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람일기』에 나타난 古文獻 筆寫와 필사자의 존재양상 연구

        윤지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4 No.-

        이 글에서는 『가람일기』에 나타난 필사 기록을 바탕으로 20세기 전반기의 필사와 필사자들의 존재양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20세기 초 고전 간행이라는 시대적 조류 속에서 고서 필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정황과, 6·25이후 이러한 흐름이 주춤하다가 점차 쇠퇴하는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가람이 필사에 관여한 총 36년의 세월 중 10분의 1도 채 되지 않는 3년 동안에 전체 필사 서적의 절반과, 중요 문헌들의 상당수가 필사되었음은 눈여겨 볼만한 지점이다. 이처럼 필사의 성행과 쇠퇴가 진행되는 가운데, 필사자들의 존재양상 또한 미묘한 변화가 감지된다. 이 당시의 필사자들의 숫자를 정확히 파악하여 헤아릴 수 없으므로 일단은 추정에 머무를 수밖에 없지만, 단순히 필사를 하는 행위자들 수의 가감과 무관하게, 고문헌을 의식하고 감별할 수 있는 적합한 전문 필사자들의 존재는 확연히 줄었던 것으로 예측된다. 서지학에 깊은 조예가 있었던 가람은 필사자 선별에도 까다로운 기준이 있었다. 그가 왕성히 필사본을 만들었던 시기는 그 어느 때 보다도 여러 필사자들의 도움이 있었던 때이다. 1940년 이후 이렇다 할 필사자가 거의 보이지 않는 것은 단순히 가람이 필사본 수집에 열정이 줄어서라기보다는, 그만큼 필사를 부탁하는 일이 녹록치 않았으며, 노년의 가람이 직접 베끼는 데에도 한계를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이처럼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필사자들이 줄어들자, 자연스럽게 필사본을 만드는 일도 드물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필사가 성행하였던 시기에 필사자들은, 뚜렷하지는 않으나 몇몇 유형을 가지고 있었다. 공통된 것은 가람이 필사를 맡기는 인물은 모두 예사로운 寫字生 정도가 아니라는 것이다. 필사 부탁이 몇 인물로 집중되는 것은 고서에 대한 가람의 생각과 신념을 잘 보여주는 증거이다. 필사본으로 남겨진 각종 문헌에는 필사자들의 역량 뿐 아니라, 이를 원전에 가깝게 만들고자 한 가람의 깊은 고민의 흔적이 담겨 있다. This article tries to figure out how transcripts of the classic literatures created and how transcribers worked i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by analyzing Karam Ilgi where Yi byeong-ki depicted his transcription careers.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era of classical publishing, transcription works were vigorously created in Korea. After the Korean War, however, this tendency of transcription boom slowed down and eventually declined significantly. In the meantime, it is notable that half of the book transcription works and most of the essential record transcriptions in the era had been made only in three years of time period, which accounts for less than one tenth of Yi byeong-ki’s whole transcription career of 36 years. During the boom and declination of transcribing classic works, subtle changes can be found among transcribers. This observation is based on speculation and hard to confirm since there is no evidence on how many transcribers were active during the period. Regardless of the exact changes in numbers of active transcribers, however, it can be easily presumed that the number of professional transcribers who can properly recognize and discern classics diminished considerably as time went by. Karam, who had an intimate knowledge of bibliography, had set up the highest standards for recruiting transcribers. When many transcribers assisted him, he was able to publish lots of transcripts of the classics. After 1940, however, only a few number of transcripts are to be found. Rather than because of his declined passion for collecting transcribed versions of the classics, it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there were not many transcribers to ask for help and Garam felt his limitation in transcribing by himself because he was too old then.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number of transcripts started to diminish as there were fewer people to assist Karam. At times when transcribing was prevalent, transcribers could be distinguished by several types. At the same time, they had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were not just mediocre 寫字生. The fact that Karam only asked only small numbers of transcribers for assistance supports this argument. Karam’s various transcription works contain traces of a deep agony of him who tried to make the transcripts closer to original versions.

      • KCI등재후보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의 주제 중심 통합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윤지아,이창훈,김기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1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8 No.1

        This study aims at giving examples that can be applied in the real education field, and it develops theme-based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 for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t analyzed the models of many scholars abou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 and devised developmental models and procedures of the theme-based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 of engineering specialized high school from those. As a result, it used and reorganized ADDIE model which is the systematic education course development model and the theme-based integrative education development model of Frazee and Rudnitski(1995) as the basic structure, and came to devise theme-based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 of engineering specialized high school while referring to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Lee Chang-hoon. This study that is theme-based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ing-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is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haracters. First, This theme-based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 that is developed for engineering-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an be applied and the initial example that approach the Theme-Based. Second, This Education Program included the Activity project that is “Making Maglev” for the third grade at the engineering-specialized high school and One of the Program’s aim is to bring up their attitude that engaged to in the class having the Interest. Third, Theme-based integrative education program for engineering-specialized high school is composed the workbook for the students and the teaching guidance plan for the teachers. Workbook for the students is composed four Units;“Brief about the Maglev”,“Basic principles about the Maglev”,“Intensive principles about the Maglev”,“Activity project about the Maglev”. And each unit is made by Learning Purpose, Introducing, Learning Contents(Deepen Learning, Reading Magazines), Assesment etc. Teaching guidance plan for the teachers include that Summary, Purpose, Time Planing & Streaming Map for the class, contents associated Maglev, prerequisite learning, constructure of the education program, flow chart, learning activity, assesment(self-appraiser and peer review).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의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사례로서, 주제 중심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제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인 ADDIE 모형과 Frazee와 Rudnitski(1995) 및 이창훈(2007)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분석한 후, 재구성하여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의 주제 중심 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위에서 요약한 내용을 토대로 개발된 연구 결과에 해당되는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주제 중심 통합형 교육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연구자가 개발한 주제 중심 통합형 교육 프로그램은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기·전자·통신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주제 중심으로 접근한 최초의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 교육 프로그램은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의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3학년 학생들을 위해 자기부상열차를 만들어 보는 활동과제를 포함한 것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셋째, 주제 중심 통합형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용 학습자료와 교사용 자료 및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생용 학습자료는 자기부상열차의 개요, 자기부상열차의 기본 원리, 자기부상열차의 심화 원리, 자기부상열차의 활동 과제의 네 단원으로, 각 단원은 학습목표, 도입 및 소개, 학습내용(심화학습, 읽을거리), 배운 내용 확인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교사용 자료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요, 목표, 시간 계획 & 수업흐름도, 자기부상열차를 주제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관련 내용, 선행학습,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구조, 흐름도, 학습 활동, 평가(자기평가지, 동료평가지) 등의 내용을 포함한다.

      • KCI등재후보

        공업교육계열 전기·전자·통신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윤지아,이보리,김태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5 No.2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research trend in Electricity,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Subject since 1973, which is the beginning year in research in Electricity,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Subjects, up to the present year of 2010. We also try to provide explicit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 total of 98 studies, including master's and doctoral theses, were collected through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ISS(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DBPIA(special database for domestic research information). Three researchers reviewed them using analytic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f the researches analyzed, 2 studies(2.04%) were in 1970's. The researches in Electricity,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Subjects were not actively performed until 1996. Since then, 92.86% of total studies have been done so far and the number of research activities in these subjects are shown to be continuously growing. 50 studies were related with Curriculum and instruction area. Design/Development of Instruction Material area was the most popular topic,and Education Assessment area the least. Research design was mainly descriptive,and studies in academic journals were more than the dissertations. Research mostly focused on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as subjects. University was the main research agency where studies were carried out. 이 연구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한국학술정보(KISS), 누리미디어(DBPIA)에서 검색된 98편의 공업계열 전기·전자·통신교육과 관련된 논문을 가지고국내 전기·전자·통신교육 관련 연구가 시작된 1973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의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분석, 종합하고 공업 교육의 전기·전자·통신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전기·전자·통신교육과 관련된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3인의 연구자가 분석연구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전기·전자·통신교육 관련 연구는 1980년대 이전에도 전체 98편가운데 2편(2.04%)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로부터 1995년도 이전까지는 전기·전자·통신교육 관련 연구가 5편(5.10%)으로 미진했으나 1996년부터 현재까지논문의 수가 91편으로 전체 연구의 92.86%에 해당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둘째, 교과교육 영역 연구는 수업자료의 설계 및 개발을 주제로 한 영역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가장 저조한 연구 경향을 보이고 있는 영역은 교육평가 영역이었다. 교과내용 영역 연구는 전자공학 분야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그 다음으로 전기공학, 통신공학의 순이었다. 최종 분석 대상인 98편의 연구들 중 50편의 연구는 교과교육 영역만을 주제로 한 연구였다. 연구방법별 연구는 조사연구, 개발연구, 문헌고찰/내용분석, 실험연구, 사례연구, 기타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발표지 유형별 연구는 학위논문, 학술지논문의 순이었으며, 연구대상별 연구는 학생이 연구대상으로 가장 많이 선정되었고, 교사, 문헌, 산업체 근로자, 전문가 순으로 학생과 문헌, 교사에 너무 편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연구기관별 연구는 대학교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고등학교, 연구소의 순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자 근무지역별 연구는 근무지가 충청권인 연구자의 논문이 가장많았고, 서울·경기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제주권의 순이었다.

      • KCI등재

        조선 후기 江湖歌辭의 지역적 분포와 전개 양상 - 전북 임실의 작품 「新基別曲」·「續新基別曲」을 중심으로 -

        윤지아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2 No.-

        In this study, 「Shinki-byeolkok」 and 「Sok Shinki-byeolkok」 which are Kanghokasa in Imsil, Jeollabuk-do was examined. Through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se work in the history of Kanghokasa was reviewed. Since 「Shinki-byeolkok」 and 「Sok Shinki-byeolkok」 was released to the academic community, no full-sca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until now. In terms of content and expression, these two works inherit much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anghokasa while possess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Kanghokasa, Shinki-byeolkok and Sok Shinki-byeolkok were examin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as a regional literature was reviewed.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the literary historical positions of the two work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wo. First, the two works reflect that Kanghokasa was a means of expressing the identity of local writers. These works show the image of a more microscopically differentiated local community and the lives of local writers. In particular, it is connected to the literary tradition of the Honam region, where lyrics were created to enhance the image of the family. Second, the two works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Imsil area. The work was described using traditional expression methods such as feng shui.This is different from other works of the same period that express inner conflicts and emotions.In conclusion, these works are very similar to the trend of the work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Imsil community was relatively stable. Politically responding to the central power, the Imsil area seems to have had a solid position in its own way. 본 연구에서는 전북 임실 지역의 강호가사 「新基別曲」과 「續新基別曲」을 살펴보고, 강호가사의 전개 양상 속에서 해당 작품이 갖는 시가사적 의의를 검토하였다. 「신기별곡」, 「속신기별곡」 두 작품은 학계에 공개된 이후 현재까지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작품으로, 내용 및 표현의 측면에서 전통적인 강호가사의 특징을 상당 부분 계승하는 한편 조선 후기 강호가사가 보여주는 변별점 또한 포함하고 있어, 강호가사의 사적 흐름의 일부로 다루어 봄직한 작품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조선 후기 강호가사의 전개 양상에 비추어, 전북 임실 지역의 가사문학으로서 「신기별곡」과 「속신기별곡」을 살펴보고, 전북 지역 문학으로서 해당 작품의 산생 배경과 문학사적 위치 등을 검토하였다. 논의 결과, 「신기별곡」, 「속신기별곡」의 시가사적 위치는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두 작품은 강호가사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 지역 문인들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문학적 수단으로 자리하였던 문학사적 흐름 위에 놓여있다. 미분화된 유교 공동체의 모습과 거향의 자족감을 누렸던 향촌 사족의 삶의 단면을 포착하고 있는 본 작품은 조선 후기 강호가사의 일반적인 경향과 맞닿아 있으며, 특히 가문 구성원들을 결집시키고, 가문의 이미지를 현창하기 위해 가사를 창작하였던 호남지역의 특성을 상당부분 공유하고 있다. 둘째, 이처럼 동 시기 강호가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공유하면서도, 본 작품은 임실 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색 또한 반영하여 독자성을 갖추고 있다. 여타 지역의 가사작품보다는 풍수지리와 같은 전통적 강호가사의 어법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부분이나, 내면의 갈등, 정서 등을 표출하는 조선 중·후기 작품들의 보편적인 서술 방식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러한 사실을 간취할 수 있다. 즉, 본 작품은 조선 전기의 작품들과 상당히 친연성이 높은 편인데, 이는 임실 지역 사회 향권의 체계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었고, 정치적으로도 비록 중앙과 멀긴 하였어도, 서인계 노론을 뒷받침하는 지역 세력으로서 그 입지가 공고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간호학 실습교과목 학습성과에 따른 효과적인 실습방법

        윤지아,강경림,김명희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4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performed to present basic data for efficient practical training by investigating clinic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experience by learning outcomes of graduates and expected graduates who completed clinical practice,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Simulation practice (HPS practice) and Standard Patient Simulation practice (SP practice). Subjects are 110 people in total including 59 expected graduates and 51 graduates, whose clinical nursing career have less than one year. Research tools are consist of 2 forms of questions which are selected questions and open questions. Selected questions ask effective way of clinical practice by learning outcomes of clinical practice. Open questions ask abou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Result of study shows that questions which were answered as effective clinical practice by both expected graduates and graduates are 4 out of 7 clinical course learning outcomes. Those 4 questions of affirmative answers wer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oretical knowledge’ (p<.001),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caregiver and medical staff’ (p<.001, p=.036, respectively), ‘Understanding Legal and Ethical standard of nursing specialty intuition and nursing practice’ (p<.001) and ‘Establishing and Application of nursing course through critical thinking’ (p<.001). One question that HPS practice was answered effective by both expected graduates and graduates is ‘Selection and Nursing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p<.001, p=.003, respectively). Another question that SP practice was answered effective by only expected graduates is ‘Enhancement of Nursing Leadership competence’ (p=.002) and one question that HPS practice was answered effective by only expected graduates is ‘Understanding and Confirming action plan of Nursing needs situation’ (p=.021). No significant practice method was found for graduates. Interview results of clinical practice shows that clinical practice was limited to observation centered which was unable to perform direct nursing and though direct nursing was possible at simulation practice, acting environment was limited as well. In conclusion, we expect efficient clinical education will be performed by enhancing effective practical method by learning outcomes of clinical education and by driving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 and by developing excellent scenario of simulation practice which could provide enough precedent learning. 본 연구는 임상실습과 고충실도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HPS 실습) 및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SP 실습)을 모두 이수한 졸업예정자와 졸업자의 학습성과 별 실습교육 경험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실습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학과 졸업예정자 59명과 졸업 후 1년 미만의 신규간호사 51명을 포함한 총 110명이 었다. 연구도구는 실습교과목의 학습성과 관련 효과적인 실습방법을 선택하는 문항과 실습경험에 대한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실습교과목 학습성과 7개 항목 중 졸업예정자와 졸업자 모두 임상실습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항목은 ‘이론적 지식의 실무 적용’(p<.001), ‘환자, 보호자, 의료진과 의사소통’(각각p<.001, p=.036), ‘간호 전문직관과 간호 실무의 법적, 윤리적 기준의 이해’(p<.001), ‘비판적 사고를 통한 간호과정의 수립 및 적용’(p<.001)으로 총 4개 항목이었다. 졸업예정자와 졸업자 모두 HPS 실습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항목은 ‘핵심기본간호술의 선택 및 수행’(각각 p<.001, p=.003)으로 1개 항목이었다. 졸업예정자에서만 ‘간호 리더십 역량의 제고’ 항목은 SP 실습이(p=.002), ‘간호 요구상황의 이해 및 대처방법 확인’ 항목은 HPS 실습이(p=.021)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반면, 졸업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실습방법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습경험에 대한 면담결과 임상실습은 관찰위주의 실습으로 직접 간호 수행이 제한적이었고, 시뮬 레이션 실습은 직접 간호 수행은 가능하지만 실습상황이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습교육 학습성과 항목에 따라 효과적인 실습방법을 강화하되 임상실습 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시뮬레이션 실습 시 우수한 시나리오의 개발 및 충분한 선행학습을 유도함으로써 효율적인 실습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男女相悅論’의 형성과 성종조 외교의례 사건의 상관성

        윤지아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4 No.-

        This paper aims at Namnyeosangyeollon in king Seongjong’s reign. Goryeo- sogyo has been indicated as Namnyeosangyeoljisa which means the song of love between man and woman. In former studies, the main reason of Namnyeo- sangyeollon was Joseon’s ruling ideology. According to the former studies, Joseon dynasty’s ruling ideology was Confucianism, so these kind of love songs were inappropriate for court music. This studies have some valid point, but they overlooked the fact that Namnyeosangyeollon was not continuous argument. It only took place in king Seongjong and Jungjong’s reign, so the corelation might be more clear when it comes to political incident. In this study, I examined that the corelation between the incident about political protocol which took place in 19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At that time Joseon greeted Chinese ambassador, and there were some unpleasant moment between ambassador and Joseon, and it caused bruised pride of Joseon. Because of this experience king Seongjong’s thoughts about music was changed like more political way. It is rather unfamiliar attitude because king Seongjong was very generous and having deep knowledge when in comes to court music. Therefore, Namnyeosangyeollon was the deeply linked with the political issue of that time, and understanding about Namnyeosangyeoljisa has to be changed becaused it is not the whole point of Goryeo-sogyo. 본고는 성종조 대두되었던 ‘남녀상열론’을 그 당시의 정치적 사건과의 상관성 속에서 고찰한 것이다. 남녀상열론은 가사에 남녀가 서로 좋아하는 내용을 담고 있음을 들어 고려속요를 비판한 논의들로 이와 같은 조선 유학자들의 평가는 고려속요에 대한 현대 연구자들의 인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재래의 연구에서 ‘남녀상열지사’라는 수식어의 출현 배경과 그 의미적 변전을 논의하였으나 유교적 통치이념을 근간으로 하는 조선사회의 투영, 혹은 언어의 측면에서 俚語 수용문제와 같이 사상․문화적 측면의 해석이 주를 이루었다. 이에 본고는 정치적 사건과의 관계에 집중하여, 당대의 정치적 현안을 계기로 부상하게 된 남녀상열론을 고려가요에 대한 조선시대의 인식의 전모인 것처럼 가정하지는 않았는지 반성적 시각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성종은 음악에 조예가 깊을 뿐 아니라 궁중의 연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즐겼던 임금이다. 그는 적재적소에 음악을 배치하여 군신이 함께 즐기는 연회 분위기를 만드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던 임금으로 여악에도 관대한 축에 속하는 왕이었다. 이러한 성종이 재위한지 상당한 기간이 지난 후 갑작스럽게 속요 <서경별곡>의 가사를 문제 삼는 모습은 음악에 대한 그의 평소 인식과는 사뭇 다른 태도이다. 실제로 <서경별곡>을 남녀상열지사로 명명하게 된 계기는 같은 시기에 벌어졌던 외교의례사건과 무관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성종19년(1488)년 조칙을 반포하기 위해 조선을 방문한 중국 사신들은 조선의 접빈례에 대해 가혹하리만큼 그릇됨을 지적하여 조선 측에 큰 곤란을 안겨주었다. 이는 조선-명의 관계에서 명의 세력이 더욱 켜져 가고 있음을 대변하는 것으로, 이 사건을 통해 조선은 자국의 위상과 향후 입지를 재고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조선은 중국 사신에게 조선 풍속의 미개함을 비하하는 ‘남녀상열’이라는 기록의 수정을 요청하기도 하여서, 여러모로 ‘남녀상열론’이 가시화되기에 적합한 환경이었다고 할 수 있다. 사신 접견이 끝난 지 보름 후에 성종은 종묘례에 참석한 뒤 <서경별곡>을 남녀상열지사라고 명명하며 가사 수정을 지시하였다. 그러나 이때 성종이 들었던 것은 <서경별곡>의 곡조이지 가사가 아니었다. 이는 사신 접견 이후 속악에 한층 민감해진 성종의 모습을 대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황으로 보아 남녀상열지사 논의는 고려속요에 대한 조선시대의 보편적인 인식이기 보다는 당시의 정치적 현안과 더욱 밀접한 관련을 맺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 분석 연구

        윤지아,박찬주,신호진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work values among university students. It further sought to prioritize these requirements and evaluat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the same. The study identified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nt and expected levels of work values recogniz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found the relatively important factors in these work values, ranked them, and prioritized th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78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selected to be part of the study from April 18 to April 22,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requency analysis,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analysis sought to determine not only the ranking of work values, but also whi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nd which of the higher-level factors are necessary.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the top priority of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al needs for work values included time, a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and economic compensation (salary, income, allowance, etc.), and the ranking of cars was derived from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our work values listed above should be considered first when setting educational goals and selecting the work value related content imparted by the professors in the universit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에 대한 교육 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직업가치관과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시이다. 연구는 대학생이 인지하는 직업가치관에 대한 현재와 기대하는 수준 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비교함으로써 직업가치관 중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인을 찾아 위계를 부여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 대학생으로 2022년 4월 18일부터 4월 22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78명을 최종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t검정,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형을 활용했고, 직업가치관 요인의 순위뿐 아니라 어느 요인까지 고려해야 할 것인지, 상위 수준의 요인 중에서도 더욱 필요로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선별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에 대한 교육 요구의 최우선순위는 시간 여유, 쾌적한 근무환경, 경제적 보상(월급, 수입, 수당 등)이 나타났고, 차 순위는 일의 흥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의 직업가치관 교육에서 교육목표를 수립하고 교수 내용을 선정할 때 위의 4개 직업가치를 우선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星山別曲> 연구의 동향과 쟁점

        윤지아 한국고전문학회 2023 古典文學硏究 Vol.64 No.-

        이 글은 <성산별곡> 연구사를 상세히 정리하여 그간 논의의 내력을 밝힌 것이다. <성산별곡> 연구사에 관한 기존의 언급이 없지는 않으나 대개 소략하게 기술되어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성산별곡>을 둘러싼 논쟁이 가장 활발하였던 1960~80년대로부터 대략 50~70여 년이 지난 지금 선행 연구의 가치를 다시금 살피고 후속 논의의 방향성을 재고해 보는 것 또한 연구사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문학 연구사 초기의 논의부터 <성산별곡>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던 시기의 연구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사 초기에 <성산별곡>은 정철의 다른 가사 작품에 비해 비교적 주목받지 못했다. 이러한 초기 연구의 흐름은 『송강별집추록유사』, 『문청공유사』, 『서하당유고』 등 정철과 그의 문학 활동에 직접 관계된 자료들이 발굴되면서 한 차례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위 자료들을 바탕으로 <성산별곡>의 창작 시기와 찬미 대상에 관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출되었다. 이때까지 <성산별곡>의 작자는 의심의 여지 없이 송강으로 인정되었으나, 이후 제기된 石川 林億齡 창작설이 학계에 적잖은 반향을 일으키며, 연구의 초점은 작자 문제로 옮아갔다. 대부분의 연구는 석천 창작설에 반박하며 정철의 작품이라는 종래의 의견에 더욱 힘을 싣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후 반론 및 재반론이 오고 가며 <성산별곡>의 작가, 창작 시기, 찬미 대상 등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후속 연구들은 이러한 연구 경향이 작품 내적 해석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작품의 구조와 미적 특질에 착안하였다. 해당 연구들은 <성산별곡> 주변의 여러 작품과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성산별곡>의 문학사적 위치를 해명한 것, 문답체, 대화체 구조에 착안하여 <성산별곡>만의 특징을 제시한 것, 또 한편으로는 누정, 원림 문화의 영역에서 <성산별곡>의 미적 특질을 밝힌 것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사 검토를 통해 <성산별곡>을 둘러싼 여러 쟁점이 여전히 논의의 여지가 있는 상태이며, 다양한 해석적 가능성은 분명 열려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organizes the research history of Seongsanbyeolgok in detail and reveals the history of discussions so far. Although there are existing references to the research history of Seongsanbyeolgok, it has the limitation that it is mostly described briefly. In addition, approximately 50 to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1960s and 1980s whe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Seongsanbyeolgok was most active, and it would be historically significant to look again at the value of previous research and reconsider the direction of subsequent discussions.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research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to the period when research on Seongsanbyeolgok was most actively conducted. In the early stages of research history, Seongsanbyeolgok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compared to Jeong Cheol’s other lyric works. This early stream of research took a turn as materials directly related to Jeong Cheol and his literary activities were discovered. Based on the above data, various opinions were presented regarding the creation period of Seongsanbyeolgok and the object of praise. Until now, the author of Seongsanbyeolgok has been recognized without a doubt as Song Kang. Afterwards, the theory that Seokcheon (石川) was created by Im Eok-ryeong (林億齡) created quite a stir in academia, and the focus of research shifted to the issue of authorship. Most studies have refuted the theory of Seokcheon's creation and have moved in the direction of giving more weight to the existing opinion that it was Jeong Cheol's work. Since then, as counterarguments and rebuttals have come and gone,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author, creation period, and object of praise for Seongsanbyeolgok. Subsequent studies criticized this research trend for overlooking the internal interpretation of the work, and focused on the structur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e studies elucidated the position of Seongsanbyeolgok in literary history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ith various works surrounding Seongsanbyeolgok, present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eongsanbyeolgok by focusing on the conversational structures, On the other hand, it can be divided into those that reveal the aesthetic qualities of Seongsanbyeolgok in the area of ​​pavilion and garden culture. Through the above review of research history, it was confirmed that many issues surrounding Seongsanbyeolgok are still open for discussion and that various interpretive possibilities are clearly op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