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학계‘대남정책’용어 사용사례 연구

        이병순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공공정책연구소 2015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Vol.1 No.2

        This study raised a necessity to fully understand the current practice of using the terminology on ‘South Korea Policy’ widely used by North Korean academic community and to subsequently establish consensual concepts upon the said terminology. The definition of ‘South Korea Policy’ has never been clear throughout any existing literatures including academic researches and governmental archives, and the use of similar or alternate terminologies has further intensified confusions. Previous studies have employed the expression of ‘South Korea Policy’ for an explanation of the activities by the North Korea. However, in Korea, each researcher had offered diverse definitions on the North Korean activities against the South Korea with ‘Strategies against South Korea,’ ‘Strategic Scheme against South Korea,’ ‘Unification Policy,’ ‘Unification Policy against South Korea’ and ‘South Korea Policy.’ Even with the ‘location’ for the ‘South Korea Policy,’ a variety of claims have been suggested from the views looking into ‘South Korea Policy’ as a tool or means in order to realize the National Strategy and South Korea Strategy to the completely opposite perspective handling the South Korea Policy as an upper concept over the South Korea Strategy. This study, however, defines ‘South Korea Policy’ as a lower concept over the South Korea Strategy based on the hierarchial relationship of “National Objective (Goal) → National Strategy → South Korea Strategy (Revolutionary Strategy against South Korea + Unification Strategy under Communism) → South Korea Policy.” Although North Korea’s South Korea Policy is easily affected by the ‘decision at the level of individual activists’ who participate in policy-makings, it is because various elements at the national level have immeasurable dominance over the lower organizations and their decisionmakings as far as the issues with South Korea are concerned.

      • KCI등재
      • KCI등재

        도시기반 학습과제 개발과 적용사례 연구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글쓰기> 교과목의 ‘기획서 쓰기’를 중심으로 -

        이병순,정경민 이화어문학회 2020 이화어문논집 Vol.51 No.-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기획서 쓰기’ 학습과제는 단순한 지식이나 개념의 획득보다는 실습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 기 위해 <글쓰기> 수업시간에 적용하였다. 기획서의 경우 학생들이 사회 진출 이후 빈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글쓰기이다. 뿐만 아니라 기획서는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모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 제해결능력이나 융합사고력을 배양하는 데 적합한 문서이다. 지역에 기반한 교과목이나 학습과제는 대학생들에게 학습을 통해 자신 이 지역사회의 일원임을 깨닫게 하고, 교육과 연구 결과를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사회적 자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 경험은 학생들이 사회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감을 인식, 예비사회인으로서 소양을 갖추는데 기여한다. 즉 사회와의 관계 또는 공동체 속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확립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해 준다. The “writing a plan for solving community problems” learning task was assigned to writing class to experience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he formation of thinking through experience rather than simple knowledge or concept acquisition. In case of the plan, it is a practical style of writing that students can use frequently after entering the workplace. Particularly, in case of engineering students, it is more likely to prove useful. In particular, the plan is a document suitable for cultivating problem solving ability or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because it can utilize both creative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In particular, locally-based subjects and learning task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college students realize that they are members of the community, through learning, providing opportunities to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education and research results, and forming a social self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Through this learning experience, students recognize their role and responsibility as members of the social community and contribute to their knowledge as a pre-social person. In other words, it provides a new opportunity to understand oneself in the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with society.

      • KCI등재

        대학생의 성찰과 치유를 위한 문학교육방법 연구 -교양교과목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이병순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function of literature for both self-reflection and heal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literature-related liberal arts courses at H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In particular, I focused on how the ‘Writing Prepared Article’ activity summons students' extremely personal and emotional experiences, and showed how it can heal their wound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terature education is reading works, and then conducting writing activities about those works. The ‘Writing Prepared Article’ activity is a very subjective and private description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work, without any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artist or the work itself. Through the ‘Writing Prepared Article’ activity, students identified and sympathized with the characters of the pieces, summoning whatever specific experience or injuries they may have undergone in their past. After doing some reflecting, the students were then able to experience a degree of healing from this process. In addition to reading and writing, I also confirmed that active feedback from the professors about the assignment was also very important. Listening to feedback regarding the criticism, the stude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empathy they felt for the writer. Moreover, students were also able to expand into “emotional engagement” with their classmates, and to further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ir thoughts and experiences. After several weeks of being involved in this activity, students slowly learned how to better relate to others based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peers―one that took them out of the confining framework of their own thoughts, feelings and experiences. 이 글은 수도권 소재 H대학의 문학 관련 교양교과목의 운영사례를 바탕으로, 문학이 대학생의 자아성찰과 치유을 위해 어떤 기능을 발휘하는지 점검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씌어졌다. 특히 ‘준비글 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지극히 사적이고 정서적인 경험을 어떻게 소환하고 그들이 갖고 있었던 상처를 어떻게치유하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문학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작품 읽기와 그것에 관한 쓰기 활동이다. ‘준비글 쓰기’는 작가나작품에 대한 아무런 정보 없이 오직 작품 자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지극히 주관적이고 사적으로서술하는 것이다. 준비글 쓰기를 통해 학생들은 작중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하거나 공감하게 되고, 이를통해 과거의 어떤 특정한 경험이나 상처를 소환해 스스로 성찰하고 그 과정에서 치유를 경험하게되었다. 읽기와 쓰기 외에 과제에 대한 교수자의 적극적인 피드백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준비글에 대한 피드백을 들으면서 학생들은 작품을 읽으면서 작중인물에게 느꼈던 공감이 이제는같은 분반 수강생들과의 ‘정서적 교감’으로 확대되는 경험을 하거나, 서로의 생각과 경험의 ‘차이’를확인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런 경험을 몇 주에 걸쳐 진행하면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 경험만이 옳고 소중하다는 틀에서 벗어나 타인에 대해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나가야하는지 서서히 학습하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여대생의 체형별 식품영양섭취와 식행동

        이병순,이연숙 한국식품영양학회 199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9 No.4

        본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야윈형 (BMI 20 미만), 정상형 (BMI 20∼25), 비만형(BMI 25 이상)을 각각 41, 48, 58명씩 총 147명을 선정하여 체형에 따른 식품 영향 섭취 실태와 식행동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일 총 식품 섭취량중 아침과 간식은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1). 한국인 영향권에 비해 일부 영양소(야윈형은 단백질, 인 정상형은 인, 비만형은 단백질, 인)만 권장량이상을 섭취하였다. 모든 체형에서 대부분의 영양소량이 권장량 이햐로 나타나 여대생의 영양섭취가 불균형으로 나타났다.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 영양소의 섭취는 단백질(P<0.01)과 칼슘(P<0.05)으로 단백질은 비만형이 가장 많이 섭취하였으나, 칼슘은 야윈형이 가장 많이 섭취하였다. 2. 모든 체형에서 열량은 영양권장량 이하로 섭취하였고,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간식으로부터의 열량섭취는 체형별 창가 나타나 비만형이 간식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량을 섭취하였다.(P<0.05) 3. 본인의 체형에 대한 인식은 체형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과소인식형보다 과대인식형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대인식형은 야윈형에서 61.0%, 과소 인식형은 비만형에서 17.2%로 나타났다(P<0.01) 4. 영양소 섭취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결식, 편식, 식사의 불규칙성에 대하여 자신의 인식 정도와 3일간의 식이섭취 조사에서 밝혀진 문제점을 비교한 결과, 편식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정확하였으나 결식과 식사의 불규칙성에 대한 인식은 정확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여대생은 자신의 식행동과 체형에 대한 인식이 정확하지 않았고, 영양섭취도 대부분이 권장량 이하였으므로 앞으로 올 바른 식생활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hosed the 3 groups{lean type(41), the normal type(48) and the obese type(58)} accroding the BMI and then by comparing the nutrition intake and eating behaviors of each 3 group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A significantly difference of nutrition-intake in 3 groups is shown in the take daily food-intake and calorie-intake of snack, which the obese type intakes of protein most, the normal type that intakes of calcium most. The food-habit shown in the self report of each subject, is the irregularity of the food-eating in all 3 groups. In terms of self-estimation by actual physique, the obese type estimates mostly correctly his own physique. To compared self-estimation of eating behaviors, The estimation of the unbalanced dietis mostly correct.

      • KCI등재

        표류와 표착 사이의 삶: 윤금숙의 『여인들』을 중심으로

        이병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여성문학연구 Vol.40 No.-

        Although Yoon Keum-Sook was a writer who actively wrote her works in the 1950s and 1960s, her works have not been studied solely so far. Also, Yoon is known only as a Korean War women writer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capitulate the life of Yoon Keum-Sook, and to illuminate the author’s work focusing on her collection of works, The Women. Yoon Keum-Sook is known only as a Korean War women writer, but she had joined Authors Under the Service of the Navy but rejected because she is ‘a woman.’ It is my assertion that previous studies, which have been defined Yoon as author of Authors Under the Service of the Army, should be reconsidered because there is no record indicating Yoon had joined or worked in Authors Under the Service of the Army. Focusing on The Wom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on Keum-Sook’s novel can be summarized roughly into three facts. Firstly, the reality of the time such as the liberation of the motherland or the war is presented in a very concrete way, and the hard life of the characters living in the reality is the subject of the work. Secondly, types of character in Yoon’s novel are highly schematic: woman/man, victim/perpetrator, good/evil, sacrifice/violence. Women characters in Yoon’s novel mostly live miserable lives, which comes from a premodern view of women based on ‘masculine’ patriarchal ideology. Lastly, Yoon’s The Women reveals the anti-communism that is the ruling ideology of the time, in that it deals with the problems of the people who collaborate wit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during the Korean War. Also, the novel contains stories that encourage war and imbue people with will to fight against their enemy. 윤금숙은 1950,60년대에 활발한 창작활동을 했으나 단독으로 연구된 바 없고, 문학사에도 한국전쟁기 여성종군작가로만 그 존재가 알려져 있는 형편이다. 이 글에서는 윤금숙의 생애를 정리하고, 창작집 『여인들』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우선 윤금숙은 육군종군작가로 알려져 왔는데, 그녀가 해군종군작가단에 가입 후 ‘여성’이라는 이유로 거부당한 뒤 다시 육군종군작가단에 입단하거나 활동한 기록을 찾을 수 없어 그를 육군종군작가로 규정해 온 기존의 연구는 재고되어야 한다. 창작집 『여인들』을 중심으로 윤금숙 소설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해방 혹은 전쟁 등 당대 현실이 상당히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삶의 애환이 작품의 주제로 전경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여성/남성, 피해자/가해자, 선/악, 희생/폭력 등 인물 유형이 상당히 도식적이다. 윤금숙은 집중적으로 여성의 삶을 천착하였는데, 작품 속 여성들은 대부분 불행한 삶을 살고 있고, 그 이유가 ‘남성’에게서 비롯되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셋째는 한국전쟁 당시 인민군에 부역한 문제를 다루거나, 전쟁을 독려하고 전의를 고취한 작품들을 통해 당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반공’을 그대로 노출시키고 있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과목의 CE-PBL 운영 사례 연구

        이병순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49 No.-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that operated the ‘Writing’ class of H University as CE-PBL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CE(Community Engagement) curriculum is a win-win education cooperation model between universities and cities. The CE course of H University is a government- academic cooperation education model in which the city supports the budget for class activities, and is design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and seek positive social change with fresh ideas from students. CE-related learning activities conducted in the ‘Writing’ class, a liberal arts compulsory subject, were writing reports and proposal. In both tasks, learners had to solve themselves by selecting topics related to “regional”. As they carried out reports and planning activities as regional-linked tasks, students learned various information, policies, and even problems in the city where their university is located. Until now, learners who have lived with a complacent and passive idea that “someone” will solve local problems, not “me”, have experienced a sense of belonging and social responsibility as college students in their hometown. The learning experience in which learners actively and independently participate in solving problems with interest in the communit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living as members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CE-PBL in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for the coexistence of regions and universities. 이 글은 2021년 1학기, H대학 <글쓰기> 수업을 CE-PBL로 운영한 사례 연구다. CE(Community Engagement) 교과란 대학과 시(市)의 상생 교육협력모델이다. H대학의 CE교과는 시가 수업활동 예산을 지원하는 관학협력 교육모델로서, 기존 교과목에 시의 현안을 과제 혹은 학습활동으로 접목하여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생의 참신한 아이디어 제안으로 긍정적 사회변화를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교양필수교과인 <글쓰기> 수업에서 실시한 CE-PBL 관련 학습활동은 보고서와 기획서 쓰기였다. 두 개의 과제 모두 ‘지역’ 관련 주제를 선정해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해야 했다. 지역 연계 과제로 보고서와 기획서 쓰기 활동을 수행하면서 학생들은 대학이 소재한 지역의 다양한 정보와 정책, 나아가 문제점까지 알게 되었다. 지금까지 지역의 문제는 ‘나’가 아니라 ‘누군가’가 해결할 거라는 안이하고 수동적인 생각을 갖고 살아온 학생들은 연고 도시의 대학생으로서 소속감과 사회적 책임감을 경험하게 되었다.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참여해서 지역사회에 관심을 갖고 문제점을 해결해 본 학습 경험은 앞으로 그들이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지역과 대학의 상생을 위해서도 대학의 교양교과목 수업에 CE-PBL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