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미영,오세욱,임세종,Lee, Miyoung,Oh, Sewook,Lim, Sejo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7 No.5
국내 건설재해율은 1992년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PQ에 '환산재해율' 반영 등을 통하여 건설재해 감소 및 건설업 안전관리 체제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정부가 도입 추진 중인 종합심사낙찰제에도 '재해율' 및 '사망만인율'이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입 낙찰제도의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건설재해율은 입 낙찰제도에 따라 이원화된 기준으로 산정 및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현 시점에서 건설재해율 평가지표에 대한 현황 검토와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체의 재해관리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건설재해율의 평가 운영에 대한 현황 검토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설재해율 평가지표의 일원화를 위한 산정기준, 평가대상업체 범위 설정, 건설업 공상처리 개선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개선방안을 통해서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건설재해율 평가지표의 산정 및 운영이 가능할 것이며, 나아가 건설업체의 자율적인 안전보건 활성화 등을 통한 건설 재해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verted accident rate in Pre-Qualification(PQ) process in 1992, the safety evaluation system has contributed to a reduction of construction accidents and develop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s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the government plans to introduce includes the indicators 'accident rate' and 'death rate per 10,000 workers', the influences on the safety evaluation in the bidding process would be broader in public sector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the current safety evaluation system is operated by different estimating standards in the bidding process. At this point, a study of improvement on the safety evaluation index is required to review its current conditions and to propose its efficient operating meth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of the current safety evaluation system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qualified workers in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roblems noticed. Our results suggest the standards of the unified process for the safety evaluation index, the size of construction firms needed for accident rate estimation,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unreported accidents. The proposed improvement plan enables the reasonable estim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safety evaluation index, and further, it would contribute to reducing construction accidents through the activation of voluntary safety management by construction firms.
DHA 유도체를 이용한 항염, 항노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품 원료의 개발
이미영 ( Miyoung Lee ),이길용 ( Gil-yong Lee ),서진영 ( Jinyoung Suh ),이경민 ( Kyung Min Lee ),이우정 ( Woojung Lee ),조희원 ( Hee Won Cho ),이종재 ( Jong-jae Yi ),서정우 ( Jeong-woo Seo ),최헌식 ( Heonsik Choi ) 대한화장품학회 202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7 No.1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 inflammation of the skin because it can develop into diseases such as atopy as well as scarring and aging. In this work, we recently identified the in vitro synthesis of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s (SPMs) known to control inflammation in the human body and the applicability of cosmetics. Using recombinant protein of lipoxygenase from Glycine max, we succeeded to prepare mixtures of mono- or di-hydroxy DHA named as S-SPMs and used them for in vitro efficacy test. To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SPMs, mRNA level of TNF-α and IL-6 were analyzed. Under UVB exposed condition, expression of both were decreased by S-SPMs treatment. And we observed re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by S-SPMs application under the condition with diesel particulate matter (DPM). At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 malondialdehyde (MDA) production was decreased by S-SPMs, indicating the inhibitory effect of S-SPMs in lipid peroxidation. In addition, S-SPMs treatment resulted in re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1 (MMP-1) expression and elevation of procollagen type I synthesis. Together with this, mRNA level of filaggrin and loricrin were increased by S-SPMs, indicating enhanc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SPMs is a good candidate to develop as a cosmetic ingredient for anti-inflammation, anti-wrinkle, and improv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한국과 중국 중소기업간의 ERP 성과에 대한 비교 연구
이미영(Lee Miyoung),천팅칸(Chen Ting Kan),정병화(Jung Byung Hwa),김기주(Kijoo Kim),이국희(Kukhie Lee) 한국산업정보학회 2011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2
기업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기업의 경영환경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에 대한 빠른 대용을 하기가 쉽지 않게 됐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경영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전사적자원관리(ERP)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어떠한 시스템이든 그 조직의 구조적인 특성의 고려 없이 특정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은 실패할 확률을 더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전사적자원관리(ERP) 시스템의 성과에 조직구조 및 관리체계상의 특성변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또한, 중국의 경제가 발전하는 상황에서 한국과의 정보시스템 수준을 비교하여 각 국가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서로의 경쟁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전사적자원관리(ERP)를 도입한 중소기업의 조직특성에 따른 전사적자원관리(ERP) 성과를 비교해 본다. As competition has deepened between business institutions, it has been difficult to predict and respond quickly to business environment. Most business firms have started to introduc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in order to improve their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it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failure to implement the systems without consider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itcs of the organizations. The paper studies what influence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 have on the performance of the ERP system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lso, since it is important to compare the level of information system of Korea and China in the midst of the rapid growth of Chinese economy, the paper&nbs p;compares the ERP performance of Chinese and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at implemented ERP system.
설화를 활용한 40대 기혼여성 자살고위험군 상담사례 연구 -부정적 모성대물림으로 배우자와의 갈등을 보이는 사례자를 대상으로-
이미영(Lee, Miyoung),김혜미(Kim, Hyemi) 한국독서치료학회 2021 독서치료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부부갈등으로 가정폭력과 자살충동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40대 기혼여성 수선의 인간관계 맺기 방식을 문학치료 프로그램과 ‘나만의 책 쓰기’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선의 인간관계 내에서 자기서사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자기이해를 함으로써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삶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구비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내 복에 산다>, <효불효 다리>, <콩쥐와 팥쥐>, <정승 딸을 만나 목숨 구한 총각>, <지네각시>를 통하여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는 1. 설화구연을 통한 감상과 설화 이어 쓰기를 통한 1차 작품이해, 2. 전체 작품 감상과 관련된 질문을 통한 2차 작품 이해, 3. 설화 다시 쓰기 및 나만의 책 쓰기를 통한 변화양상 확인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설계를 기반으로 진행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서 40대 기혼여성 수선은 이어 쓰기, 원작과의 비교, 다시 쓰기, 나만의 책 쓰기를 통해 부정적 모성대물림을 받은 자기이해를 하게 되었고 남편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이해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먼저 수선 자신을 객관화해서 바라볼 수 있었고 자기의 남편에 대한 집착의 근원이 자신의 부모와의 관계에서 비롯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수선 스스로 남편에게 집착하는 관계 맺기 방식을 인식하고 남편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이해하고 소통하고자 노력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usun (assumed name), a married woman in her 40’s who used literary therapy and writing as a response to suffering from domestic violence and suicidal ideation. These programs aim at making Susun search for different meanings in her life through self-cognition, followed by revealing her problems in her narrativ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includes the following literature: Korean folktales, The Sun and the Moon, My Own Fortune, Bridge and Mother, Kongjwipatjwijeon, and The Daughters of Three Ministers, Jinegaksi. The program has three main goals and they are to demonstrate a basic understanding of assigned stories by reciting tales and writing sequels, to show a secondary understanding by appreciating whole stories and by questioning their detailed meanings, and to identify Susun’s changes by analyzing her rewriting of tales and by putting her own writings into a book. Upon completion of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Susun finds that she inherited negative maternity attitudes from her mother and she can accept her husband as he is.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rough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Susun understands and recognizes that she distances herself from her husband which stems from her relationship with her parents. After reaching self-cognition, Susun tries to see her husband as he is and learns to accept and communicate with him better.
이미영 ( Lee Miyoung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1 獨逸文學 Vol.62 No.1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의 순서로 볼 때 가장 끝에 오는 단계이며 교육 전체에 있어서 한 부분이지만, 교수·학습 목표 설정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평가는 교육을 되돌아보게 하고 앞으로 어떻게 교육할지 제시하며, 긍정적인 환류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자는 이러한 평가의 역할과 언어인증시험이라는 평가의 한 종류를 연결해서 수업을 운영하며, 평가 문항 제작을 초점화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어 평가연구’ 학부 수업의 진행 경험 사례를 다루며, FLEX 독일어 읽기 영역 문항을 중심으로 이론적으로 학습한 문항 제작의 원리를 문항 제작 실습에 적용한 교수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문항 제작자로서의 경험이 학생들에게 주는 수업 효과와 독일어 능력 향상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이론적으로 평가의 개념과 기능에서 ‘시험 Prüfung’, ‘검사 Test’ 및 ‘평가 Evaluation’ 등 용어에 관해서 다룬다. 어학인증시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준거참조평가 및 선다형 문항 제작의 유의점을 중심으로 평가 문항 제작의 원리를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이론적으로 학습했던 내용을 실제 FLEX 읽기 영역 각각의 문항 형식으로 제작한 예시 문항을 소개하고, 형식적, 문법적, 의미적 측면에서 문항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지문 및 문항 자료로 사용된, 학생들이 직접 선택한 시사 텍스트 이해의 증진은 물론 문법과 어휘에 대한 학습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Die Evaluation ist der letzte Schritt in der Abfolge des Lehr- und Lernprozesses und ein Teil des gesamten Bildungsprozesses. Dennoch hat sie einen enormen Einfluss auf die Festlegung von Lehr- und Lernzielen. Es ist wünschenswert, dass die Evaluation die Bildung reflektiert auf die zukünftige Bildung hinweist, und eine positive Rolle im Sinne eines Washback-Effekt spielt. In dieser Arbeit werden Erfahrungen aus dem Seminar “Untersuchungen zu Prüfungen in DaF“ bearbeitet und es wird eine Lehrmethode vorgestellt, bei der das theoretisch gelernte Erstellungsprinzip mit der Fokussierung auf den Prüfungsteil von FLEX-Deutsch praktisch angewandet wird. Außerdem wird betrachtet, welchen Einfluss die Erfahrungen im Rahmen der Aufgabenstellungr auf die Unterrichtswirkung und die Leistungssteigerung im Hinblick auf die Deutschkenntnisse der Studierenden ausüben. Zunächst werden die Funktionen der Evaluation und Begriffe wie “Prüfung“, “Test“ und “Evaluation“ theoretisch behandelt. Zusätzlich dazu wird im Wesentlichen das Erstellungsprinzip hinsichtlich der in Spracheignungsprüfungen verwendeten kriterienorientierten Tests sowie Hinweise für die Erstellung von Multiple-Choice-Aufgabenstellungen beleuchtet. In Hinblick auf die Praxis werden Beispielaufgaben entsprechend der Formeln für die einzelnen Aufgabenstellungen des FLEX-Deutsch-Teilprüfung Lesens vorgestellt. Diese Beispielaufgaben werden von den Studierenden anhand des Testmaterials bestehend aus selbst ausgewählten Nachrichtentexten erstellt, und formal, grammatikalisch und semantisch überprüft.
이미영(Lee, Miyoung),배정현(Bae, Junghyu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1 No.2
이 연구는 단위학교의 특성이 교육경비보조금 수혜규모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경비보조금은 초등학교가 중학교에 비해 수혜를 더 받고 있었으며, 학교 규모는 작을수록, 오래된 학교일수록 학생 1인당 수혜금액이 컸으나 학교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수혜규모는 적었다. 사회경제적 수준의 여부는 시설개선 보조사업(2의2호)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시설개선 보조사업(2의2호)과 교육과정 보조사업(3호)의 경우에는 정규교사가 많을수록 지자체에서 받는 교육경비보조금의 학생 1인당 수혜금액이 컸다. 이는 교사의 신분 안정화가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질과 관련성이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혁신학교는 초기치인 2014년의 경우 일반학교에 비해 교육경비보조금을 더 받고 있었으며, 교육과정 보조사업(3호)영역에서만 매년 일반학교에 비해 수혜규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 1인당 교육경비보조금과 시설관련 교육경비 보조금이 높아졌으나 교육과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재정형평성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단위학교의 특성에 따라 교육경비보조금을 수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학교 간 교육격차가 단위 학교의 교육경비보조금을 수혜규모를 결정하는 것인지, 혹은 그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교육경비보조금이 쓰이는 것인지 추후 질적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hool subsidies in Suwon, Gyeonggi Province, using school alarm data from 2014 to 2016. The characteristics of subsidized school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calculated. First, in terms of total education costs, elementary schools received more subsidies than middle schools. The smaller and older the school was, the more money it received per student from the local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amount of subsidies for education have shown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ly, the nature of Suwon`s facility improvement grant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s enjoy more benefits than middle schools. The school was a small, elderly population with more per student subsidy. However, as the school"s socio-economic standards have risen, schools have received fewer grants. Third, elementary schools in Suwon also benefited more from secondary education than middle schools. Smaller, older, and innovative schools, along with a large number of regular teachers, received more from the program. While the number of beneficiaries of curriculum support programs increases each year, the positive increase in these programs negatively affected the autonomy of innovative schoolchildren.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that affect the size of beneficiaries are shown by the type of grant. Schools with high socioeconomic levels had little benefit from the total cost of education and subsidies to improve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higher percentage of full-time teachers in curriculum support programs increases. According to the data, it is clear that school characteristics affect the amount of tuition subsidies.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subsidies for the educational gap between schools determine the size of the school"s education and whether qualitative studies address the cost gap between schools.
가속도계 추정공식과 강도기준치(Cut-point)의 신체활동량 추정오차검증
이미영(Miyoung Lee),이효(Hyo Lee),최지엽(Ji-yeob Choi)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6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8 No.1
신체활동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하는 노력은 지속적이면서 급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다양한 신체활동량 추정공식이 개발되고 추정오차를 줄이기 위한 결정요인들이 밝혀졌지만, 추정공식과 Cut-point에 대한 오차검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장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신체활동추정식의 추정오차를 검증하고 개발된 Cut-point가 정확하게 신체활동 강도를 분류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평균 50대의 남자 10명(50.30±10.65세), 여자 38명(53.29±7.36세)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대표적인 일상생활, 일련의 신체활동상황에서 신체활동량을 준거 검사와 가속도계(Actigraph GT3X+)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준거검사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추정된 신체활동량(MET) 점수 간의 차이는 절대오차와 상대오차를 계산하고 추가적으로 Paired t-test를 적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신체활동강도분류에 대한 정확성 검증은 각 강도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살펴보면 다양한 공식가운데 Freedson_1998 공식이 트레드밀이나 일상생활의 신체활동추정에 있어 오차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Troiano_2008 Cut-point가 신체활동강도를 보다 정확하게 분류한 반면 Freedson VM Cut-point는 낮은 강도활동 추정시 높은 오차를 보였다. 추후 연구에서 신체활동량 추정오차를 줄이기 위해 공식개발뿐만 아니라 인공지능망(Artificial Neural Networks)이나 딥러닝(deep learning) 적용 등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rror rates of existing prediction equations and cut-points of Actigraph GT3X+. Ten healthy males (50.30±10.65yrs) and thirty eight females (53.29±7.36yrs) without any chronic diseas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wearing Actigraph and K4b2 during all experiment and performed three selected types of settings in treadmill, daily physical activities, and free-living. Epoch of Actigraph was set at 1 second, and K4b2were collected breath-by-breath data. Those data were converted to MET values with 60second epoch. Obtained MET values from the criterion measure and Actigrph accelerometer were compared to calculated median,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as well as Mean Absolute and Relative Percent Error. Paired t-test was applied to exa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MET values.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the categoriz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intensity, percent (%) of the correct assignments were calculated.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calculated by SPSS 20.0 and Stata 12 with α<.05. As a result of the study, overeall Freedson (1998) equation was most accurately estimating MET values comparing to other equations. Troiano (2008) cut-point was precisely classified the intensity of the physical activity among the various cut-points, but not Freedson VM (2011). Advanced technology to estimate physical activity levels should be applied to reduce the error rate of predicting physical activity levels in the near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