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미영,오세욱,임세종,Lee, Miyoung,Oh, Sewook,Lim, Sejo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7 No.5
국내 건설재해율은 1992년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PQ에 '환산재해율' 반영 등을 통하여 건설재해 감소 및 건설업 안전관리 체제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정부가 도입 추진 중인 종합심사낙찰제에도 '재해율' 및 '사망만인율'이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입 낙찰제도의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건설재해율은 입 낙찰제도에 따라 이원화된 기준으로 산정 및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현 시점에서 건설재해율 평가지표에 대한 현황 검토와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체의 재해관리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건설재해율의 평가 운영에 대한 현황 검토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설재해율 평가지표의 일원화를 위한 산정기준, 평가대상업체 범위 설정, 건설업 공상처리 개선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개선방안을 통해서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건설재해율 평가지표의 산정 및 운영이 가능할 것이며, 나아가 건설업체의 자율적인 안전보건 활성화 등을 통한 건설 재해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verted accident rate in Pre-Qualification(PQ) process in 1992, the safety evaluation system has contributed to a reduction of construction accidents and develop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s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the government plans to introduce includes the indicators 'accident rate' and 'death rate per 10,000 workers', the influences on the safety evaluation in the bidding process would be broader in public sector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the current safety evaluation system is operated by different estimating standards in the bidding process. At this point, a study of improvement on the safety evaluation index is required to review its current conditions and to propose its efficient operating meth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of the current safety evaluation system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qualified workers in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roblems noticed. Our results suggest the standards of the unified process for the safety evaluation index, the size of construction firms needed for accident rate estimation,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unreported accidents. The proposed improvement plan enables the reasonable estim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safety evaluation index, and further, it would contribute to reducing construction accidents through the activation of voluntary safety management by construction firms.
DHA 유도체를 이용한 항염, 항노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품 원료의 개발
이미영 ( Miyoung Lee ),이길용 ( Gil-yong Lee ),서진영 ( Jinyoung Suh ),이경민 ( Kyung Min Lee ),이우정 ( Woojung Lee ),조희원 ( Hee Won Cho ),이종재 ( Jong-jae Yi ),서정우 ( Jeong-woo Seo ),최헌식 ( Heonsik Choi ) 대한화장품학회 202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7 No.1
It i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 inflammation of the skin because it can develop into diseases such as atopy as well as scarring and aging. In this work, we recently identified the in vitro synthesis of specialized pro-resolving mediators (SPMs) known to control inflammation in the human body and the applicability of cosmetics. Using recombinant protein of lipoxygenase from Glycine max, we succeeded to prepare mixtures of mono- or di-hydroxy DHA named as S-SPMs and used them for in vitro efficacy test. To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SPMs, mRNA level of TNF-α and IL-6 were analyzed. Under UVB exposed condition, expression of both were decreased by S-SPMs treatment. And we observed re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by S-SPMs application under the condition with diesel particulate matter (DPM). At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 malondialdehyde (MDA) production was decreased by S-SPMs, indicating the inhibitory effect of S-SPMs in lipid peroxidation. In addition, S-SPMs treatment resulted in re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1 (MMP-1) expression and elevation of procollagen type I synthesis. Together with this, mRNA level of filaggrin and loricrin were increased by S-SPMs, indicating enhanc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SPMs is a good candidate to develop as a cosmetic ingredient for anti-inflammation, anti-wrinkle, and improve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한국과 중국 중소기업간의 ERP 성과에 대한 비교 연구
이미영(Lee Miyoung),천팅칸(Chen Ting Kan),정병화(Jung Byung Hwa),김기주(Kijoo Kim),이국희(Kukhie Lee) 한국산업정보학회 2011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2
기업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기업의 경영환경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이에 대한 빠른 대용을 하기가 쉽지 않게 됐다. 대부분의 기업들은 경영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전사적자원관리(ERP)를 도입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어떠한 시스템이든 그 조직의 구조적인 특성의 고려 없이 특정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것은 실패할 확률을 더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전사적자원관리(ERP) 시스템의 성과에 조직구조 및 관리체계상의 특성변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또한, 중국의 경제가 발전하는 상황에서 한국과의 정보시스템 수준을 비교하여 각 국가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서로의 경쟁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전사적자원관리(ERP)를 도입한 중소기업의 조직특성에 따른 전사적자원관리(ERP) 성과를 비교해 본다. As competition has deepened between business institutions, it has been difficult to predict and respond quickly to business environment. Most business firms have started to introduc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in order to improve their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it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failure to implement the systems without consider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itcs of the organizations. The paper studies what influence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 have on the performance of the ERP system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lso, since it is important to compare the level of information system of Korea and China in the midst of the rapid growth of Chinese economy, the paper&nbs p;compares the ERP performance of Chinese and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at implemented ERP system.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 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미영(Miyoung LEE),한경아(Kyeonga HA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9월 2일부터 9월 25일까지 교과별 담임재량 시간을 이용하여 주 2회, 총 8회기에 걸쳐 인천광역시 소재 A초등학교 실험집단에서 진행되었다.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국가수준 학교폭력 예방 어울림 프로그램의 공감역량을 기초로 미술치료 요소를 포함하고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발달단계에 맞게 수정·보완하 여 재구성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의 질적 분석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학급 단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 치료의 긍정적 영향과 필요성을 입증한 경험적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A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on a total of 8 occasion, twice a week, using the school s discretionary hours from 2019.09.02. to 09.25.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this study was supplemented and revised empathic competence of the national-level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called Eo-ul-li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Seco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n the process and results, this research had a positive effect on of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aspect of an empirical study that proves the necessity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on the class unit.
기혼여성 디자이너의 진로전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미영(Miyoung Lee),조항(Hang Jo)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본 최근 직업의 다양화, 기술의 발달, 가치관의 변화, 기대수명이 높아지면서 잦은 진로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동안 진로전환은 진로 부적응의 결과처럼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오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삶과 일의 조화, 고용 형태와 일 환경의 변화, 자아실현욕구 증대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하여 전 생애에 걸쳐 진로전환이 발생하고 있어 진로전환에 대한 새로운 조망과 인식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여성 디자이너의 진로전환과정 이야기와 그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10년 정도의 디자이너 경력을 지닌 기혼여성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우리는 그들이 진로전환을 시도하게 된 동기와 그들 각자 삶의 과정에서 작용한 맥락, 심리 내적 요인과 자원을 확인하고, 이 요소들이 삶의 의미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전환 개입이 전 생애적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확인하고, 진로를 전환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진로전환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가 사람들이 그들의 진로전환과정 속에서 자신만의 대처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In the ongoing evolution with career diversification, technological development, changes in values, and longer life expectancy, it has become more common to see frequent career changes in recent days. Even until recently, career transition has been perceived negatively as a result of maladjustment, but now it becomes easier to see career transition throughout life for various reasons such as harmony between life and work, changes in the environments of employment and work, and increased desire for self-realization. It is the time to have a new perspective and awareness on career transition.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explores the story of married female designers’ career transition process and its meaning through a narrative inquiry. For this, the researchers selected three married female designers with 10 years of experience and explored their motivation to change their career paths, the contexts in which each of them worked in their career transition process,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resources. In addition, the researchers looked into how these factors influenced the meaning of their life.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at career transition intervention should be extended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and provided a positive perspective on career transition to those who wish to change careers. We hope that this study could help people find their own ways of coping in their career transi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