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반복측정(Bottom-up, 상향식 평가) 및 내부정도관리(Top-down, 하향식 평가)를 통한 AFP 측정 불확도 추정

        윤태석,신선영,박희원,노경운,김진의,Youn, Tae Seok,Shin, Sun Young,Park, Hee Won,Noh, Gyeong Woon,Kim, Jin Eui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4 핵의학 기술 Vol.18 No.2

        Purpose Measurement uncertainty is a non-negative parameter characterizing the dispersion of the quantity values being attributed to a measure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used. measurements uncertainty are required when expressed as a value of a number of test results, if the results reported were based on the value of the number. (ISO15189). Also, it is defined a procedure for estimating the measurement uncertainty, testing laboratory, and shall apply (ISO/IEC 17052). Materials and Methods We estimated measurement uncertainty of AFP tumor marker tests are carried out in a radioimmunoassay. It was estimated uncertainty of each measurement through repeated measurements method (bottom-up approach) and internal quaily control (top-down approach). Results To estimate the measurement uncertainty using the repeated measurements (bottom-up approach), We was using the cpm of the measured values and concentration value.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estimating the measurement uncertainty by the method of top-down, was calculated by using the internal quality control data. The value of the measurement uncertainty was estimated by repeated measurements is $27.29ng/mL{\pm}1.07ng/mL$ and the value through the internal quality control was $29.7ng/mL{\pm}(4.57ng/mL{\sim}7.60ng/mL)$. Conclusion Values in variables (sample dispensing and gamma counter resolution)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an estimate of the measurement uncertainty through repeated measurement is not reflected. Thus, the estimated value came out low. On the other hand, Internal quality control estimated values have been presumed to reflect higher value due to systematic errors, coefficient of variation.

      • KCI등재

        스마트시티 내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 구축과 효과성 분석 및 ISMS-P 기술적 통제항목 개선 방향성 연구

        윤태석,박용석,Yoon, TaeSeok,Park, Yongsuk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9

        국내 스마트시티와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의 현재 상황과 발전동향을 알아보고,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의 기존 효과분석과 신호제어시스템의 보안을 위한 국내외 선행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을 구축하고 긴급차량에 실제 적용 및 시험운행을 통해 시간단축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실시간 신호시스템 제어의 보안관리 및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기존 ISMS-P 인증제도와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보안 가이드의 보안요구사항과 보안위협 항목에 따른 보안대책의 연관성에 따라 비교하여 맵핑함으로서, 인명구조나 화재 등 긴급상황 발생 시 시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골든타임 확보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ISMS-P 인증제도의 기술적 통제항목 개선을 제안한다. We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 trend of domestic smart city and emergency vehicle priority signal control system analyzing the existing effectiveness of 1) emergency vehicle priority signal control system and 2) control emergency vehicle priority signal,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prior research for signal control system security. The effectiveness of time reduction was analyzed through actual application and test operation to emergency vehicles after establishing the system. In addition, for security management and stable service of real-time signal system control we propose improvement for the technical control items of the ISMS-P certification system to secure golden time to protect citizens' precious lives and property in case of emergency by classifying and mapping the existing ISMS-P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s cyber security guide according to the items of security threats.

      • KCI등재

        법관평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윤태석 대한변호사협회 201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27

        With the advent of law school, The Law of Court Organization in relation to judicial personnel administration was revised. This revision raised the retirement age of judge up to 65,along with the selection of unitary system of lawyer. In addition, Supreme court partially carried out high court judicial personnel administration based on the assumption of duality of high court and district court. These changes would increase the age of beginning judges and would allow judges to hold judgeship until retirement age if they has qualification for retention. And also, in the past, the judge’s efficiency rating was to be focused on the selection of district court presiding judges to be promoted while the rating later on would be focused on the distinction of judges to be disqualified. Additionally Korean Bar Association and district bar associations in attempt to make judicial performance evaluation led by lawyers keep claiming that result should be reflected on judicial personnel administration. In addition, past, the provision of The Law of Court Organization asked judicial personnel administration to reflect optionally the result of judge’s efficiency rating. However, the provision of The Law of Court Organization is reformed to evaluate attitude besides work performance and to let judicial personnel administration reflect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if necessary. At this point, I compare the cases of US, UK, Germany and Japan, to examine the desirable direction of judge’s efficiency rating and feasibility of judicial performance evaluation led by lawyers keep claiming that result should be reflected on judicial personnel administration. 법학전문대학원의 출범을 계기로, 법관인사와 관련된 법원조직법이 개정되어 영미식의 법조일원화를 채택하고, 판사의 정년을 65세로 상향하였으며, 대법원에서는 이미 고등법원과 지방법원의 2원화를 전제로 한 고등법원 재판부 인사를 일부 단행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초임 법관의 연령이 높아짐과 더불어 일단 법관으로 임명되면 별다른 사정이 없는 한, 정년까지 봉직하는 것을 의미하고, 종전의근무평정이 지방법원 부장판사에서 고등법원 부장판사로의 승진에 중점이 있었다면, 향후의 근무평정은 연임부적격자의 변별로 그 중점이 이동함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대한변호사협회와 각 지방변호사회에서는 변호사에 의한 법관평가를 시도하면서, 그 결과를 법관인사에 반영해 줄 것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또한 종전에는 근무평정의 결과를 법관인사에 임의적으로 반영하도록 한 법원조직법의 규정이 근무성적 외에 자질에 대해서도 평정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인사관리에 필요적으로 반영하도록개정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법관에 대한 근무평정의 바람직한 방향성과 변호사단체에서 요구하는 법관평가에 대한 타당성을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의 사례를 비교하여 검토한 후,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 KCI우수등재

        배임죄가 성립하는 부동산이중매매에 있어서 이익과 손해에 관한 검토 - 대법원 2018. 5. 17. 선고 2017도4027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견해 -

        윤태석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3

        With regar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breach of trust by double-dealing of real estate, our Supreme Court maintained the previous view by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7Do4027, decided May 17, 2018. As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dissenting opinion in the said Supreme Court’s decision confronted on whether the seller’s obligation to cooperate in the registration after receiving intermediate payment can be deemed ‘another's business’, and as there have been many prior researches on the issue, there is a possibility for the Supreme Court to change it’s stance by the dissenting opinion in the future. However, regarding the acquisition of pecuniary advantage and the resultant loss which are also important constituent elements of a criminal breach of duty, the said Supreme Court did not provide any specific process to calculate the amounts other than mentioning the elements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endangerment offences. Also, there are no existing studies directly referring to the calculation. According to previous Supreme Court Decisions, when double dealing of real estate constitutes a criminal breach of duty, the acquisition of pecuniary advantage and the resultant los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market value of the real estate. Nevertheless, starting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revious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s is appropriate for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nd considering in various angles such as the concept of profit and damage, the relationship with the protection law interest, the derivation from the existing Supreme Court decisions, and the comparative legal review, in double-dealing of real estate establishing the breach of trust, the acquisition of pecuniary advantage and the resultant loss should be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paid by the victim, and not the market value of the real estate. 부동산이중매매의 배임죄 성립에 관하여 우리 대법원은 2018. 5. 17.ᅠ선고ᅠ2017도4027ᅠ전원합의체 판결로 종전의 견해를 유지하였다. 그 판결에서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은 중도금까지 수령한 후의 매도인의 등기협력의무가 ‘타인의 사무’에 해당한다고 하는 부분에 관하여 첨예하게 대립하였고 지금까지 이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도 이루어졌기에 향후 반대의견에 의한 판례변경의 여지도 엿보인다. 그런데 배임죄 성립의 또 하나의 중요한 구성요건 요소인 재산상 이익취득 및 손해발생에 관하여는 위태범의 성격과 관련한 경우 외에는 위 대법원 판결에서 구체적으로 그 산정과정을 언급한 바는 없고 그 산정에 관하여 직접 언급한 기존 연구도 보이지 않는다. 기존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부동산이중매매가 배임죄에 해당하는 경우 재산상 이익 및 손해는 대상 부동산의 시가 상당의 가액으로 산정한다. 그렇지만 기존 대법원 판례의 해석이 과연 형법체계에 합당한가 하는 의문에서 시작하여 이익 및 손해의 개념, 보호법익과의 관계, 기존 대법원 판례에서의 도출, 비교법적인 검토 등 다각도로 고찰하면, 부동산이중매매의 배임죄 성립에 있어서 재산상 이익 및 손해는 부동산 자체의 가액이 아니라 피해자가 지출한 금전을 기준으로 계산되어야 한다.

      • KCI등재

        박물관 5대 법률 분석을 통한 정책적 제언

        윤태석 한국박물관학회 2018 博物館學報 Vol.- No.35

        There is virtually no law in Korea that covers museums. Although the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specifies the definition, function, and role of museum and museum materials, as it clarifies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of the law itself, Science Museums, Arboretums and Gardens, Zoos and Aquariums, Literature Museum which are recognized as important areas of museum by ICOM,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Japan, a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museums. These facilities, which existed under the respective laws, have the same position as the museums by their respective legal names, despite the similarity of definitions, functions, roles, busines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bligation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laws. Therefore, museums in the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are no more than facilities, and due to different laws and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Korea does not have basic statistics of museums as well as big data. This is why the integrated museum policy is inevitable,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aw and a policy organization that encompasses whole museum. It is time for the advancement of the museum sector in accordance with the status of OECD and G20 countries that take the lead in the global as an economic index as well as international standards. Establishment of a ‘museum law’ and ‘policy organization’ such as ‘museum committee’ can be a rudimentary process. The above contents, developments and conclusions are the core interest of this paper. 우리나라에는 박물관을 통괄하는 법률이 사실상 없다.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서 박물관과 박물관 자료 등에 대한 정의와 기능, 역할 등을 명시하고는 있으나, 스스로 이 법률 적용의 범위를 명확히 함에 따라 ICOM은 물론 여러 국가에서도 중요 박물관으로 인식하고 있는 과학관, 수목원과 정원, 동물원과 수족관, 문학관 등은 박물관의 범위에서 제외되었다. 각각의 법률에 의해 존재하게 된 이들 시설은 정의와 기능, 역할, 사업, 중앙 및 지방정부의 의무, 타 법률과의 관계 등에서 매우 유사함을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법률상으로는 각각의 명칭으로 박물관과 동등한 위치를 점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서의 박물관은 단순한 시설 그 이상의 의미는 없으며 각기 존재하는 법률과 서로 다른 소관 중앙행정기관으로 인해 우리나라에는 박물관의 기초적인 통계마저 없는 실정이 되었다. 박물관에 대한 최소한의 인식과 통합적인 정책이 결여될 수밖에 없음과 박물관 전체를 통괄하는 법률 제정, 정책기구의 신설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를 위해 박물관과 직접 관계가 있는 법률의 구성과 제․개정 현황을 살펴보고, 주요 몇 가지 항목에서 법률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박물관 개념의 포괄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전체 박물관을 통괄하는 법제정과 국가차원의 정책기구 신설을 제안하였다.

      • 지방자치제에서 박물관정책의 제 문제

        윤태석 한국콩연구회 2013 韓國콩硏究會誌 Vol.29 No.1

        공립박물관은 무리한 추진에 따른 콘텐츠의 부족, 전문 인력의 부재라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이는 기초 자치단체 공립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인류문화유산 보존과 활용, 지역을 중심으로 한 공공성 담보라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건립 전 철저한 기초타당성조사, 전문기구의 개입과 전문가 운영 체제구축 등을 통해 고유한 활동을 전제할 수 있는 최선의 조치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를 개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