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합치열기 어린이에서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의 분포도 조사

        이명성,최성철,박재홍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2

        본 연구는 125명의 6-11세 혼합치열기 아동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라 초기 혼합치열기 A군(6-8세; 62명)과 후기 혼합치열기 B군(9-11세; 63명)으로 분류하고 유치의 dfs, 영구치의 DFS를 기록한 후 자극성 타액을 채취하여 TYCSB 배지에 배양해서 S. mutans와 S. sobrinus를 구분하였으며 PCR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S. mutans와 S. sobrinus의 분포도와 치아우식증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 mutans와 S. sobrinus의 상관계수는 A군 0.70, B군 0.50로 두 군 모두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S. mutans와 치아우식증과의 관계는 A군(r=0.25)과 B군(r=0.34) 모두에서 약간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3. A군에서 S. sobrinus와 치아우식증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군(r=0.21)에서는 미약한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4. S. mutans와 나이의 상관관계는 A군과 B군 모두에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S. sobrinus와 나이의 상관관계는 A군(r=0.32)에서는 약간의 관련성이 나타났고, B군에서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utans streptococci have been reported to be implicated in dental caries. Of these streptococcal species, Strept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obrinus are most commonly found in human dental caries. Prevalence of these bacterial species in dental caries is found to be varied in different races and countries. Therefore, importance of these bacteria in dental caries remains to be determined.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correlation S. mutans and S. sobrinus with dental caries in 125 Korean children with mixed dentition between 6 to 11 years of age. They were classified as group A(6-8 years) and group B(9-11 years) by age. For the study, stimulated 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each subject. The vials containing saliva specimens were serially diluted (1:10) in saline and plated in duplicate on tryptone-yeast extract-cysteine with sucrose and bacitracin (TYCSB) for S. mutans and S. sobrinus. After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 sample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was performed for identification using universal primers and specific primers to S. mutans and S. sobrinus. Data of microbial variables were compared to caries statu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S. mutans versus S. sobrinus were moderate positive linear correlated in both group A(r=0.70) and group B(r=0.50). 2. Between S. mutans and dental caries, there were weak positive linear correlation in both group A(r=0.25) and group B(r=0.34). 3. S. sobrinus versus dental caries were not correlated in group A but slightly correlated in group B(r=0.21). 4. Between S. mutans and age, there were not correlation in both group. 5. S. sobrinus versus age were weak correlated in group A(r=0.32) but not correlated in group B.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판매원의 개인-직업 적합성 및 감정고갈, 적응판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명성,구동모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8 마케팅관리연구 Vol.23 No.4

        A salesperson largely influences company performance through a polite manner and sincerity. In addition, a salesperson builds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nd develops the relationships as contacting customers and interacting with them on behalf of his/her organization. Accordingly, further efforts for salespeople need to be necessary to manage their stress and emotions in an aspect of organization. In order to find a solution for the stress management of a salesperson,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how social support related to a salesperson affects a salesperson's feelings and behavior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ocial support affects person-job fi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P-J fit that a salesperson perceives reduces emotional exhaustion. Lastly,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emotional exhaustion affects adaptive behavior, which is a vocation aspect of a salesperson, To do so, we explore this phenomenon with a sample of 1,273 salespeople. Our findings suggest that, among social support, coworker's support and family support increase the P-J fit. Also, results indicate that the P-J fit reduces a salesperson's emotional exhaustion, which in turn negatively associates with adaptive behavior. 판매원은 공손한 매너와 성실성 등을 통해 고객에게 제품 혹은 서비스를 전달하여 기업성과에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게 되며, 기업을 대신하여 고객과 접촉하며 상호작용하여 고객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기업의 측면에서는 판매원의 스트레스 및 감정을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판매원의 감정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판매원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가 판매원의 감정을 통해 행동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지지가 판매원의 개인-직업 적합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판매원이 인식하는 개인-직업 적합성은 감정고갈을 낮추는 요인인지를 본 연구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감정고갈은 판매원의 직업적 행동 측면인 적응판매행동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1,273명의 판매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 중 동료의 지지와 가족의 지지는 개인-직업 적합성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사의 지지는 개인-직업 적합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직업 적합성은 판매원의 감정고갈을 낮추고, 감정고갈은 적응판매행동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와 적응판매행동 사이에 개인-직업 적합성과 감정고갈이 이중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 KCI등재

        A Subthreshold Slope and Low-frequency Noise Characteristics in Charge Trap Flash Memories with Gate-All-Around and Planar Structure

        이명성,조성민,윤장근,신형철,박병국,박상식,이종호 대한전자공학회 2012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2 No.3

        The causes of showing different subthreshold slopes (SS) in programmed and erased states for two different charge trap flash (CTF) memory devices,SONOS type flash memory with gate-all-around (GAA) structure and TANOS type NAND flash memory with planar structure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Ss, TCAD simulation and low-frequency noise (LFN) measurement were fulfilled. The device simulation was performed to compare SSs considering the gate electric field effect to the channel and to check the localized trapped charge distribution effect in nitride layer while the comparison of noise power spectrum was carried out to inspect the generation of interface traps (NIT). When each cell in the measured two memory devices is erased, the normalized LFN power is increased by one order of magnitude, which is attributed to the generation of NIT originated by the movement of hydrogen species (h*) from the interface. As a result,the SS is degraded for the GAA SONOS memory device when erased where the NIT generation is a prominent factor. However, the TANOS memory cell is relatively immune to the SS degradation effect induced by the generated NIT.

      • KCI등재

        외상에 의해 설측 변위된 하악 제1유구치의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치료

        이명성,이긍호,최영철,박재홍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1

        유치열에서 가장 외상이 호발하는 부위는 상악 유중절치이며, 영구치열에서 치관부 파절이 많이 나타나는 것과는 달리, 정출, 함입, 측방 변위, 탈구 등 지지조직에 한정된 손상이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유구치는 외상에 의해 손상을 받는 경우가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단일 치아 또는 다수 치아의 파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탈구 또는 변위되는 경우가 매우 드물고 이러한 경우의 치료에 대한 보고도 거의 없다. 본 증례는 4세 5개월 된 여아에서 외상으로 인해 하악 좌측 유측절치의 정출, 유견치의 탈구와 함께 제1유구치의 설측 변위가 발생하였는데, 계승 영구치의 맹출 시기와 환아의 협조도를 고려하여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하악 제1유구치의 재위치를 시도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유구치의 외상으로 인한 변위 시 치료 방법의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 보고하는 바이다. In the primary dentitions, the majority of dental injuries involve the anterior teeth, especially the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s. When injuries affecting primary and permanent teeth are compared, it appears that trauma to the primary dentition is usually confined to the supporting structures, i.e. luxation and exarticulation, while the largest proportion of injuries affecting the permanent dentition is represented by crown fractures. But, cases reporting trauma affecting primary molars are unusual in the literature and several reports describe fractures of posterior teeth. The main goal of this report is to describe the repositioning treatment using removable appliances to an uncommon case of lingual displacement of primary molar that happened to a 4 year 5 month-old female child.

      • KCI등재

        초등학생 탄력성(resilience) 척도 개발 연구

        이명성,유형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resilience measure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First, basic items were prepa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n preliminary tool were constructed through expert review about basic items. And then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8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3rd~6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resilience. After that,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or 263 students with the items that 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scale was confirmed by conduct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survey results. In addition, reliability and official validity were checked for a scale of final 24 item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ilience sca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nd to be two-dimensional 8 factors. There are four factors in the dimension of individual intern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positiveness, initiative, and request for help. There are four factors in the dimension of external protection factors: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parental support, and social tie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model fit, TLI was .918, CFI was .928, and RMSEA was .054, all of model fits satisfy the criteria. As a result of checking the reliability, factor’s Cronbach's α was in the range of .692 to .868, and the overall Cronbach's α was as high as .915. Confirming the official validity of the test, It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of .711 between this scale and the school adaptation scale for late-school-age children, and a negative correlation of -.501 with the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scale.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ree-step criteria to confirm the level of resilience.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developed and validated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lience scale involving personal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external protective factors. And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a reliable scale by developing the scale through a scientific procedure. It is expected that the scale will contribute to resilience research and be used as useful for elementary student education.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 탄력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먼저 문헌 검토와 초등학교 교사 면담을 통해 기초문항을 작성한 후 전문가 검토를 통해 예비도구를 구성하였다. 예비도구를 가지고 초등학생 3~6학년 184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탄력성의 요인 구조를 파악하였다. 그 후 요인 구조가 파악된 문항으로 263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에대해 확인적 요인분석 시행하여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신뢰도 및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 24문항의 척도를 구성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초등학생 탄력성 척도는 2차원 8요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개인 내적 특성 차원은 자기효능감, 긍정성, 주도성, 도움 요청의 4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외적 보호요인 차원은 교사의 지지, 또래의 지지, 부모의 지지, 사회적 유대의 4개 요인으로나타났다. 척도의 모형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TLII .918, CFI .928, 그리고 RMSEA는 .054로 나타나 모두 기준을 충족하였다. 척도의 신뢰도 확인 결과 Cronbach’s α 값은 .692에서 .868의 범위에 있었고, 전체 Cronbach’s α 값은 .915로 높게 나타나 안정적인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척도와 학령후기 아동 학교 적응 척도와는 .711의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척도와는 -.501의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공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탄력성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3단계 규준을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인 내적 특성과 외적 보호요인을 모두 포함하는 도구로써 개발되었다는 데의의가 있다. 또한, 과학적인 절차에 따라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초등학생 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성 있는 척도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만들어진 척도는 탄력성 연구에 기여하고, 교육이나 상담 분야에서 유용한 자료로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자본과 인적자본이 판매원의 감정노동 및 직무열의, 판매노력에 미치는 영향

        이명성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논집 Vol.25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as the measure to manage the emotional labor and the emotional aspect of the salesperson.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ocial capital and the human capital influenced emotional labor and identified which effects emotional labor had on work engagement and sales effort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on data from 224 finance and insurance sales employees in South Korea.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es based on analyzing the study results. First of all, social capital enhanced deep acting and human capital also increased deep acting of salespeople. However, social capital and human capital did not influence the surface acting. Also, the social capital increased human capital. Next, differences existed when it came to the effects toward work engagement of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f salespeople. In detail, the surface acting lowered the work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deep acting applied positively to work engagement. In addition, the salesperson with a high level of work engagement added more efforts to sales efforts 본 연구는 판매원의 사회자본과 인적자본이 판매원의 감정노동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고, 감정노동은 직무열의와 판매노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금융 및보험산업 판매원 224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자본은 판매원의 감정노동 중 내면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인적자본 역시 내면행동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자본과 인적자본은 표면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사회자본은 인적자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판매원의 감정노동 중 표면행동과내면행동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면행동은 판매원의 직무열의를 낮추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대로 내면행동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열의가 높은 판매원일 경우 직무목표인 판매를 달성하기 위해 더 노력하는 것을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제시하였다.

      • KCI등재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이의 관계특유투자가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관계학습과 관계자본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명성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8 마케팅논집 Vol.26 No.3

        최근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 간의 관계가 부실하여 갈등과 분쟁이 일어나는 등 많은 문제 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의 파트너십 구조가 거래비용이론의 관점 에서 구축되어 의존도가 높은 가맹점은 가맹본부를 통제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식프랜차이즈 파트너십 구조를 관계적 접근법으로 바라보는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이의 관계특유투자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장기지향성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계학습과 관계자본이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이의 관계특유투자 와 장기지향성을 이중으로 매개하는 연구모델을 설정하였고, 외식프랜차이즈 가맹점 운영자를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이 의 관계특유투자는 관계학습을 증가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 사이의 관계학습은 관계자본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관계자본은 장기지향성 에 긍정적인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관계학습과 관계자본은 외식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 맹점 사이의 관계특유투자와 장기지향성 사이를 이중으로 매개하는 요인임을 본 연구에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외식프랜차이즈 거래구조와 관련된 다양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the emergence of conflicts and disputes due to weak relationship between food service franchisor and franchisee are taking place because franchisees with high dependence were not able to control food service franchisor since the partnership structure between food service franchisor and franchisee was established in terms of transaction cost theor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paradigm of viewing food service franchise partnership structure in relational approach and identify how relationship specific investment between food service franchisor and franchisee influences long-term orientation. For this aim, the study model which relationship learning and relational capital double mediates relationship specific investment and long-term orientation between food service franchisor and franchisee has been set an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franchisee owners.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is study results. First, relationship specific investment between food service franchisor and franchisee has been found to be the factor increasing relationship learning. Second, relationship learning between food service franchisor and franchisee has been identified to improve relational capital. Third, relational capital has been found to be a positive factor in long-term orientation. Lastly, this study verified that relationship learning and relational capital are the factors double mediating relationship specific investment and long-term orientation between food service franchisee and franchisor. A variety of implications regarding food service franchise transaction structure have been discuss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