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일본의 도덕교육에 관한 일고찰—메이지 전기 교육사상의 변용을 중심으로—

        이권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日本硏究 Vol.0 No.78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change of educational ideology in the early era of Meiji on the scheme of socio-political evolution in terms of ‘The 1880 Education Order’, throughout going through how Meiji’s early Government Code of Education had verged into ‘The 1880 Education Order’. It will provide the basis that affords a totalistic picture of the educational system and ideology in the early era of Meiji, and to investigate how the educational system had affected Japanese’ specific world-view, lied in contradiction. Finally, this might be an examination of the origin of Japanese’ current specific historical view and an introspection of the exacerbated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n humanities. 本稿は、近代の日本人が天皇と国家を強く意識する思惟体系の形成、即ち, 国体思想の形成という近代日本の支配的な思想体系の形成における教育勅語を中心とする道徳教育の担った役割と意味、そしてそれの具体的な方法を考察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具体的には、明治時代の前期における教育勅語の渙発以前の日本の道徳教育について、これを通時的に眺望し、教育勅語の制定の経緯、内容、理念、そして渙発以降の道徳教育に及ぼした影響などの諸般にかけての考察を試み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そうすることによって、個人の独立という近代的自我の成立以前に天皇と国家を強く意識する近代日本人の特定的な思惟体系の形成における教育勅語のもつ意味と、今日日本の極右勢力が教育勅語の復活にかける期待は果たして何なのかを明らかにしたと思う。

      • KCI등재

        메이지(明治) 후기 국민교육에 관한 고찰 :창가(唱歌)를 통한 신민(臣民)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이권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2 아태연구 Vol.19 No.1

        Japan’s modern education was propelled as a part of new Meiji(明治) government’s educational reform. The new Meiji government entered the way of modernization later than Western powers, and the modernization of education was thought to serve it for catching up the gap. To meet the national goal of ‘wealthy nation and strong military(富國强兵)’ and of ‘rich production and industrial promotion(殖産興業)’, competent people to reach the goal were necessary. To train them, the new Meiji government need to found advanced educational systems and to prepare contents for such education based on pragmatic practical thoughts as soon as possible. The inspection team whom the government dispatched, referring and imitating advanced educational system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Germany, and France, established Japan’s school system, and Japan’s educational system achieved rapid development through its regulations for education reformed in accordance with trends. I previously have researched on the educational systems in the early Meiji period from 1868 till 1890. Indeed, this study, as its follow-up, covers the twenty years of Japan’s national education in the late Meiji period from 1890 to 1911, focussing on the changes of educational ideologies. This attempts to examines, from diachronic perspective, Japan’s national education in the late Meiji period with examples showing how the changes of systems and of ideologies influenced the special area of teaching school song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ideologies and teaching school songs as their realization within the educational reality in the late Meiji period in which the Dennō(天皇) ideology was completed. For the prior step before researching how education involved in the ideological identity formation of the early 20th century Japan which got into imperialism and militarism, this study thinks about the formation of norm and education in the late Meiji period Japan that was the strong Dennō-centric nation-state 일본의 근대교육은 메이지 신정부의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서구 열강에 비해 늦게 근대화의 길로 들어선 메이지 신정부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착목했던 것이 바로 교육의 근대화였던 것이다. 메이지 신정부는 부국강병(富國强兵)과 식산흥업(殖産興業)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를 추진할 인재양성이 절실했으며, 이를 위해 하루 빨리 선진 교육제도를 갖추고, 공리주의(功利主義)적 실학사상을 바탕으로 한 교육내용의 확립이 절실했다. 메이지 신정부는 당시의 선진문명국이었던 미국과 독일, 프랑스 등의 선진 교육제도를 참고 혹은 모방하여 학제를 만들었고, 시류(時流)에 따라 세부규칙을 개정한 교육령을 통해 일본의 교육제도는 짧은 기간 내에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필자는 일전에 1868년(明治元年)부터 1890년(明治23) 이전의 메이지 전기의 교육제도에 대해 살펴본 바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그 후속으로 1890-1911년까지, 이른바 메이지 후기라고 할 수 있는 약 20여 년간의 일본의 국민교육의 실태에 대해 주로 교육이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개관(槪觀)하며, 시의(時宜)에 따른 제도와 이념의 변화가 창가교육이라는 특수한 영역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쳤는가 하는 실례를 통해 메이지 후기 일본의 국민교육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시도하는 것이다. 천황 이데올로기의 완성기라고 할 수 있는 메이지 후기의 교육 실태를 주로 교육이념과 그 구현(具現) 대상으로써 창가교육에 주목하여 기술한다. 제국주의, 군국주의로 치닫는 20세기 초 일본의 사상적 정체성 확립에 교육이 어떻게 관여하고 진행되었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써 메이지 후기 강력한 천황 중심의 국민국가 일본의 규범형성과 교육이라는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 KCI등재

        근대 일본의 애국심교육에 관한 고찰

        이권희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3 일본연구 Vol.20 No.-

        1872年の学制で決めている14の教科目のなかに唱歌と呼ばれる西洋音楽を置いた本来の目的は、子供の情操や身体の発達を強調した音楽教育本然の純粋な意図によるものであった。それが明治20~30年代を前後にして忠君愛國思想を根幹とする國家主義思想の発現によって、本来の教育的な意図とは違う、近代国民国家に相応しい臣民としての自覚を植え込むための道具と化する。これはまぎれもなく日本の近代教育思想史の根底に流れている定説なのだ。しかし、最近筆者は、近代日本の音楽教育の開始に関するこのような定論を疑うようになった。その理由は、いくら明治新政府の初期教育政策が個人の自立と私的利益を追求するという、西欧の近代国民国家に見られるような教育の普遍的な価値を指向したとはいえ、功利主義的価値や公共性、道徳教育を通した愛国心の涵養といった、近代国民国家に相応しい国民の規範形成に教育の究極的な目標を設定し、またこれを実現するための方法を不断に講究してきたということを見逃すわけにはいけないからである。 従って、本稿は、国民国家を目指した明治新政府が国民教育の一環として導入した明治期における唱歌教育の在り方をもう一度再検討することによって、従来「智育」から「德育」という単線的視線で捉えてきた教育思想史の流れから脱皮し、最初から国家主義、愛国主義教育観を最高の教育的価値として設定し、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一方便として唱歌教育が行われたということを明らかにするものである。

      • KCI등재

        메이지(明治) 전기 교육사상에 관한 일고찰- 도덕교육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이권희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4 일본사상 Vol.0 No.2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ay the exaggerated, today to face the problems that abound in Korea and Japan, to explore solution of the litterae humaniores for building the future of symbiotic coexistence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basis of mutual understanding I have to. It has to be priority understanding of what Korea and Japan of the base layer culture than for the sake of this.This is because, I Studies on Modern Education of Japan, is because I believe that provide us with the empirical clues for the entity investigation of thinking system, which has been forming a base layer culture of Japan and later modern. Specifically, common core of education and also say to center th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hile incorporated the research results that have been accumulated until now, by considering the moral education of the Meiji previous fiscal year, of the modern period ordinary Japanese moral Education in the formation of the thought system is intended to clarify the responsible role and educational history of thought significance. Morality Among human continue to the social life, and to determine the right and wrong-right and wrong properly, serve as personal inner principles to properly act, the totality of the various norms that defines a human relationship. Morality, also called are those that must be learned through life, including school and home life, but absolute in moral education in primary education is to form a thought Birdman, including the morality and values of human best to bottom line and time is given to it is needless to say that affect. In such sense, this paper attempts to discuss the Japan of moral education in the Meiji previous year, to understand the thinking system of living ordinary Japanese modern, in a small clue to understand the thinking system of Japanese living modern Pull believe that could be. 본고는 오늘날 한일 양국에 산적해 있는 문제를 직시하고,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일 간의 공존공생의 미래를 구축하기 위한 인문학적 해결방법을 모색하는 작은 시도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한일 양국의 기층문화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일본의 근대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는 근대 이후 일본의 기층문화를 지탱해온 보통 일본인의 사유체계 형성과정을 이해하는 실증적 단초를 제공해 주리라 믿는다. 구체적으로는 보통교육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소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축적되어 온 다양한 연구성과를 원용하며 메이지 전기 도덕교육에 대해 조망해 봄으로써 근대기 보통 일본인들의 사유체계 형성에 도덕교육이 담당했던 역할과 의의를 교육사상사적 관점에서 논해 보고자 한다. 도덕은 인간이 사회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선악(善悪)·정사(正邪)를 바르게 판단하고, 올바른 행실을 하기 위해 인간의 내면적 원리로써 작용하는, 다양한 규범의 총체이다. 도덕은 학교와 가정생활을 포함해 인간의 전 생애를 통해 학습해야 하는 것이겠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초등교육 과정에서의 도덕교육이 도덕관·가치관을 포함하는 개인의 사유체계 형성에 있어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본의 국민국가 형성 초기라 할 수 있는 메이지 전기 도덕교육의 형성과정과 전개양상, 그리고 그 의의를 교육사상사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본고를 통해 근대를 살았던 보통 일본인의 사유체계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나아가 현대를 살아가는 일본인의 국가관, 세계관을 이해하는 작은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믿는다.

      • KCI등재

        메이지기(明治期) 국민교육과 전쟁 · 전쟁영웅 - 창가(唱歌)교육을 중심으로 -

        이권희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2 일본학연구 Vol.37 No.-

        While the goal of early Meiji education including shōka education lay on founding common national ideology as formation of national polity and on making loyal subjects, after mid-Meiji era, that is the first Sino-Japanese War period, going through some wars, loyalty and patriotism appearing in texts for shōka education shows that shōka was used a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tool to spread stories of militarism and loyal courage for enhancing loyal and patriotic ideology and fighting spirit. Also, shōka education took important roles not only in-class education through textbooks but also in various sites for enhancing fighting spirit and patriotism, such as militaristic exercise, athletic meeting, and so on. The original goal for which shōka was adopted into modern Japanese education system was to have perceptional feeling vigorous and mind delighted, to move mind happy, and to brace up good nature. However, shōka education in Meiji era was shifted from the early period for moral education focussing on emotional purity to the late period for educational tool to enhance loyalty, patriotism and fighting spirit. Needless to say, such a trend till the war defeat in 1945 became more severe with new media like radio broadcast and record distribution. This article, limiting its objective within Meiji era and mostly concerning shōka education, examines how education, especially shōka education, was related to establishing Japan's ideological identity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which imperialism and militarism so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