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산책경험을 통한 환경교사 되어감의 의미 탐색

        진다희(Jin, Da Hui),은연아(Eun, Yeon A),오채선(Oh, Chai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산책경험을 통한 환경교사 되어감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C유아환경교육관 교사 2명이다.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10주간 총 21회에 걸쳐 산책을 실시하였고, 저널쓰기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교사가 ‘숲’이라는 공간에서의 산책을 통해 다양한 감각적인 경험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으로 안정적이며 편안한 심리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유아교사의 환경교사 되어감의 의미를 탐색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유아교사의 산책경험을 통한 환경교사 되어감은 교사가 스스로 묻고 답하는 과정, 타인과 소통하는 과정, 교사가 직접 겪어보는 과정을 통해 ‘환경’과 교감하게 되는 과정으로써 의미가 있다. 또한, 산책경험을 통해, 유아와 교사 각각의 입장을 이해하고 고민해 보는 과정으로써 의미가 있었다. 이와 더불어 교사 개인이 ‘환경’을 접하면서 겪는 개인적인 어려움과 힘듦에 대해 이해하며, 극복해 나가는 과정으로써 의미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아교사가 환경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환경을 대하는 교사의 태도와 가치관 정립,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에 대한 방향성과 의미를 제고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환경교육에 있어서의 유아교사의 의미를 재정립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becoming an environmental teacher through the walking experience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he study participants are two teachers at the C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A total of 21 walks were conducted for 10 weeks from May to July 2020, and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journal writing and interviews. As a result of this study, various sensory experiences were achieved through a walk in a space called ‘forest . By maintaining a stable and comfortable state of mind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explore the meaning of becoming an environmental teacher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ecoming an environmental teacher through this stroll experience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is meaningful as a process in which the teacher communicates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 of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on their own,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experiencing them in person. Also, through the stroll experience, it was meaningful as a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about the positions of early childhood and teacher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as a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the personal difficulties and struggles of individual teachers in encounter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this process, it was meaningfu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have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 attitude and values of teachers dealing with the environment and the direction and mean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and to redefine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nvironmental education.

      •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

        은연아(Eun, Yeon-A),서현정(Seo, Hyun-Jung),최연철(Choi, Youn-Chul)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D시 H유치원의 만 5세 28명으로 구성된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연구자 교육, 사전검사,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순으로 총 12주 동안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의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추론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첫째,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도덕적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가 점차적으로 사회는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며, 창의적이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인재로 나아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reativitypersonality program to children"s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by a class consisting of 28 students ages 5 of the H kindergarten in D.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weeks, in order to train researchers, pre-test, to appl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reativity-personality program and to conduct post-test. The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for a response sample t-validation. Moral resoning and moral emotion after implementation were higher than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reativity-personality program and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reativity-personality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infants,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m to move on to ethical behavior. Second, it helps children gradually expand their interest from individuals to peers, families, neighbors, societies, nations and nations and become citizens as required by future societies throug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reativity-personality program.

      • KCI등재

        코로나 19이후 유아환경교육의 현실과 방향성 모색:충북권·충남권 유아환경교육관 사례를 중심으로

        은연아(Yeon-A Eun),진다희(Da-Hui Jin),김경옥(Gyeong-Ok Kim),오은진(Eun-Jin Oh),차수철(Soo-Cheol Cha),오채선(Chai-Su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충북권·충남권 유아환경교육관 사례를 중심으로 코로나 19 이후 유아환경교육의 현실을 바라보고, 이를 통해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 유아환경교육관을 운영하는 실무자 6인으로, 총 15회의 면담을 통해 이루어 졌다. 결과 이를 통해 얻은 코로나 19 이후 유아환경교육관의 현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의 비대면 방식이 등장하였다. 둘째, 실무자에게 비대면 수업 준비와 위생 관리까지 더해진다. 셋째, 유아는 환경이 낯설어지고, 성인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결론 이를 근거로 유아환경교육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면과 비대면의 환경교육 형태는 유지하되, 대면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잊지 말아야 한다. 둘째, 환경교육 실무자의 업무 및 역할의 재정비가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대상의 환경교육 관련 연수는 강화해야 지속적인 환경 교육이 연계 가능하다. Objectives Focusing on the case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centers in the Chungbuk and Chungnam areas, we will look at the reality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after Corona 19, and seek directions through thi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15 interviews with 6 persons in charge of operating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Education Center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0. Results The reality of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after Corona 19 obtained through this is as follows. First, a non-face-to-face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emerged. Second, preparation of classes and hygiene management are added to the person in charge. Third, the environment becomes unfamiliar to early childhood, and adults must be active. Conclusions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while maintaining the form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nvironmental education, one must not forget the importance of face-to-face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rearrange the tasks and roles of the person in char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 continuous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linked only when training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for various subjects is strengthened.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

        은연아(Eun Yeon-A),서현정(Seo Hyunjung),최연철(Choi Younchul)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D시 H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8명이다. 연구는 사전검사, 지속가능발전지향 창의인성 프로그램 적용, 사후검사 순으로 총 8주 동안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다.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8주 16회 실시한 결과, 도덕적 감정과 도덕적 추론 모두 실시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도덕적 추론과 도덕적 감정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도덕적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가 점차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며, 창의적이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인재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children s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8 students ages 5 of the H kindergarten in D city.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week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moral reasoning and moral emotion,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m to move on to moral behavior. Seco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can help young children be interested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become creativity-character person.

      • KCI등재

        ‘환경과 황새복원’에 관한 환경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문성채(Moon Sungchae),은연아(Eun Yeon A),남영숙(Nam Young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이 연구의 목적은 황새 콘텐츠와 환경놀이를 활용한 환경 교원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ADDIE 모형을 수정하여 실행과 평가를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 2회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설문조사, 면담,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통계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 교원연수 ‘환경과 황새복원’은 3차시로 구성된 단기 연수용 프로그램으로 연수 목적은 교사의 환경 교육 역량 함양이며, 목표는 멸종위기종 황새복원과 환경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고 환경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둘째, 1차시 강의는 황새복원과 생태계 복원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2차시 체험 및 강의는 황새사육장을 방문하여 황새를 직접 관찰하고 사육사와 대화를 통해 황새복원을 이해하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넷째, 3차시 환경놀이 체험 및 강의는 환경기념일관 및 멸종위기동물관 체험, 황새 박제 전시관 관람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후속 연구로 중등 교원에 적용한 실행연구와 심화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teacher training program using stork contents and environmental play.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program was completed by revising the ADDIE model and conducting execution and evaluation twice from July to August 2020. During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surveys,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were conducted, and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teacher training Environment and Stork Restoration is a short-term training program composed of three sessions. The purpose of the training is to increas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apacity of teachers. Second, the first lecture consisted of contents on stork restoration and ecosystem restoration. Third, the contents of experience and lecture in the second class were organized to visit the stork breeding ground to observe the stork directly and to understand the stork restoration through dialogue with the breeder. Fourth, the environment play experience and lecture in the third class consisted of environmental memorial and endangered species experience, and a stork stuffed exhibition hall. As a follow-up study of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implement this program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o develop an advanced program.

      • KCI등재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정에서의 계절 및 유입수 성상 변화에 따른 미생물 군집 특성 변화

        손형식(Hyeng Sik Son),손희종(Hee Jong Son),김미아(Mi A Kim),은연(Eun Yeon Ryu),이건(Geon Lee),이상준(Sang Joon Lee)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8

        실험기간 동안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의 BOD와 COD의 제거율은 각각 83.1~98.6%, 67.2~85.2%였으며, 단위 공정별로 미생물 군집 변화에서는 가을과 겨울의 경우 호기조, 산소조 및 무산소조에서 전체적으로 비슷한 군집양상을 나타내었다. RRP 그룹의 경우는 무산소조에서 3배 정도 증가하여 DGGE 밴드결과에서 새로운 밴드들이 나타난 것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었지만, 가을엔 α-Proteobacteria가 우점하였고, 겨울엔 CF 그룹이 우점을 보였다. 봄에 분석한 DGGE와 FISH의 결과에서는 유입수의 성상변화에 따른 미생물의 군집 패턴이 가을과 겨울의 경우에 비해 완전히 다른 패턴을 보였으며, FISH 결과에서 others 그룹의 증가와 DGGE 밴드결과에서 새로운 밴드들이 나타난 것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Eubacteria는 1.7~7.6×10(9) cells/mL 정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미생물 군집을 평가하는데 FISH와 DGGE는 매우 효과적이었고, 계절별 및 공정별 군집의 변화에 대해 유용한 평가가 가능하였다.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biological reactor i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as investigat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Samples were collected at different three points i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hrough treatment processes,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of was removal efficiency was 83.1~98.6%, 67.2~85.2% respectively. Microbial community of aerobic tank and oxic tank were similar but anoxic tank was different (RRP group was increased about tripple) by DGGE and FISH in sludge (2007 October and 2008 January). Samples in 2007 October and 2008 January were dominant α-Proteobacteria and CF group respectively. Sludge in 2008 April were different comparing former results dominant others as 65~80%. Others group was dominant. Eubacteria by FISH with the probe EUB338 was about 1.7~7.6×10(9) cells/mL. It could be successfully observed bacterial community in biological wastewater syst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