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李明鎬 서울産業大學校 1980 논문집 Vol.13 No.1
Recently, the thermal stress measurement becomes on issue because the welded elements such as especial boiler, turbine and high pressure vessel of atomic reactor are frequently used and they are worked at high temperature. That is why, in most case, thermal stress is a repeated thermal cycle phenomenon and often forms a cause of the breakage of machines. The present investigation found same relative difficulties in compensating method and adhesive method of the apparent strain value according to temperature by directly adhering high temperature strain gauge to material part at high temperature, 400℃ for the first time. In other words, this study made a comparison between principal value and experimental value of thermal stress for circle hole and round plate as a fundamental experiment. I think that we need mastery and experience for this experiment because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for the first time differently from the normal temperature gauge. I got a high good accurate results in this experiment of the thermal stress measurement through this paper.
가족 관련 분석적 개념의 재구성, 가족주의에서 가족중심주의로
이명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13 사회사상과 문화 Vol.28 No.-
가족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그에 따른 여러 사회현상은 학계의 주요한 관심대상 중 하나이다. 그리고 가족 관련 대부분의 연구는 ‘가족주의’라는 개념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가족주의라는 개념은 분석적 개념으로 활용하기에는 가족에 관한 다양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기존 가족 관련 연구들을 재검토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가족주의 개념에 혼재된 관점들을 (1) 가족애착주의, (2) 가족지향주의, 그리고 (3) 가족중심주의로 구분하였다. 나아가 한국사회에서 발견되는 가족 관련 사회문제는 가족중심주의적 정서, 사고, 행위와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간략하게 논증하였다. 또한 가족애착주의와 가족지향주의는 대부분의 사회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것이지만, 가족중심주의는 한국사회의 근대적 전환과정에서 발생한 특수한 현상이란 성격을 지니고 있다. 가족중심주의는 한국사회와 유사하게 근대로의 전환 이후에도 가족의 중요성이 줄어들지 않은 사회를 이해하는 분석적 개념으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orean people's attitudes about family and various social phenomena associated with family, it is one of a major concern of academia. And most of the family-related studies utilize the concept of the ‘familism’. The concept of familism can not use as the analytical concept, because the familism contains various viewpoints about the family. For this reason, we review the existing studies of family-rel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view, attitudes and viewpoints that the familism contain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ttitudes below, (1) family-attachments, and (2) family- dependence, (3) family-centered. Furthermore, Family-related social problems to be found in Korea, it was found that it is deeply associated with Family-centered. In order to utilize for related research, it was defined as the ‘family-centrism’. In addition, (1) Family-attachments and (2) Family- dependence are a common phenomenon that is found in most societies, and ⑶ Family-centrism is a particular phenomenon occurre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the modern. The ‘family-centrism’ can be utilized as the analytical concept for understanding the society that does not diminish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한마음선원의 포교 성공 요인과 위험 요인 : 성공적인 포교 조건의 관점에서
이명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2 불교문예연구 Vol.- No.19
이 연구는 한국불교의 대표적인 포교 성공사례 중 한 곳인 한마음선원을 대상으로 포교 성공요인과 위험요인을 분석한다. 연구자는 일반적인 관점과는 다른 관점, 즉 성공요인보다는 위험요인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성공적인 포교 사례들을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사례들로서 주목하여 각각의 사례에서 성공 요인을 분석하는 기존 방법론이 아닌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대략적으로 정리하면, 성공사례들 속에서 공통적인 ‘성공적인 포교 조건’을 정리하고, 특정한 사례(이 연구에서는 한마음선원)를 대상으로 성공적인 포교 조건 중에서 가장 취약한 것이 무엇인지 점검하고 그 대안을 찾는다. 성공적인 포교 조건은 조직 요소와 전법 활동요소로 구성되며, 불교조직의 요소는 불법승의 체계를 갖춘다. 첫째, ‘불’을 의미하는 사찰지도자의 리더십. 둘째, ‘법’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사찰지도자의 이념과 그 이념을 전달하는 교육체계, 셋째, ‘승’을 위한 사찰지도자의 이념을 반영한 운영체계와 신도조직이다. 그리고 전법 활동은 교화를 지향하는 포교와 ‘법’의 실천과 요익중생의 구체화인 사회적 실천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전법활동은 사회와 사찰이 만나는 접점으로 사회적ㆍ지역적 요구를 반영해야 성공적인 포교 활동이 가능하다. 선행연구와 한마음선원의 자료를 통해 현재 한마음선원은 포교 조건을 충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위험요인으로는 대행스님 리더십의 새로운 정리와 계승, 사회활동을 검토하였다.
생태위기와 환경운동에 대한 청년세대의 의미 탐색-루만의 사회이론을 중심으로-
이명호 한국신종교학회 2022 신종교연구 Vol.47 No.-
The affinity between environmentalism and religion, or the religious nature of environmental movements, is an old theme. However, considering the current climate environment, the criticism of ‘Apocalyptic Environmentalism’ is no longer the analysis of reality. Instead, in reality, more and more young people are considering climate and environmental problems as their life problems. They are interested in eco-friendly attitudes and practices as they encounter increasing abnormal climate events. This study focuses right here. It examines the growing number of youth generation who accept and act on the climate crisis as their problem and the phenomenon of the youth generation leaving religion from the perspective of Luhmann’s social theory. It argues that ‘religious communication’ is changing using Luhmann’s system theory as a theoretical basis. To this end, I briefly review Luhmann’s system theory’s religion, human, and environmental problems. After that, interviews with university environmental club members, interview articles with youth activists of environmental movement groups, and writings about climate action and ecological issue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reason why young people choose environmental movements with their beliefs and identity. Through this, we confirmed that the youth in their early 20s, who chose ecological value as the value of life and participated in the environmental movement, regarded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as an ontological threat more than any other generation. Therefore, they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issues and try to act eco-friendly. For them, Green Habit is a lifestyle, and ecological values are morality and norms. 환경주의와 종교의 친화성, 혹은 환경운동의 종교적 성격은 오래된 주제이다. 하지만 최근의 기후환경을 고려하면, ‘종말론적 환경주의’라는 비판은 더는 현실에 관한분석이라 하기 어렵다. 현실에서 갈수록 늘어가는 이상기후현상를 접하면서 기후 및환경문제를 자신들의 삶의 문제로 여기고 친환경 태도와 실천에 관심을 가지는 청년세대가 늘고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여기에 주목한다. 기후위기를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이고 행동하는 젊은이들이 늘고 있는 현상과 청년세대가 종교를 떠나는 현상을 루만의 사회이론의 관점에서 검토한다. 루만의 체계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활용하여 ‘종교적 소통’이 변화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루만의 체계이론에서 종교와 인간, 환경문제에 대해 간략하게 검토한다. 그 후 대학 환경동아리 회원 대상 인터뷰와그들이 환경운동에 대해 작성한 글, 환경단체 청년활동가 인터뷰 기사 등을 분석하여청년들이 환경운동을 자신의 신념과 정체성으로 선택하는 이유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생태적 가치를 삶의 가치로 선택하고 환경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20대 초반의청년세대는 그 어떤 세대보다 현재의 생태위기를 존재론적 위협으로 여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환경 이슈에 민감하며, 친환경적으로 행동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들에게 녹색습관은 생활양식이며, 생태적 가치가 도덕과 규범이다.
이명호,이근만 한국통신학회 1990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5 No.6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디지털 시스템 설계를 위해 하드웨어 기술 언어와 하드웨어 컴파일러에 관해 정의한 후, 레지스터 전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데이터 부시스템의 테이블을 생성하는 번역기를 실현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definitions of the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and hardware compiler for the complex digital system design. In this paper, The translator is implemented for generating the table of data subsystems using the register transfer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