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내·외적 체제 및 전자저작물 활용에 대한 문헌 분석

        이미숙(Misuk Lee),윤애영(Ae-Young Yoon),나인정(In-Jung Ra),김보민(BoMin Kim)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집 Vol.2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내·외적 체제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저작물의 활용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와 관련된 저서, 보고서, 연구포럼 자료, 학술지 논문 등이 선행연구의 분석 범위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법적 근거,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형태,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용도서의 편찬,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내적 및 외적 체제, 특수교육 교과용도서 전자저작물의 활용, 미래 교육과정을 반영한 특수교육 교과용도서의 편찬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결론: 모든 교과에서 교과의 특색과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미래형 교과용도서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are organized and how electronic resources are utilized. Method: For this study, journal articles and books related to curriculum, research forum data,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related policies and government reports we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literature review. Results: The themes of the literature review included the legality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the forma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 electronic resource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flecting on future educatio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curriculum textbooks that could be flexibly modif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rea to promo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 KCI등재

        장애아동 양육에 참여하는 조부모의 긍정적 적응을 위한 양육 스트레스 분석

        이미숙 ( Misuk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양육에 부분적 또는 전반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조부모들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인을 이해하고, 조부모들의 양육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조부모들의 긍정적 적응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들을 고찰해 보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82명의 장애아 조부모들을 대상으로 PSI/SF 한국어 번역을 통해 조부모들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였으며, 이에 관련된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조부모관련 변인으로서는, 조부모의 배우자 동거여부, 교육정도, 손자녀 가정과의 이동거리, 주당 양육시간이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인으로 나타났다. 손자녀 관련 변인으로는, 손자녀의 통합교육 여부, 장애등급, 의사소통수단이 조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조부모들의 양육 스트레스를 경감하여 조부모들의 긍정적 적응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조부모에 대한 심리적 지지 제공, 손자녀의 장애에 대한 정보 제공, 휴식지원 프로그램의 증대, 통합교육의 확대, 그리고 보완ㆍ대체의사소통 수단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The study analyze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arenting stress of the grandparents who caregive their grand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he study also considered the ways of increasing positive adaptation as well as decreasing the parenting stress. The study included 82 grandparents who are caregiving their grand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a part-time or full-time. The grandparent participants responded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 As the results, the study revealed the marriage status, educational level, distance from their grandchild, and caregiving time as the variables related to grandpar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grandchildren included a placement of school, a severity of disability, and a way of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suggested psychological support for the grandparents, provision of information regarding their grandchild’s disability, increase of the respite program, extens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and enlargement of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o decrease grandparents’ parenting stress and increase their positive adaptation.

      • KCI등재

        미국 특수교육학계의 장애 명칭붙임 논의에 대한 소고

        이미숙 ( Misuk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특수교육대상자로서 특수교육과 관련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아동은 하나의 장애유형 분류체계에 포함되어야 한다. 기존의 특수교육체계에서는 아동에게 특정한 장애명칭을 부여하는 것이 아동에게 특수교육과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라고 생각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특수교육 장애분류체계에 대해 찬성과 반대라는 여러 가지 논쟁들이 존재하였는데,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특수교육학계를 중심으로 장애분류 및 명칭사용의 궁극적 목적과 장애분류 및 명칭발달에 대한 역사적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장애분류 및 명칭부여의 찬ㆍ반 논쟁에 대한 이슈들, 그리고 기존의 장애분류체계를 대신할 수 있는 대안적 장애분류체계의 기본철학 및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장애분류체계가 아동에게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본질적 목적에 기반 하여, 기존의 진단적 장애명칭의 한계를 극복하고, 아동에게 적합한 중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애분류체계의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It is necessary for a child to be included in a disability classification in order to receive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as a child with a special needs. Current special education system insists that labeling children based on the disability classification is the only way to be eligible to receive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There are several debates that the current dis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in special education is useful or not.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to discuss about these debates systemat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the disability classification in special education, the original purpose of the labeling, and historical movement of disability classification and labeling development. As well, the study looked over the debates to support or deny a disability classification and labeling, and the study investigated primary philosophy and trend about alternative dis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to alternat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The study insisted that a dis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had to provide the direction of the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 for a child with special needs, and the study also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dis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to be able to raise the quality of appropriate intervention.

      • KCI등재

        장애학생의 진로 직업교육 활성화와 효과적인 취업 지원을 위한 전공과 지원 방안 탐색 연구

        이미숙 ( Lee Misuk ),박영근 ( Park Yung-ke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전공과를 통한 특수교육대상자의 진로 직업교육 활성화와 효과적인 취업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공과 운영의 현황과 실태, 전공과 관련 법령, 학술연구, 정책연구, 각종 통계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전공과의 기능과 운영 실태를 명확히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부 차원의 지원정책 및 사업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전공과 지원 방안으로의 적용 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현장실습에 대한 지원 방안, 직무훈련 중심 전공과 교육과정 운영 방안, 전공과 관련 인력의 지원 방안, 교내 현장실습을 위한 전공과 시설 구축 방안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장애학생의 진로 직업교육 활성화와 효과적인 취업 지원을 위해서는 학교, 지역사회, 국가의 다각적인 협력과 지원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prepare effective support plan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or employment through majoring course. Metho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of laws, academic research, policy research, and various statistics related to majoring courses were reviewed.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and projects, the support plans for majoring course were reviewed.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support plans for field training, curriculum management of job training-oriented majoring course, support plans of manpower for majoring course, and support plans for the majoring course facility construction for the on-campus field train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mmary and conclusion were suggested. For the activation of career & vocational education and effective employment support, it is necessary for schools, communities, and nation to collaborate in several aspects.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의 인권 인식과 인권 교육에 대한 경험

        이미숙 ( Lee Misuk ),한송이 ( Han Song-y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이 바라보는 인권에 대한 인식과 인권 교육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 4명으로,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질적 접근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인권은 잘 모르겠지만 중요하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인권침해라는 개념은 곧 학교폭력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현재 인권이 지켜지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문제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한편으로는 인권이 지켜지지 않았던 자신들의 과거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셋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인권침해 경험과 관련하여서는 단호한 태도로 부정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누군가 자신의 인권을 침해했을 시에 부모, 교사, 경찰 등 누군가에게 알려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은 학교에서 이루어진 인권 수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하면서, 학생들은 인권 교육과 관련하여 배려 있는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인권에 대해 더 배우고 싶다는 의견을 드러냈다. 결론: 지적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인권 교육에 대한 인적·물리적 지원이 필요하며, 인권침해를 예방하는 인권 교육 시스템이나 구조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and the experie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Method: Four high school students from special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which data was collected from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pproach. Results: First,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showe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and the concept of human rights violations was recognized as school violence. Second,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recognized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in what?, and on the other hand, they had experiences in the past when human rights were not protected. Third,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showed a strong attitude regarding human rights violations, and had the idea that if someone violated their human rights, they should inform their parents, teachers, and/or police. Fourth, although human rights classes were clearly held in the education field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students said that they did not remember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human rights classes, and students expressed their desire to create a society that is considerate in relation to human rights education and learn more about human right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human resources and physical support for specific and practical human rights education that enable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to practice their rights on their own initiative, and a preventive human rights education system and structural environment to prevent human rights violations must be established.

      • 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 정보통신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

        이미숙 ( Lee Misuk ),성희경 ( Sung Huigye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선택교과 정보통신활용 교과를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정보통신활용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특수학교에서 정보통신활용 교과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특수학교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기존 정보통신활용 교과의 교육과정 영역은 유지하되, 일부 학습 내용이나 수준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는 일부 학습 내용에서 난이도의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이고, 다양한 학습 능력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하였다. 정보통신활용 교과의 지도 시, 모든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학습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하고, 학습한 내용을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내용이 선정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결론: 정보통신활용 교과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속도를 고려하여 미래에 사용될 정보통신 기술을 포함해야 하고,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적이고 생동감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subject by interviewing special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n teaching the subject of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Metho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pecial teachers of special schools with experiences in teach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curriculum. Results: The teachers with experiences in teach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subject recognized that some learning contents or levels need to be revised while maintaining the major framework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subject in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common opinions that all students who want to lear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subject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use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ir daily lives. Conclus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tilization subject should include current and futu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consideration of its rapid development, and practical and livel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using the latest technology.

      • KCI등재

        자폐성장애아동의 영어 학습 및 웹기반 영어 학습 특성에 대한 질적연구

        이미숙 ( Misuk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아동의 영어 학습 특성과 웹기반 영어 학습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일반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자폐성장애아동이다. 본 연구를 위해 30개의 국내 영어학습 웹사이트와 30개의 국외 영어학습 웹사이트를 선정하여 분석하고, 자폐성장애아동에게 적합한 웹사이트를 영어학습에 적용하였다. 영어학습에 대한 관찰은 자폐성장애아동이 영어수업에 참여하는 40분간의 학습장면을 동영상으로 녹화하였으며, 면담은 자폐성장애아동의 어머니를 참여자로 하여 개별적으로 실시되었다. 웹사이트 분석 결과, 영어학습에 웹사이트가 로그인이나 유료화로 운영되지 않을 때 연구참여아동이 보다 잘 이용할 수 있었으며, 동영상을 비롯한 다양한 자료와 다운로드가 가능한 학습지로 인해 아동의 흥미를 유지하고 반복학습이 가능하였다. 연구참여아동은 웹을 활용하여 영어학습이 이루어졌을 때 영어학습에 대한 주의집중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력과 학습효과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sponses of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n learning English when it was taught by web-based English education. In specific, the study investigated the web-sites to be available for English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the study implemented the searched web-site to teach English for a child with autism. The study included a child with autism, who was 12 years old, and the mother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web-sites were convenient to use when it did not request to log-in process and to pay resources. The web-sites were more effective to use due to abundant videos and downloadable learning resources. While using the searched web-sites to study English, the child was more responsive, active, and effective on learning Engli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