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적 문학사의 한 가지 기원 -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문학사 기획

        이경진 한국독어독문학회 2022 獨逸文學 Vol.63 No.3

        F. Schlegel zählt zu den Begründern der modernen Literaturhistoriografie, die im frühen 19. Jahrhundert die in polyhistorischer Tradition stehende ,historia litteraria‘ durch die Form einer einheitlichen Entwicklungsgeschichte der Literatur erneuert hat. Obwohl Schlegels literaturgeschichtlichen Ansätze nach kurzer Zeit von der Gervinusschen Idee der Nationalliteraturgeschichte verdrängt wurden, waren sie wichtige Versuche, den ästhetischen Standpunkt, der bei Gervinus nicht in Betracht gezogen wurde, mit dem historischen zu versöhnen. In dieser Hinsicht ist Schlegels Hinwendung zur Literaturhistorik nicht als Abbruch seiner Literaturkritik, sondern als Vertiefung bzw. Erweiterung derselben zu verstehen. Seine ersten literaturgeschichtlichen Schriften, nämlich diejenigen zu der Geschichte der griechischen Literatur, versuchen, im Anschluss an die Quere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ein richtiges Maß für die Kritik der modernen Literatur durch eine historische Betrachtung der altgriechischen zu gewinnen. Die vorbildhafte Rolle der alten Literatur ist aber in seinen weiteren Projekten zu europäischer Literaturgeschichte nicht mehr zu finden. Schlegels Vorlesungen in Paris und Köln suchen indessen ihre Grundlage des historischen Überblicks über die ganze europäische Literatur in der Idee der Poesie als das ,Ganze‘. Diese Idee reicht aber nicht hin, um für die Geschichte der Poesie eine organische Kohärenz zu schaffen, weil sie definitorisch undefinierbar bleibt, daher wird sie in Schlegels nächsten großen Vorlesungen Geschichte der alten und neuen Literatur durch die Idee des Nationalgeistes ersetzt. Dadurch wird der ästhetische Gesichtspunkt zwar erheblich eingeschränkt, aber durch viele charakteristische Darstellungen ergänzt, die von seiner kritischen Hingabe an das Individuelle zeugen. In Schlegels verschiedenen literaturgeschichtlichen Projekten zeigt sich sein besonderes Interesse daran, die Spaltung zwischen dem historischen und dem ästhetischen Standpunkt, die in der Literaturhistoriografie bis heute problematisch bleibt, zu überwinden. F, 슐레겔은 19세기 초 편람 형식의 ‘히스토리아 리테라리아’를 문학의 단일한 발전사로 갱신한 근대적 문학사를 정초한 사람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의 기획은 비록 곧바로 헤게모니를 장악한 게르비누스의 민족문학사에 밀리긴 했으나, 민족문학사에서는 배제했던 미학적 관점을 역사적 관점과 통합하려는 중요한 시도였다. 이런 점에서 슐레겔의 문학사 작업은 비평 작업의 중단이 아닌 연장과 심화로 보아야 한다. 그의 첫 문학사 작업인 그리스 문학사는 신구논쟁의 틀 안에서 고대 그리스 문학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현대 문학 비평의 척도를 정립하려는 시도이다. 여기서 옹호되었던 그리스 문학의 전범성은 이후 파리와 쾰른에서의 유럽문학사 강의에서는 사라지고, 대신 ‘전체로서의 시’ 이념이 문학사 조망의 근거로 도입된다. 그러나 사실상 정의될 수 없는 이 시의 이념이 문학사 서술의 유기성을 담보해주지는 못하므로 이후 『신구문학사』 강의에서 문학사의 주체는 ‘민족’으로 대체된다. 여기서 미학적 관점은 이전보다 크게 위축되나, 개별자에 대한 비평적 관심을 보여주는 ‘성격론’적 묘사로 보완된다. 이러한 시도들은 오늘날까지도 문학사 서술에서 계속해서 문제적으로 남아있는 미학적 관점과 역사적 관점의 간극을 극복하려는 슐레겔의 각별한 관심사를 보여준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을 위한 회복프로그램

        이경진,송순인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0 No.-

        본 사례연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교환 수련 과정 중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 의해 진행된 프로그램으로 정신장애인 스스로가 질병 또는 환경과의 관계에서 단순히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자신의 병으로부터 회복하는데 주체적인 존재임을 인식하여 회복의 정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전체 회기(총 6회기)를 구성하였다. 각 회기별 내용에는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장애를 극복한 사람들의 사례를 통해 회복의 개념을 설명과 회복의 7가지 과정과 회복의 8가지 요소를 통해 프로그램 구성원들의 각자 경험에 대한 자기보고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회복에 대한 약속과 서명을 통해 회복을 위한 자신의 노력을 다짐하고, 프로그램 통해 변화된 점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도구로는 Young(1999)의 정신건강회복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를 객관적으로 평가 하고, 각 회기 마다 client의 참여도 및 평가에 따라 수련사회복지사가 주관적으로 평가 하고 보조진행자와 회의를 통해 회기별 평가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6회기 동안의 회복프로그램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변화를 이끌어 낼 수 는 없었지만 스스로 회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으며 변화할 동기와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프로그램이었다.

      • 환경기술코너-방류수 수징 원격감시체계(TMS) 시범운영

        이경진,조재원,현문식,권봉경,최준창,Lee, Gyeong-Jin,Jo, Jae-Won,Hyeon, Mun-Sik,Gwon, Bong-Gyeong,Choe, Jun-Chang 환경보전협회 2007 환경정보 Vol.29 No.367

        최근 수질환경보전법의 개정법률(안)에 의거하여 폐.하수종말처리장에 수온, pH,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및 부유물질(SS)의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질자동측정기의 부착이 의무화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현재 전국적으로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장비와 같이 일부 항목에 대한 자동측정장치는 설치.운영 중인 곳이 많이 있으나, 수질 TMS 설치 규정에 나와 있는 전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되어 운영하는 곳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온, pH,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S) 자동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통신(CDMA) 방식을 이용하여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을 통하여, 측정 장비들에 대한 자료의 정확성, 신뢰성을 파악하여 설치될 장비들에 대한 성능을 사전에 평가하고, 수질 TMS 시스템에 대한 현장 적응 능력 및 안정성을 파악하여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시점에 좀 더 정확하고 실용적인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한다.

      • UV-curable sealant composition for application to slimming of LCD glass substrate

        이경진,안효진,이민호,이세원,성시준,강천수,한윤수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Slimness and lightness are key competitive factors of consumer IT devices that use flat panel displays such as TFT-LCD (thin film transistor) an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 order to fabricate thin display device, the glass slimming process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 We prepared UV-curable sealant consisting of an oligomer, a monomer, a cross-linker, a photo-initiator and an additive, and then it was applied to the glass slimming process. We will present its suitability for the glass slimming process.

      • KCI등재후보

        가야 9곡 녹색길 조성계획

        이경진,조국희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6 No.1

        This plan is for the greenway of Gaya 9 Gok, the total 16km section, from the Duksan Hot Spring District to the area of Okgye/Sangga reservoir(Okgye-ri, Sangga-ri, Sadong-ri) in Duksan provincial park, Duksan-myeon, Yesan-gun, Chungcheongnam-do There is a lot of history, culture and sightseeing, to expenence in one place such as the Gaya 9 Gok, the grave of Namyeongun, Boduk Temple, Heonjongtaesil, Araesanso, a Hanja school, Duksan Hyanggyo, Okgye Reservoir, Sangga Reservoir, and the Duksan Hot Spring. Although the area is superior, there is no greenway in Yesan. So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location shoold be focused on. Therefore, this plan is to excavate and apply the area's own historical, cultural and natural resources based on the opportunity factors, select optimal course so as to be related organically and reveal resources which are gradually forgotten out of the world Also, by suggesting new tourist attractions in the Duksan Hot Spring District, the regional economy can be revitalized and the relation with Duksan provincial park can be grasped. Locals and visitors can use the greenway as a fresh environment for walking and a green space can be created to encourage sightseeing So, it will contribute to the function of Yesan's representative greenway. 본 계획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덕산온천지구~옥계/상가저수지 일원(옥계리, 상가리, 사동리), 덕산온천지구/덕산도립공원 내에 총 16km 구간의 가야9곡 녹색길 계획안이다. 계획대상지는 가야9곡, 남연군묘, 보덕사, 헌종태실, 아랫산소,한자학당, 덕산향교, 옥계저수지, 상가리저수지, 덕산온천 등의 많은 자연․역사․문화․관광 자원들이 더불어 한 곳에 내재되어있는 곳으로 우수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예산에 녹색길이 없어 대상지가 보유한 입지의 중요성 및 잠재력은 더욱더 부각되고 있다.따라서 본 계획은 이러한 기회요인을 토대로 지역의 고유한 역사․문화 및 자연자원들을 발굴 및 활용하여 유기적으로연계할 수 있도록 최적의 노선을 선정하고 점점 잊혀져가는 자원들을 세상 밖으로 재조명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또한 덕산온천 관광지구의 새로운 관광 자원을 덕산도립공원과 연계시킴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고 지역주민및 탐방객들에게 쾌적한 녹색 보행공간을 제공하며 지역관광 거점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

        이경진,조재원,권봉경,최준창,Lee, Gyeong-Jin,Jo, Jae-Won,Gwon, Bong-Gyeong,Choe, Jun-Chang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2006 환경기술인 Vol.23 No.12

        최근 수질환경보전법의 개정법률(안)에 의거하여 폐 · 하수종말처리장에 수온, pH,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및 부유물질(SS)의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질 자동측정기의 부착이 의무화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현재 전국적으로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장비와 같이 일부 항목에 대한 자동측정장치는 설치 · 운영 중인 곳이 많이 있으나, 수질 TMS 설치 규정에 나와 있는 전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되어 운영하는 곳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온, ph,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S) 자동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통신(CDMA)방식을 이용하여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을 통하여, 측정 장비들에 대한 자료의 정확성, 신뢰성을 파악하여 설치된 장비들에 대한 성능을 사전에 평가하고, 수질 TMS 시스템에 대한 현장 적응 능력 및 안정성을 파악하여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시점에 좀 더 정확하고 실용적인 시스템의 적용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