때, 변화한 바다 공간은 곧 계급투쟁 및 민주주의 혁명의 ‘불길’이 타오르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생활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복실,김용득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8
최근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이 기관의 서비스 혁신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시설 성인 지적장애인의 일상적인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인 당사자들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총 219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연령, 자기결정 개념에 대한 이해, 직원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적응행동 수준 등의 개인적 요인들 가운데서는 자기결정 개념에 대한 이해, 직원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적응행동 수준이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위치, 시설 규모, 공동 공간 이용자 수, 거주형태, 자기결정의 기회 등의 환경적 요인들 가운데서는 시설위치, 시설규모, 자기결정의 기회가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결정을 가장 장 예측할 수 있는 변수는 자기결정 기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직원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시설 위치, 적응행동 수준, 자기결정 개념에 대한 이해, 시설 규모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보면 지적장애인들이 실제로 자기결정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가질수록, 직원과의 관계를 이용자 중심으로 생각할수록, 시설의 위치가 도심에 가까울수록, 적응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결정의 개념에 대해서 이해할수록, 시설의 규모가 작을수록 거주하는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50년대 조선족 희곡에 나타난 여성해방 서사- 황봉룡의 단막극을 중심으로 -
이복실 한중인문학회 2025 한중인문학연구 Vol.86 No.-
This article discusses the issues related to women in Hwang Bong-ryong’s one-act plays The New Bride and The Kim Family of the Doctor, closely linking them to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the earl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The New Bride, the protagonist, Seon-suni, embodies women’s liberation by participating in both domestic and productive labor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policy of "diligence and frugality, increased production and thrift." Similarly, The Kim Family of the Doctor portrays Gyeong-hui and Jeong-sun actively securing their professional roles, thereby achieving women's liberation. In other words, these two plays dramatically depict how early Chinese Korean women realized both spiritual and material values and secured their social status through labor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 activities. The different approaches to achieving women’s liberation reflect various aspects of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the earl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as well as the challenges that arose in the process. These challenges include conflicts between individual interests, family obligations, and the deeply entrenched patriarchal system, the dual burden of engaging in social activities while managing household responsibilities, and the ambivalent attitudes of male intellectuals toward women’s liberation. Such issues stemmed from the fundamental clash between the pre-modern social order and values still deeply rooted in the Chinese Korean community and the modern ideals of women’s liberation. They were also an inevitable part of the process toward successfully advancing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