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의 영향요인 분석: 취임1년차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국민여론조사를 중심으로

        이곤수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9 行政論叢 Vol.47 No.3

        This study makes an empirical inquiry about the primary factors that influence the public’s approval of the president in Korea. In order to do this, applicability was examined based on an analysis of presidential elections. While keeping the fundamentality of the Economic Evaluation Model as a basis, several variables were constructed that might explain presidential approval by considering typical political factors in deriving non-economic factors that fit the Korean situation. In particular, the economic factor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are egocentric perspective, sociotropic perspective, government accountability, and prospective evaluation. The non-economic factors that were used in this study included North Korea Policy, policy ideology (economic growth versusalleviating economic polarization), political ideology, and party identification, as well as government trust. For the actual analysis, the East Asia Institute’s public opinion research (February, 2009) was used as the data sourc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prospective evaluation of the current government’s economic policies was considered the most effective and government accountability was a significant factor. It has been confirmed that government trust and party identification are determining factors. It has been known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residential approval according to sex, age, and academic background. In addition to these findings there is a discussion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presidential approval in Korea. 이 연구는 대통령의 국정운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통령 투표선택 분석에서 설명력이 입증된 경제투표이론을 기본적 분석렌즈로 채택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적 상황에서 경제적 요인의 설명력 한계를 감안하여 전통적 정치요인과 같은 비경제적 요인을 대통령지지의 설명변수에 도입하여 분석모형을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경제적 요인은 개인적 경제상황, 국가적 경제상황, 경제악화 정부책임, 경제정책평가이며, 비경제적 요인은 정부성과(대북정책), 정책이념(경제성장 vs. 양극화해소), 정치이념, 정당일체감 및 정부신뢰 등이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동아시아연구원의 여론조사(2009년 2월) 원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에는 현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전망적 평가가 가장 영향력 높은 요인이며 국가경제악화에 대한 정부책임 인식 또한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비경제적 요인으로는 정부신뢰와 정당일체감이 유의미한 결정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개인적 속성으로 성별, 연령 및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대통령지지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지방선거의 유권자 투표 선택, 정당인가 후보인가? : 6.2 지방선거와 서울시의 사례

        이곤수,송건섭 한국정책과학학회 201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No.4

        This research analyzes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party and the candidate on the voters' choice in the case of the 6.2 local election. Party and candidate are the deciding factors in major and competitive elections, and this paper first compares the answerability of the party factor and the candidate factor through analyzing the set data of the results of the elections in fifteen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Next, it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individual behaviors as one of the deciding factors, in the case of the Seoul Mayoral ele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ssessment on the performance of the ruling party and its candidates' capacities had the most decisive influence over the voters' choice, and the assessment on the competing candidates' capacities had significant influence as well. In sum, local election could be regarded as an interim assessment of the current administration and the ruling party and thus, the party factor was proved to be a core factor in voters' decision. However, the effect of the party factor can bring about a different result depending on the candidate factor. 이 연구는 6.2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유권자의 후보 선택에 관한 경쟁적 설명변수인 정당 요인과 후보 요인의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먼저, 전국 15개 광역자치단체의 단체장 및 비례 대표의원선거의 집합자료 분석을 통해 정당 요인과 후보 요인의 설명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서울시장 선거를 사례로 개인 행태 차원의 투표 결정 요인을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권자의 투표 선택에는 정부 여당 및 여당 후보 역량에 대한 평가가 가장 결정적이었으며 여기에도 전 후보의 역량 평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지방선거의 정부 여당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으로 인해 정당 요인이 유권자의 투표 결정에 핵심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그 효과는 후보 요인에 따라서 다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 KCI등재

        여성고용활성화를 위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가능성 진단 - 경상북도 사례 -

        이곤수,이지인 대한지방자치학회 201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여성고용활성화를 위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수 있는지를 진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자리 공급 메커니즘을 이론적 틀로 삼아 경북지역을 대상으로 수요자인 여성과 공급자인 사업체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북지역에서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적합한 직종 개발이 우선되어야 하고, 근로조건과 임금수준이 양호한 전문성 있는 직종개발과 함께 구인업체가 요구하는 적격한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및 취업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tries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good quality part-time job creation forwomen in Gyeonsangbuk Do. Using theoretical model of job creation mechanism, weanalyze the potential of current good part-time employment policy to meet needs ofemployers and female workers. Findings show that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toward good quality part-time job could provide women with opportunities to get job. The paper proposes that it should be developed new high-level part-time jobs forwomen, building a women employment support system with skilled worker programsto provide better part-time employment.

      • KCI등재후보

        경상북도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지원정책의 실효성 제고방안

        이곤수,이지인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6 대구경북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d appraise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and suggest the policy task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t. To accomplish this,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policy interests--career interrupted women, working women, public service provider, business executives--in Gyeongsangbuk-Do is used by the method of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it is not achieved a satisfactory level of performance and public awareness of supporting policies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This study suggests as policy recommendations that the supporting system of reemployment centers for women be reinforced, infant and children care services for career women be designed to encourage access, and policies supporting the coexistence of work and family be developed.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지원정책이 실제로 어떻게 이행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정책 이해관계자들이 생각하는 문제점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정책개선을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를 사례로 이해관계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FGI를 활용하여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지원정책의 정책성과를 점검하고 실효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지원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에 불구하고 정책개선 속도와 현장의 정책체감도는 기대한 정책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책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여성새로일하기센터의 운영효율성 제고, 돌봄지원 서비스의 확대, 일가정 양립환경 조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 강화 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시간선택제 여성일자리의 확산 가능성 진단

        이곤수,이지인 한국정부학회 2014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09

        이글은 경북지역을 사례로 하여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갈 수 있는 지를 진단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자리공급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여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수요자(구직여성)와 공급자(구인업체)를 대상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한 인식과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경북지역에 시간선택제 일자리의 확산 가능성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다만, 본 조사의 응답자들의 인식 속에서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어느 정도 수준의 양질’인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았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확산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적합한 직종이 개발되어야 하며, 적합한 직종은 근로조건과 임금수준이 양호한 전문성 있는 여성친화적 시간제 직종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해당 직종의 구인업체가 요구하는 적격한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및 취업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성일자리지원체계가 동시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고용정책의 집행전략 분석

        이곤수 한국정책과학학회 200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5 No.3

        With the enactment of 'Implementation Promotion Act for the Disabled' in 1991, the policy for the employment of disabled finally came into effect. However, the policy has not yet proven effective. A size of disabled workers employed by the those business which are subject to mandatory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s far below the employment ratio stipulated by the policy. Here this article is to explain by focussing on implementation strategies why the goal of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have not been me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we began by discussing the nature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disabled's employment enhancement policy as a regulative social policy. Then, by reviewing theoretical models for the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labor market on which the strategies are based, we identified four distinctive strategy types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 such as punishment, reward, information, and facilitation. Ay indicated by this work, four strategies by government have not attained the original policy goal. We suggest that reconciling the key punishment strategy with another supplementary strategies can be useful in strengthen impacts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 KCI등재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and Policy Acquisition : Focused on the Political Process of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n Korea

        이곤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장애와 고용 Vol.21 No.1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ynamics of disability rights movement, concentrating on the political process of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n Korea.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Korea has established the collective identity and self-awaren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have suffered from social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realized the need to address such discrimination based on disability in light of human rights dimensions, not of paternalistic welfare; organized collective social movement to pass an independent act that aims to effectively assure prohibition and relief measures against discrimination; achieved political empower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creation of a pan-associative body, the Solidarity for Legislating Anti-Discrimination the Disabled Act; enabled people with disabilities to play an influential, participative role in disability movement by formulating policy alternatives and reflecting those in official political settings by themselves.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collective activities to assert pressures into official political mechanisms, succeeding to the legislation of the Act in spite of skepticism and oppositional forces from the government and the business community. However the outcome of policy Implementation is not clear. In light of the fact that a particular legislation cannot sufficiently treat discriminatory problems,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shall put much more attention on the constant monitoring on both execution of the Anti-Discrimination Act and feedback for systematic improvements.

      • KCI등재

        장애인고용정책집행의 평가 : 집행부실과 문제점 진단 Some problems of incomplete implementation

        이곤수 韓國行政硏究院 2002 韓國行政硏究 Vol.11 No.1

        이 연구는 체계적인 집행과정 분석모형의 구성과 적용을 통해 장애인고용정책의 미진한 집행결과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결정과 집행의 연계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집행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변수들(정책체계, 정책도구, 정책대상, 정책결정과정의 특징)을 도출하여 분석 틀을 제시한 뒤, 이를 장애인고용정책 사례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1) 조직간네트워크의 적절한 조정 결핍, 공단의 전문성 부족과 재정적 책임의 민간 의존 등 집행체계의 결함, 2) 정책도구선택의 편향성과 낮은 규제수준, 그리고 3) 피규제집단인 기업주의 장애인고용정책에 대한 적대적·소극적 반응 등이 부실한 정책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집행과정상의 문제점은 1)정책내용의 불명확성, 2)정책논리의 결핍, 3)정부 책임의 상징성, 4)잠재적 이익갈등의 봉합 등 장애인고용정책의 결정과 정상의 특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some problems of incomplete implementation, focusing on the major factors of influencing policy implementation for the disabled's employment. The article reviews the major theoretical studies of implementation discussing the interactions between policy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n the basis of the review, an analytical framework of implementation is developed, consisting of the following components; implementation system, policy instruments, critical actors,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outcom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poor implementation outcome of the policy for the disabled's employment is influenced by some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phase. It is suggested that problems of implementation process a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 of policy 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