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해 울릉분지 남서주변부의 탄화수소 트랩 분석

        이민우,강무희,윤영호,이보연,김경오,김진호,박명호,이금석,Lee, Minwoo,Kang, Moo-Hee,Yoon, Youngho,Yi, Bo-Yeon,Kim, Kyong-O,Kim, Jinho,Park, Myong-ho,Lee, Keumsu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 자원환경지질 Vol.48 No.4

        동해 울릉분지 남서주변부는 탄화수소의 부존 가능성이 높은 대륙붕 환경으로 1990년대 말에 상업적 생산이 가능한 가스전이 발견된 바 있다. 가스전과 인접한 연구지역에서도 추가적인 가스개발을 위해 침식수로 내부의 조립질 퇴적체를 대상으로 시추가 수행되었지만 경제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 취득된 탄성파 및 기존 시추 자료를 이용하여 울릉분지 남서주변부에 분포하는 침식수로 하부에 탄화수소 트랩 가능성이 있는 지질구조를 탐지하였다. 취득된 심부 탄성파 자료 및 시추자료 해석에 의하면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퇴적층은 구조진화와 연계하여 열개동시성 퇴적층군(MS1), 후열개 퇴적층군(MS2), 횡압력 동시성 퇴적층군(MS3), 후횡압력 퇴적층군(MS4)으로 구분된다. 중기 마이오세 이전에 분지형성과 동시에 퇴적된 MS1은 주로 중-저진폭, 저주파수의 캐오틱 음향특성을 나타낸다. 중기 마이오세 동안 분지가 확장되며 다량의 퇴적물이 유입된 MS2는 중-저진폭의 음향특성과 함께 연속성이 양호하며 전진퇴적 양상을 나타낸다. MS3은 고진폭 및 중-고주파수의 연속성이 양호한 반사면을 나타내는데 이는 조립질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조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MS3는 침식수로에 의해 광역적으로 삭박되었으며 침식수로 내부에는 MS4의 세립질 퇴적물이 충전되어 층서트랩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트랩 구조는 MS3의 조립질 퇴적층이 저류층을 형성하며 MS4의 세립질 퇴적물로 충전된 침식수로가 덮개암으로 작용하는 층서 트랩으로 트랩 구조 내부에서는 탄화수소 부존을 지시하는 flat-spot 탄성파 이상대가 발달한다. A commercial gas field was found in the southwestern continental shelf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in the late 1990s. To develop additional gas field, an exploration well was drilled through the coarse infill of submarine canyon near the gas field, but it was uneconomic to develop hydrocarbons. Using newly acquired deep seismic reflection and previous well data, we have identified additional geological structure which has hydrocarbon potentials below submarine canyons in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basi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deep seismic reflection and well data, the sequences of the study area can be classified into the syn-rift megasequence(MS1), post-rift megasequence(MS2), syn-compressional megasequence(MS3), and post-compressional megasequence(MS4) in relation to the tectonic events. MS1, deposited simultaneously with the basin formation before the middle Miocene, is characterized by chaotic seismic facies with low- to moderate-amplitude and low frequency reflections. MS2 comprises laterally continuous, low- to moderate-amplitude reflections, showing progradational stacking patterns due to high rates of sediment supply during basin expansion in the middle Miocene. MS3 is mainly composed of continuous reflections with high amplitude and moderate- to high-frequency which are interpreted as coarse-grained sediments. The coarse-grained sediments of MS3 sequence is widely truncated by several submarine canyons which filled with fine-grained sediment of MS4 to form a stratigraphic trap of hydrocarbon. Therefore, the reservoir and seal of the hydrocarbon trap in the study area are coarse-grained sediment of MS3 and submarine canyon filled with fine-grained sediment of MS4, respectively. A flat-spot seismic anomaly, which may indicate the presence of hydrocarbon, is observed within the stratigraphic trap.

      • KCI등재

        긴장 및 조절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들에서의 사시 수술 후 결과

        이민우(Minwoo Lee),한승한(Sueng-Han Han),한진우(Jinu Han)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5

        목적: 높은 조절눈모음비(accommodative convergence per accommodation, AC/A)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들과 낮은 조절눈모음 비를 가진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들에서 양안 내직근 후전술(bilateral medial rectus recession)의 수술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근거리 사시각이 원거리 사시각보다 10 prism diopter (PD) 이상 큰 환자들 중에서 양안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들 중 사시 수술을 경험한 모든 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확인하였고,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 6명과 높은 조절눈모음비(AC/A)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지막 추적 관찰 기록에서 원거리와 근거리 주시 시 각도 편차가 10 PD 이하이며, 원거리와 근거리의 사시각이 8 PD 이하인 경우를 성공적인 수술 결과로 정의하였다. 결과: 수술 당시의 평균 연령은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5.9 ± 1.6세였고,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는 7.3 ± 2.9세로 관찰되었다(p=0.301). 수술 후 추적관찰기간은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2.7 ± 2.9년,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4.0 ± 3.3년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426). 근거리와 원거리 사시각의 차이는 모든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100%)에서 10 PD 이내로 줄어들었으나,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의 경우 10명 중 오직 6명(60%)만이 10 PD 이내로 줄어들었다. 수술의 성공률은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5명(83.3%),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군에서 5명(50%)으로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수술의 성공률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나, 숫자가 작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는 않았다(p=0.307, Fisher’s exact test).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 5명에서는 증량 양안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하였고 5명(100%) 모두에서 성공적인 수술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에서 양안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하였을 때 6명 중 5명(83%)에서 성공적인 수술 결과를 확인하였으 며, 이는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군에서 확인한 수술 성공률(50%)에 비해 높았다. 또한 높은 조절눈모음비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군에서 증량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할 때에 비하여 긴장 눈모음과다 내사시 환자군에서 증량 내직근 후전술을 시행할 때더욱 높은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8;59(5):465-470> Purpose: To investigate the surgical outcomes of augmented bilateral medial rectus (BMR) recession in patients with low accommodative convergence/accommodation (AC/A) ratio tonic convergence excess esotropia (ET) compared to high AC/A ratio convergence excess ET.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esodeviation ≥10 prism diopter at near than at distance fixation who underwent BMR recession. The medical records of all esotropic patients with convergence excess who underwent strabismus surgery were reviewed. Six patients with tonic convergence excess and 10 patients with a high AC/A ratio met the study inclusion criteria. A successful outcome was defined as a near or distance angle of deviation ≤8 prism diopter and a ≤10 prism diopter difference between the two at the final recorded visit. Results: The mean age at surgery was 5.9 ± 1.6 years in the tonic convergence excess ET group and 7.3 ± 2.9 years in the high AC/A ET group (p = 0.301). The average length of the postoperative follow-up was 2.7 years (range, 0.6–8.4 years) in the tonic convergence excess ET group and 4.0 years (range, 0.6–8.4 years) in the high AC/A ET group (p = 0.426). Near-distance disparities were reduced in all patients with tonic convergence excess ET within 10 prism diopter postoperatively, but in only 6 of 10 patients in the high AC/A ET group. Five of 6 patients (83.3%) had successful outcomes in tonic convergence excess ET group; 5 of 10 patients (50%) had successful outcomes in the high AC/A ET group. Conclusions: In our series, five patients (83%) obtained successful results in the tonic convergence excess ET group compared with 50% in the high AC/A ET group. Augmented BMR recession can be safely performed in esotropic patients with tonic convergence excess.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5):465-470

      • KCI등재

        SoC 전원 관리를 위한 인덕터와 커패시터 내장형 100㎒ DC-DC 부스트 변환기

        이민우(Minwoo Lee),김형중(Hyoungjoong Kim),노정진(Jeongjin Roh) 大韓電子工學會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6 No.8

        본 논문은 SoC 전원 관리를 위한 고성능 DC-DC 부스트 변환기 설계에 관한 것이다. DC-DC 변환기에서 일반적으로 전하축전용으로 사용되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칩 안에 집적하기 위해 그 크기를 크게 감소시키고, 스위칭 주파수를 100㎒로 하였다. 고속 동작에서 전압 방식의 제어를 선택하여 신뢰성을 높였으며, 적절한 주파수 보상으로 안정적인 동작 특성을 확보하였다. 설계한 DC-DC 변환기는 thick gate oxide 옵션이 포함된 0.18㎛ CMOS 표준 공정으로 제작하였다. 내부 필터 커패시터를 포함한 칩의 면적은 8.14㎟ 이고, 제어기가 차지하는 면적은 1.15㎟ 이다. 부하 전류 300㎃ 이상에 대하여 4V의 출력을 얻는 변환기의 최대 효율은 76% 이상, load regulation은 100㎃의 변화에 대하여 0.012% (0.5㎷)의 특성을 갖는다.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of a high performance DC-DC boost converter as a power module for SoC designs. It applied to this chip that reduced inductor and capacitor for integrating on a chip, and it operates with a switching frequency of 100㎒. It has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high switching frequency. The controller of DC-DC boost converter is designed by voltage-mode control method and compensated properly. The designed DC-DC converter is fabricated with the 0.18㎛ standard CMOS technology with a thick-gate oxide option. The overall die size is 8.14㎟, and controller size is 1.15㎟. The converter has the maximum efficiency over 76% for the output voltage of 4V and load current larger 300㎃. The load regulation is 0.012% (0.5㎷) for the load current change of 100㎃.

      • KCI등재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사업 추진에 있어서 참여자 간 갈등에 관한 연구

        이민우(Lee, Minwoo),이명식(Lee, Myungsik),정성원(Jung, Sungwon) 대한건축학회 201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2 No.1

        The Maeul-mandeulgi appeared to regenerate urban infrastructure and communities which have been destructed in the rapid industrialization of urban area since the 1960s. Unlike existing urban rehabilitation projects which had been led by government, the Maeul-mandeulgi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the inhabitants, and its ultimate purpose is local community recovery, improvement of its" life quality and living conditions etc. Yet in the process of promoting Maeul-mandeulgi as lack of conscious participation of the inhabitants and unilateral administration of government officials cause conflicts among the participants. These conflicts make Maeul-mandeulgi projects difficult to be sustainable and stable. In this study, we selected three towns where their Maeul-mandeulgi projects have been completed, and understoo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onflicts in the first place. By using three-step coding process(open coding, axial coding, select coding) of the "Grounded Theory"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his study classified, compared and reached basic conclu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flicts.

      • KCI등재

        데이터 기반 최근세 국어 어휘의 의미 사용 양상 분석

        이민우(Lee, Minwoo)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5 No.-

        이 연구는 20세기 초와 말 ‘사랑’의 사용 양상을 중심어와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한 것으로 이 연구를 통해 살펴 본 ‘사랑’의 주요한 사용 변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명사 ‘사랑’과 동사 ‘사랑하다’의 사용량이 시대 변화에 따라 역전되는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사랑이 감정의 대상 지칭이나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것에서 개념화된 설명을 중심으로 사용의 중심이 이행한 것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명사 ‘사랑’은 사랑하는 대상에 대한 직접적인 지칭을 중심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사용은 줄고 일반명사로서 사용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사랑’ 관련 명사의 다양성은 늘었지만, 관련 동사의 다양성은 줄었다. 이는 사랑에 대한 서술 양상은 축소되었으나, 사랑의 대상과 영역은 확장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의미 사용에 있어 눈에 띄는 변화는 20C초 ‘사랑’이 개인적 관계와 대상에 대한 주관적 감정 표출 중심이었으나, 20C말에서는 사회적 대상과 객관화된 사랑의 기술로 확장되는 모습인데,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사랑의 대상이 크게 확장된다. 그리고 분석 과정에서 특정 의미들의 증가 혹은 감소를 추측할 수 있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기술된 ‘사랑’ 및 ‘사랑하다’의 6가지 의미 가운데 20C초에 사용된 맥락에서는 「사람이나 존재를 몹시 아끼고 귀중히 여기는 것」과 「남녀 간에 그리워하거나 좋아하는 것」,「열렬히 좋아하는 사람이나 존재」의 의미가 중심적 의미로 드러나지만 「어떤 사물이나 대상을 아끼고 소중히 여기거나 즐기는 것」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예들은 많지 않으며 「남을 이해하고 돕는 것」, 「성적인 매력에 이끌리는 것」의 의미는 찾기 어렵다. 이 시기 사랑의 의미는 현재보다 협소한 사용 양상을 보여주며, 20C말로 오며 다양한 대상 및 성적 의미로 확장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ompares the patterns in the use of the word “love”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using central words and network analysis. The main change in the use of “love” is as follows. First, the use of the noun “love” and the verb “love” are reversed according to the changing times. This is because the use is centered on the conceptualization of “love” focusing on the expressions or actions of emotions. The noun “love” is mainly used as a direct title for the object of love; however, this use is reducing, and its use as a general noun is increasing. Furthermore, the diversity of “love” related nouns has increased, but the verbal diversity of related verbs has decreased. This means that the narrative aspect of love has been reduced, but the object of love has been expanded. Additionally, a noticeable change in meaning is that twentieth-century “love” is centered on expressing subjective feelings about personal relationships and objects, but this can be said to be extended to social objects and objectified love techniques at the end of the century. In this process of change, the object of love is greatly expanded. Moreover, we could guess the increase or decrease of specific meanings in the analysis process. In the context of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o very care for and value people or existence,” “to misses or likes between men and women,” and “enthusiastically likes people or exists” are revealed to be central meanings. However, there are few examples tha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o cherish or enjoy something,” to “understand and help others,” and “being attracted to sexual attraction.” In this way, the meaning of “love” at this time shows a narrower use pattern than the present, and seems to be extended to various objects and sexual meanings by the twentieth century.

      • KCI등재

        지배구조가 감사의견 표명에 미치는 영향

        이민우(Minwoo Lee),장금주(Geumjoo Jah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8 산업경제연구 Vol.31 No.5

        감사인은 계속기업 가정에 대한 중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재무정보는 물론 재무적 곤경을 해소하기 위해 기업이 마련한 자구책과 개선안에 대한 실현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 그런데 계속기업 강조사항이 포함된 적정의견과 순수 적정의견은 모두 계속기업가정이 유효하다는 공통점이 존재하므로 감사인 입장에서 미래 불확실성 정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고도의 전문성과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감사인은 재무지표, 비재무적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데 감사인이 활용하는 비재무적 요소 중 기업지배구조는 감사위험평가, 기업의 내부통제는 물론 경영과정 등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의 존속가능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배구조가 효과적이면 대리인문제가 완화되어 경영진의 기회주의적 행위가 감소되고 감시역할이 제대로 작동하므로 자구책과 개선안의 실현가능성이 높아 생존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재무적 곤경에 처하더라도 지배구조가 효과적이면 계속기업 강조사항의 미기재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배구조가 우수한 기업에서 재무적 곤경이 계속기업 강조사항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는바, 선행연구에서 대리인문제를 완화시킨다고 알려진 효과적인 지배구조는 재무적 곤경이 계속기업 강조사항 기재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공헌점과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실증 결과를 통해,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은 투자자보호는 물론 기업경영성과 및 호의적인 감사의견을 확보함에 있어서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투자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if corporate governance affects how auditors formulate their going concern opinion. Auditors usually consider financial health of a firm when they formulate going concern opinion, but they also consider non-financial informatio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firm’s survival plans. Since better corporate governance increases the chance of successfully executing survival plans and therefore the survival itself, auditors may not issue going concern opinion to firms with superior corporate governance even if it suffers the same degree of financial distress with firms with inferior governance. Thus analyses are performed to test whether better governance lowers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going concern opinion due to financial distress. The results show that better corporate governance, as represented by family firms, higher board independence, and higher foreign investors’ ownership, lowers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auditor’s going concern opinion for a given level of financial distress. This means better governance can mitigate substantial doubt on going concern, and signifies that auditors do utilize non-financial information when formulating their opinion.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by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going concern opinion using Korean firm data, and its significance lies on the fact that corporate governance may be a critical factor in evaluating a firm.

      • KCI등재후보

        PPL 배치형태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민우(Minwoo Lee)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7 아태경상저널 Vol.9 No.2

        간접광고(PPL: Product Placement)는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일정한 비용을 지불하고 의도적으로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들을 노출시키는 형태의 광고이다. 방송심의 규정에서는 PPL은 자막으로 표시되거나 의도적인 제품노출이 아니라 드라마에서 필요한 소품과 배경에 한해서만 간접적으로 제품이 등장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속에서 자주 노출되는 PPL의 의미와 유형을 알아본다. 그리고 드라마 속에 배치된 브랜드를 중심으로 드라마 속 PPL의 사례와 문제점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하여 PPL 배치형태와 브랜드 친숙도에 따라 브랜드 회상도, 브랜드 태도, 브랜드 구매의도 등에 어떠한 영향를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배치 형태와 브랜드 친숙도는 브랜드 회상도, 브랜드 태도, 브랜드 구매의도 등에 상호작용효과를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PPL(product placement) is a type of advertisement that exposes certain products or brands by intentionally paying a certain fee in a movie or drama. In the broadcasting deliberation regulations, the PPL allows products to appear only indirectly in the backgrounds and backgrounds needed for the drama, rather than being displayed as captions or intentional product exposures.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types of PPL that is frequently exposed in drama. And we discuss the cases of PPL in the drama and the problem centered on the brand placed in the drama. Finally, we examined the effects of PPL layout type and brand familiarity on brand recall, brand attitude,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experiments. In addition, we examined whether placement style and brand familiarity interact with brand recall, brand attitude,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 과산화수소 산화제 하이브리드 로켓에서 파라핀과 폴리에틸렌 연료 그레인 평가

        이민우(Minwoo Lee),곽영출(Youngchul Kwak),정우석(Woosuk Jung),권세진(Sejin Kwon) 한국추진공학회 2013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5

        과산화수소 촉매분해를 이용한 자동점화 방식의 하이브리드 로켓에서 파라핀과 폴리에틸렌 연료 그레인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과산화수소 산화제와 MnO2 촉매를 사용하는 80 N급의 하이브리드 추력기를 설계하여 수류 실험과 단일추진제 모드 실험 후 파라핀과 폴리에틸렌 연료를 삽입해 10 초간 하이브리드 연소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폴리에틸렌 연료 그레인을 사용한 경우 점화 후 파라핀 그레인에 비해 0.73 bar 적은 내부 압력 강하와 9.8 N 높은 추력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파라핀 연료 그레인은 융해 현상으로 폴리에틸렌에 비해 120 ms 늦은 점화 시간을 나타냈으며, 융해된 액적이 연소되지 않고 분사되는 현상이 노즐에서 관찰되었다. Experimental evaluation of paraffin and polyethylene fuel grain in hybrid rocket using catalytically decomposed H2O2 was conducted. Hybrid thruster with H2O2 oxidizer and MnO2 catalyst was designed. Water flow test, monopropellant mode test and hybrid mode combustion test with paraffin and polyethylene fuel grain was conducted. 0.73 bar less pressure drop inside thruster and 9.8 N higher thrust was observed in polyethylene fuel grain combustion test, compared to paraffin. 120 ms longer time was needed to ignite paraffin than polyethylene due to the melting phenomena, and unburnt paraffin droplets were sprayed at nozz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