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대유행 시기 지각된 스트레스가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처전략의 종단매개효과

        이다미,이덕희,이동훈,Dami Lee,DeokHee Lee,DongHun Lee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9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coping strategies(emotion-focused, problem-focused, and maladap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during the COVID-19 andemic and psychological distress(negative affect,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 Also, This study sought to find generational differences between coping strategies u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participants were 941 adult aged between twenties and seventies. The final participants were recruited on two separated longitudinal time points, Time 1 and Time 2. The result were as follows: Only Maladaptive coping strategy(Time 2)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Time 1) and psychological distress(Time 2). . The result of the generation-based multi-group analysis did not yiel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coping strategie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longitudinally examined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노동시장의 젠더불평등과 성별 연금격차

        이다미(Lee, Dahmi)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7 비판사회정책 Vol.- No.57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 60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자들의 과거 노동시장에서 발생한 젠더불평등이 성별 연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OLS 회귀분석을 통해 연금 급여수준의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 다른 조건들이 모두 동일할 때 여성은 남성보다 24.7% 더 적은 연금급여를 확보하고 있었다. 이때 교육수준과 근속기간과 같은 인적 특성과, 종사상지위, 사업체규모와 같은 노동시장 특성이 성별 연금격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연금격차의 구체적인 원인을 차이와 차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Oaxaca-Blinder 요인분해를 실시한 결과, 총 연금격차 가운데 49.4%가 남녀의 분포 차이에서 발생하고, 나머지 50.6%는 노동시장에서의 남녀 차별로 인한 보상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 같은 분포 차이와 보상 차이의 요인별 기여도를 살펴본 결과, 분포 차이의 가장 큰 원인은 성별에 따른 교육수준과 근속기간의 차이였고, 보상에서의 격차는 기능직과 특정 규모의 사업체에서 발생하는 남녀차별이 주된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에 대한 크레딧제도의 확대 및 보편적 기초연금의 강화, 노동시장의 성별 직종분리 완화, 장기간 지속되어 온 차별적 임금체계의 개선 및 여성할당제 등을 통해 노동시장과 연금제도 사이에서 발생하는 비정합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gender inequality in the past labour market affects gender pension gap among the national pension recipients focusing on ‘differences’ and ‘discrimination’ using KReIS 5th dat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OLS regression, women receive approximately 25% lower national pension benefit than men when the other conditions are controlled.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level and job tenure and labour market characteristics represented by work status and firm size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mpact on gender pension gap. Secondly, Oaxaca-Blinder decomposition method reveals that gender gap from differences explains 49.4% of total pension gap, while the gap from discrimination accounts for the rest 50.6%. Thirdly, the major cause of the gap from differences is in both education level and job tenure. Gender discrimination by technical occupation and in specific-scale workplace influences the the gap of pension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institutional coherence between labour market and pension system is required through policies such as enlarging pension credit for women, alleviating occupational gender segregation, improving discriminative wage structure among the wage earners and introducing gender quota system in the long-term.

      • KCI등재

        Effects of Self 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Level and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이다미(Da Mi Lee),최인호(In Ho Choi)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8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esteem, self-differentiation level, and smartphone addiction. It aimed to clarify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level on their smartphone addiction. The SPSS WIN 22.0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es. First, I examined the self-esteem, self-differentiation level, and general smartphone addiction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Seco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steem, self-differentiation level,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level on their smartphone addi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the lower the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ir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the lower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ir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hopes to help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smartphones, and to lay a basis for a program for healthy and desirable smartphone usage habits.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전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수집된 285부의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 스마트폰 중독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전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분화수준,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자아분화 수준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문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낮아질수록 전문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문대학생들의 자아분화수준이 낮을수록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으로 야기되는 문제들을 개선하고 건강하고 바람직한 스마트폰 사용 습관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반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가설적 위험 인구집단 방식에 따른 향후 세대별 노후소득 수준 비교: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을 중심으로

        이다미(Dahmi Lee),정창률(Chang Lyul Ju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2

        본 연구는 한국의 퇴직연금이 향후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에서 유의미한 제도로 기능하게 될 경우, 중장기적으로 어느 정도의 노후소득을 보장할 수 있을지를 ‘가설적 위험 인구집단’ 방식을 사용하여 세대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민연금만 받게 될 때, 거듭된 소득대체율 하락으로 인해 상대빈곤선을 초과하는 인구집단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퇴직연금이 의무화되어 노후소득 보장의 기능을 온전히 수행하게 된다면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 하락이 상쇄되어 미래세대의 노후소득 수준은 지금보다 크게 개선될 수 있고, 서구 국가들과 비교하여도 그 수준이 크게 차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이 45%로 인상되더라도 거의 모든 계층에서 급여인상은 미미한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노후소득에서 퇴직연금의 비중이 커질수록, 후세대로 갈수록, 계층별 연금격차는 점차 커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적정한 노후소득보장의 목표를 달성하려면 퇴직연금의 의무화를 통한 역할 강화가 필수적이며, 여성, 저임금근로자와 같은 취약계층을 위한 국민연금 차원의 개선책이 동반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aims to compare with the mid-term or long-term old-age income levels between generations in Korea by using hypothetical risk biographies" method when the occupational pension becomes mandatory.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no biographies will receive old-age income beyond relative poverty line when they receive the National Pension(NPS) only. However, when the occupational pension becomes mandatory, the future old-age income in Korea will increase significantly with offsetting the effect on reduction in income replacement ratio in the NPS, which will be not less than those of the Western countries. Second, the effect that increases in income replacement ratio in the NPS by 5% will be insignificant in nearly all biographies. Third, the bigger the proportion of the occupational pension is, the larger pension gaps between income levels and between genders will b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adequate old-age income securit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oles of occupational pension throughout its compulsion and, other remedial actions in the NPS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such as women and low-income earners should be accompanied.

      • KCI등재
      • 바이오미미크리 디자인을 기반으로한 건축물 사례에 대한 연구

        이다미(Lee, Dami),이현수(Lee, Hyunso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5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made human life comfortable but isolated the contact with the nature. In order to solve this isolation, biomimicry technology receives the attention which improves economic and esthetic values as well as gets the excellent energy efficiency performance by imitating the ecology of the nature. It can be identified that biomimicry is applied also in architectural area through number of cases and at the same time, the algorithm about mathematical and geometrical concept which is a representative method imitating the nature also becomes a topic.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morphological nature by paying attention to the architecture cases utilizing the geometric principles of voronoi diagram under the biomimicry principles and examine how those characteristics show the regularity and pattern mechanism of the nature.

      • KCI등재후보

        불안정 애착의 세대 간 전이를 경험한 어머니-자녀에 관한 사례연구: Bowen의 가족상담이론을 중심으로

        이다미 ( Da Mi Lee )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2013 복음과 상담 Vol.21 No.-

        애착유형, 애착의 세대 간 전이, Bowen의 가족상담이론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다세대 가족상담은 가족의 정서과정이 역사를 통해 지속되고, 이전 세대에서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문제가 유사한 유형으로 다음 세대로 전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 애착의 세대 간 전이를 경험한 어머니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탐색하고, 불안정 애착을 경험한 어머니와 자녀에게 Bowen의 가족상담이론을 활용하여, 어머니-자녀의 관계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한다. 연구대상은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남자 청소년으로 또래친구들과 다툼이 찾으며, 지각, 무단결석, 가출 등으로 인하여 어머니와 심한 갈등이 있다고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불안정 애착형성은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자녀의 문제행동에도 영향력을 미치었다. 둘째, 연구참여자 가족의 애착유형을 살펴보면, 연구참여자, 어머니, 외할머니는 불안정 애착유형이 전수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불안정 애착을 경험한 어머니-자녀에게 Bowen의 가족상담이론을 적용한 결과, 연구참여자 가족의 기능과 체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연구참여자는 상담을 통하여 어머니-자녀관계 개선뿐만 아니라 또래관계, 학교생활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There is a clear connection among the pattern of attachment,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and Bowen`s family counseling. In multigenerational family counseling it has been seen through history that the emotional process of a family passess from one generation to next and unsolved or tangled problems of the previous generation can easily cause similar problems to the following gener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ee firstly how the pattern of insecure attachment of a mother will influence her children. And secondly how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of the client` family take place and thirdly, what changes can be detected after applying the Bowen`s family counseling to the mother with an insecure attachment pattern to her chil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male adolescent attending middle school. This client had problems with his mother due to his frequent conflicts with his peers, tardiness, absence, and running away from home inci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mother`s insecure attachment pattern did not influence positively on mother-child relationship where as it caused her child`s problem behaviors indirectly. The mother`s depression and anxiety hindered her sensitivity toward the child as a mother. Second, the family attachment pattern of the client showed that client, his mother, and his grandmother all have the insecure attachment. Third, after applying Bowen`s family therapy to the client and his mother who has the insecure attachment pattern, it is showed that there were changes in family function and system and improvement of mother-child relationship along with the client`s problem behaviors and school adaptation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