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몰입 프로파일 유형과 선행요인: 조직몰입에 대한 사람중심(Person-Centered)의 접근

        이목화,문형구,권석균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3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many studies have employed Meyer & Allen(1991)’s three components model. Most of them are based on a variablecentered approach drawing upon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ach component. But this approach has limitation to explain the dynamic natur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adopts a personcentered approach with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ile lens. With a longitudinal survey, the study focuses on fin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ile types and the antecedents of each profile. The Study1 aimed at assessing the hypothesized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iles which are the combination of 4 components(Affective Commitment(AC), Normative Commitment(NC), Perceived Sacrifice(PS), Few Alternatives(FA)).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five typ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file: ① Fully Committed(AC-NC-PS-FA), ② Intrinsically Committed(AC-NC), ③ Moderately Committed, ④ Extrinsically Committed( PS-FA), ⑤ Not Committed. The Study2 shows Workgroup Identification and Company Pro-social Identity influence positively toward Fully committed profile and Intrinsically committed profile. Meyer & Allen(1991)의 3요인 모델은 조직몰입의 가장 대표적 이론으로서,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정서적(affective), 규범적(normative), 유지적(continuance) 몰입의 선행 및 결과변수를 검증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ʻ변수 중심(variable-centered)ʼ의 접근은 조직몰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여러한계점이 존재한다(Meyer, Stanley, & Vandenberg,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ʻ사람중심(person-centered)ʼ 의 접근을 통해 기존 변수중심의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해결해 보고자 하였다. 조직몰입 프로파일 연구는 조직몰입에 대한 사람중심의 접근으로서, 본 연구는 2번의 실증분석을 통해 프로파일의 유형과 선행변수를 검증하였다. 먼저 연구1에서는 정서적 몰입(AC), 규범적몰입(NC), 인지된 희생(PS), 대안의 부재(FA)라는 4개의 몰입요인(PS와 FA는 유지적 몰입(CC)의 하위차원을 의미함)을 바탕으로 조직몰입 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① 완전몰입형 프로파일(AC-NC-PS-FA), ② 내재적 몰입형 프로파일(AC-NC), ③ 중간 몰입형 프로파일(Moderately Committed), ④ 외재적 몰입형 프로파일(PS-FA), ⑤ 무몰입형 프로파일(Not Committed) 이라는 5개의 유형이 확인되었다. 연구2에서는 작업집단 동일시(workgroup identification)와 친사회적 기업정체성(company pro-social identity)이 완전 몰입형 프로파일과 내재적 몰입형 프로파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임이 확인되었다.

      • 조직몰입 프로파일의 유형과 영향요인

        이목화(Mok Hwa Lee),문형구(Hyoung Koo Moon) 한국경영학회 2014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8

        Meyer & Allen(1991)의 3요인 모델은 조직몰입의 가장 대표적 이론으로서(Cohen, 2007),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이 정서적(AC), 규범적(NC), 유지적(CC) 몰입의 선행 및 결과변수를 검증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수 중심(variable­centered)’의 접근은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으며(Meyer, Stanley, & Vandenberg,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사람중심(person­centered)’의 접근을 통해 조직몰입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AC, NC, PS, FA라는 4개의 몰입요인(PS와 FA는 CC의 하위차원을 의미함)을 바탕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①AC­NC­PS­FA, ②AC­NC, ③Moderately Committed, ④PS­FA, ⑤Not Committed라는 5가지 조직몰입 프로파일이 확인되었으며, 프로파일에 대한 Workgroup Identification, Company Pro­social Identity, Expectations of Others, Bureaucratic Arrangements의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팀 내 갈등이 팀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목화(Lee, Mok-Hwa),한준구(Han, Joon-G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팀을 기반으로 한 조직구조가 확산되면서,많은 조직구성원들이 팀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이러한 상황은 조직구성원들에게 팀이라는 또 하나의 중요한 몰입대상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갈등의 경험가능성 역시 증가시켰다.그러 나 팀 내 갈등과 팀몰입 사이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다.이에 본 연구는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팀효능감과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의 차별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 째,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은 팀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둘 째,팀효능감은 과업갈등과 팀몰입 사이를 완전 매개하였다.셋 째,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관계갈등과 팀몰입 사이를 완전 매개하였다. As team based organizational structure is commonly spreading, many employees perform as a team member. This situation increases not only team commitment but also conflict to team members. But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and team commitment. This research proves the mediation effect of team efficacy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when conflict have effect on team commitment. We hav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have negative effect on team commitment. Second, team efficacy mediates task conflict and team commitment. Third, communication satisfaction mediates relationship conflict and team commitment.

      • KCI등재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현황과 향후 방향

        이목화(Lee, MokHwa),문형구(Moon, HyoungK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4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8 No.2

        지난 20여년이 넘는 시간 동안 국내 조직몰입 연구는 비약적인 양적 성장을 이루면서, 조직몰입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들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지난 연구들을 종합해 보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노력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6년 첫 번째 조직몰입 연구가 등장한 이래, 지난 27년 동안 국내 경영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조직몰입 연구들의 내용을 정리, 분석해 본 후, 이 내용을 바탕으로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영학 관련 학술지에 실린 총 259편의 조직몰입 관련 연구들을 4개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 째, 연구 현황 부분에서는 시대 별 연구 분포 및 연구 유형을 정리하였다. 둘 째, 개념 분석에서는 조직몰입의 정의와 차원(dimension)에 관련된 이슈들을 해외연구 결과와 비교, 정리해 보았다. 셋 째, 방법론 분석에서는 실증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수집 방법, 측정도구의 활용 빈도 및 활용 현황, 활용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 째, 내용 분석에서는 지금까지 검증된 조직몰입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선행 변수의 경우에는 그 양이 방대하여 이를 5가지 속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여기서 나타난 국내 조직몰입 연구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조직몰입을 Mowday, Steers, & Porter(1979)가 주장한 단일차원의 태도적 몰입으로 보는 경향이 강했으며, 이를 반영하듯 조직몰입 측정도구 중 OCQ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결과변수보다는 선행변수에 대한 검증이 더 활발했으며, 그 중에서도 그룹-리더관계와 작업경험에 해당하는 선행변수의 검증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이루어질 조직몰입 연구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 째, 개념측면에서는 조직몰입을 단일차원으로 다룰 경우, Mowday, Steers, & Porter(1979)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는 점과 Meyer & Allen(1987) 모델의 국내적용가능성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 째, 연구방법론 측면에서는 측정도구의 엄격한 적용 및 이와 관련된 충실한 정보 제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 째, 연구 내용 측면에서는 조직 몰입의 부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 객관적 성과지표의 활용, 유지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의 결과 변수에 대한 연구, 그리고 조절변수를 검증함에 있어서 변수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개념연구 및 리뷰연구의 필요성과 Meyer & Allen(1987)이 제시한 3가지 요인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함께 제안하였다. Over the last two decades, the study of organization commitment has rapidly developed and been verified by diverse variables. However, the reviews of past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fforts for future research have been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based on a review of organization commitment research conducted in South Korean business administration field for the last 27 years, will became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For this study, a total of 259 stud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were publish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journals are analyzed in four parts. In the first part, all studies were organized by period of distribution and research type. Second part, we compared international research on the definition and dimension of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third part the trend of methodology on collecting data and the usage of measurement tools are reviewed. Finally, the variables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are review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tecedents, the vast amount of variable enabled them to be divided and organized by five characteristics. If we review the internal research for organization commitment, Porter et al (1974) maintained that the influence of attitudinal commitment of a single dimension was strong; this thought was reflected by OCQ, which became the most popular measurement among organization commitment measurement tools. Furthermore, there was more active research on antecedents than on consequences and studies on the group-leader relation variables and work experience variables are more actively pursued. This study suggests the next direction for organization commitment as follows. Firstly, the conceptual aspect suggests applying Mowday, Steers, & Porter(1979)'s single dimension model and verifying Meyer & Allen model's validity. Secondly in the methodology aspect, we recommend the strict application of measurement tools with providing of substantial information. Thirdly in the content aspect, we suggests the study on the negative effects for organization commitment and the consequences of continuance/normative commitment especially with the actual performance data. Also, in the study of verifying control variables more diverse set of variables is necessary. Lastly, this study explains the necessity for interaction effect among three components.

      • KCI등재

        근사개념 지도를 위한 관련 지식의 교수학적 고찰

        정영우,이목화,김부윤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논문집 Vol.26 No.1

        미적분학에서 "근사(approximation)"는 핵심 개념 가운데 하나인데, 이를 설명하기 위한 기본 개념은 "접선(tangent)"이며, 접선은 특별한 조건을 가지는 "직선(line)"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적분학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이들 수학적 지식에 대해 중등학교 기하지도 관점에 기초하여 교수학적 고찰을 하고, 이와 관련하여 개연성 있는 지도를 위한 주안점과 지도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유클리드 기하학에서의 점, 선, 원, 직선, 접선, 근사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해석 기하학으로 번역하는 과정을 통해 대수적 조작을 위한 수학적 지식들을 유의미하게 유도한다. 그리고 현대수학의 관점으로 이를 발전시켜 근사를 위한 수학적 지식들의 유선(流線, stream line)을 구성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직선, 접선 그리고 근사에 관한 학교수학의 내용을 고찰하여 지도의 주안점과 지도 방안을 모색한다. 이러한 연구는 교사들에게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주며, 이들 수학적 지식을 개연성 있게 지도할 수 있는 수업모델 개발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 나아가 학생들에게 수학이 계통적 학문이라는 것과 학교수학이 뚜렷한 목적성 아래 구성된 활동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 "Approximation" is one of central conceptions in calculus. A basic conception for explaining "approximation" is "tangent", and "tangent" is a "line" with special condition. In this study, we will study pedagogically these mathematical knowledge on the ground of a viewpoint on the teaching of secondary geometry, and in connection with these we will suggest the teaching program and the chief end for the probable teaching. For this, we will examine point, line, circle, straight line, tangent line, approximation, and drive meaningfully mathematical knowledge for algebraic operation through the process translating from the above into analytic geometry. And we will construct the stream line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approximation from a view of modern mathematics. This study help mathematics teachers to promot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 guiding the mathematical knowledge. Moreover, this study help students to recognize that mathematics is a systematic discipline and school mathematics are activities constructed under a fixed purp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