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홍삼 분말을 이용한 유화제 대체 에멀젼 제조 및 안정성 평가

        이누리,고상훈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Vol.2016 No.04

        본 연구에서는 홍삼 분말을 이용하여 유화제 대체 에멀젼을 제조하고 저장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유화제 대체 에 멀젼을 제조하기 위해홍삼 입자를 활용한 피커링 기법을 이용하였다. 홍삼 분말과 소량의 유화제를 증류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여 골고루 분산시킨 후 medium chain triglyceride (MCT) oil을 drop-wise 방식으로 첨가하였다. 그 후균질 기를 이용하여 2000 rpm에서 8분간 1차 균질화하였고, 초음파처리기를 이용하여 2차 균질화하였다. 에멀젼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3,500 rpm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하여 중력 가속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조된 홍삼 피커링 에멀젼은 약 345 nm크기의 액적을 형성하였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중력 가속화 시험법을 이용한 에멀젼 저장 안정성 평가에서 원심 분리 후 홍삼 피커링 에멀젼의 안정성은 약 59%로 감소하였으며, 동일한 양의 유 화제만을 사용하여 제조된 에멀젼의 안정성은 약 49%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홍삼 분말을 피커링 입자로 하여 유 화제를 대체하였을 때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따라서 홍삼 피커링 에멀젼을 상온에서 보관하였을 경우, 비교적 안정하게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홍삼 분말로 유화제를 부분 대체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을 때,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홍삼 분말로 인한 건강 증진 효과 역시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Measurement of Nanofilament-fabric Optical Properties

        이누리,민문홍,김한성,Lee, Nu Ri,Min, Mun Hong,Kim, Han Seong The Korean Fiber Society 2015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2 No.5

        This study examined the optical properties of nanofilament fabrics prepar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modified-PET sea-island bicomponent fibers using an alkali treatment. The luster and anti-transparency properties of the fabrics before and after the alkali treatment were compared. The illuminance of the alkali-treated fabric relative to the position of an illuminometer was higher than that of untreated fabric, except for an illumination angle of approximately $270^{\circ}$, where much of the light was transmitted through the pores created by the removal of the sea materials. In addition, the alkali-treated fabric exhibited superior anti-transparency properties compared to the untreated fabric. Therefore, the outstanding optical performance of nanofilament fabrics was confirmed.

      • KCI등재후보

        비열플라즈마 발생기의 결핵균 생장 억제 효능

        이누리,박상희,김지연,김기영,김대연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8 의료관련감염관리 Vol.23 No.2

        플라즈마 발생기의 결핵균 성장억제 여부를 확인 한 결과, 결핵균이 플라즈마에 노출 후 9시간 이후부터 99.0% 이상의 결핵균 성장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플라즈마 발생기를 결핵균 감염관리 및 예방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GeneXpert와 MTBDRplus를 이용한 리팜피신 내성 신속진단

        이누리,정지희,김지연,김천태,성낙문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5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0 No.-

        연구배경 및 목적: 내성결핵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내성결핵의 전파를 줄이고 환자의 치료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신속진단법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 결핵균을 대상으로 최근 WHO에서 권고하고 있는 신속진단법인 GeneXpert(이후 Xpert)와 MTBDRplus의 리핌피신 내성 진단 민감도와 특이도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립마산병원 결핵검체은행에 보관중인 임상결핵균주 104균주를 배양 후 두 가지 약제감수성검사를 수행하여(절대농도법, 내성비율법) 그 결과를 gold-standard로 사용하였다. 배양된 결핵균주를 Xpert에 적용하였으며, 결핵균주로 부터 DNA를 추출하여 MTBDRplus에 적용하여 신속진단법 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절대농도법으로 약제감수성 검사를 하였을 때, 104개 균주 중에서 리팜피신 내성과 감수성 균주가 각각 76개와 28개였고, Xpert와 MTBDRplus의 민감도는 각각 93.4와 94.7%로 확인되었다. 특이도는 두 가지 방법 모두 100%였다. 내성비율법을 gold-standard로 적용하였을 경우 리팜피신 내성과 감수성이 각각 73개와 31개였고, Xpert와 MTBDRplus의 민감도는 각각 94.5%와 95.9%이었다. 특이도는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93.5%였다. 결론: 국내 결핵균주 104개를 WHO 권고 신속진단 방법인 Xpert와 MTBDRplus에 적용하였을 때, 리팜피신 내성 진단에서 두 방법 모두 93% 이상의 민감도와 93~100%의 특이도를 보여주어 우수한 진단효능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민감도와 특이도는 gold-standard로 사용된 약제감수성 검사법에 따라 달라지므로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나노필라멘트 직물의 열 및 음향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누리,민문홍,김한성,Lee, Nu Ri,Min, Mun Hong,Kim, Han Seong 한국섬유공학회 2015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2 No.2

        Nanofibers, which have larger specific surface areas than conventional fibers, significantly enhance the functionality of conventional fiber materials in addition to introducing new features. Thermal barrier and sound insulation tes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thermal and acoustic properties of the nanofilament fabrics prepar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modified PET sea-island bicomponent fib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fabrics with filament diameter of 400 nm exhibited excellent thermal and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fabrics with filament diameter of 600 nm.

      • KCI등재

        광산란 방식 실시간 미세먼지 측정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이누리,엄현욱,조현숙 한국화재소방학회 2018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2 No.3

        Extremely fine particles seriously affect people and are becoming a social problem. Conventional methods using the typeof beta ray absorption are difficult to have real-time measurements and miniaturization for the acquisition of fine dust. In thispaper, a light scattering method was used. The sensors were configured internally with semiconductor laser diodes forminiaturization, low cost and lightweight. The use of the FFT method makes it easier to separate fine dust according to sizecompared to conventional light scattering sensors. Bluetooth communication also allows the connection, monitoring and controlof devices using smart phones. 최근 초미세먼지는 사회적 재난으로 간주될만큼 국민건강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쳐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기존의미세먼지 측정 방식은 베타선 흡수방식을 사용하여 실시간 측정 및 소형화가 어려운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광산란 방식을 사용하여 소형화 및 저비용의 센싱 장치를 개발하였다. 광산란 방식을 적용한 센서는 내부에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전압레벨의 신호를 주파수레벨로 변환하여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세먼지 입자 크기별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개발 시스템은 블루투스 통신으로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미세먼지를 모니터링하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침습적 진균 감염 진단을 위한 화상환자에서의 (1,3)-β-D-Glucan 검사의 효용성

        이누리,김도헌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9 의료관련감염관리 Vol.24 No.1

        배경: 진균감염은 원내감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특히 화상환자에 있어서 침습적 진균감염은 환자의 사망률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1,3)-β-D-glucan (BG)검사는 침습적 진균감염의 진단법으로 최근 국내에서도 이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효용성에 있어 연구된 바가 많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화상환자를 대상으로 침습적 진균감염의 진단에 있어서 BG 검사의 효용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방법: 2018년 7월부터 12월까지 화상을 주진단으로 중환자실에 내원한 총 86명 환자의 BG 수치를 전향적으로 측정하였다. Fungitell Assay (Cape Code, East Falmouth, MA)를 이용하여 중환자실 입원 첫 일주일 이내의 BG값을 측정하였고, 임상양상, 진균 배양결과와 비교하여 검사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총 11명의 환자가 침습적 진균 감염으로 확진되거나, 의심 환자로 판명되었다. 60-80 pg/ mL 참고치를 기준으로, 총 37명(43.0%)에서 양성, 5명(5.8%)에서 중간값(intermediate), 44명(51.2%) 에서 음성의 결과를 보였으며, 민감도와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는 각각 81.8%, 56.0%, 24.3%, 95.5%였다.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분석에서 AUC (area under the curve)는 0.725이었으며, 적정 절단값은 124.2 pg/mL로, 이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1.8%와 74.7%였다. 결론: 화상환자에서의 BG 검사는 중등도의 정확도와 높은 음성예측도를 보였지만, 양성예측도가 매우 낮았다. BG 검사는 침습적 진균감염의 선별검사로써의 유용성은 떨어지나 치료 중단 등을 배제하기 위한 추적검사로의 이용을 권장하는 바이다.

      • KCI등재

        서울시의 식품 사막 사례 연구

        이누리,김걸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All human has the right to take healthy foods. However, there are so many people who cannot have it in the areas called as food deserts or food swamps. They are classified into the social weak including the handicapped, the old and the underclasses.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in food deserts are constructed and differentiated by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of nations and regions. The food deserts of the U.S.A., and Australia that have a huge land are usually created in the urban periphery and rural area. In contrast, those of the U. K., Japan, and Korea that have a small land are created in the zone in transition of urban core surroundings or the deprived area of urban periphery. Poverty, declined built environment, and aging are major components of food deserts creation. Seoul has a big potential for a new type of food deserts to be created due to high population density and overwhelming apartment 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n contrast with the case of oversea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of food deserts in Seoul and looks into the residents’ fresh food consumption behaviors as two cases of Namyoung-dong categorized as a zone in transition and Deungchon-3 dong categorized as a residential area in the terms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Seoul. 인간은 누구나 건강한 식품을 섭취할 권리를 가진다. 그러나 식품 사막 또는 식품 늪으로 불리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상당수가 존재한다. 이들은 장애인·노인·빈곤층 등 사회적 약자에 해당된다. 식품사막은 국가와 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라 입지 특성이 달리 나타난다. 미국과 호주 등의 넓은 국토 면적을가진 국가에서는 도시 외곽이나 농촌 지역에서 주로 일어나는 반면, 영국이나 일본, 한국과 같이 상대적으로 국토면적이 좁은 국가에서는 점이지대나 도시 외곽의 빈곤지역에서 나타난다. 빈곤과 불량한 거주환경을 비롯하여 최근 급속도로 진행된 고령화 등이 식품 사막의 중요한 발생요인이다. 서울의 높은 인구밀도와 아파트 중심의 주거환경은 외국의 사례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새로운 유형의 식품 사막을 만들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공간구조상 점이지대와 도시 외곽의 주거지역에 해당되는 서울시 남영동과 등촌3동 거주민의 신선식품 소비 행태를살펴보고, 서울시의 식품 사막 발생가능성에 대해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