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윤정아(Yun, Jeong?A),정정희(Chung, Ch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리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정적 상관관계, 교수불안과 유아교육과정 실행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교수불안, 반성적 사고가 유아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불안 및 반성적 사고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을 45% 설명하며, 이 중 교수몰입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반성적 사고, 교수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과정 실행의 효과적 향상을 위해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반성적 사고를 증진하고 교수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and reflective thinking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225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reflective thinking, and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above average. Second, it appeared that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ing flow and reflective thinking, whereas it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ing anxiety. Third, the relativ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teaching anxiety, and reflective thinking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explain 45% of the inplementation process. The teaching flow has the most influence followed by reflective thinking and teaching anxiety in order. This suggest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promot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flow and reflective thinking and reduce teaching anxiety to effectively improve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implementation.

      • KCI등재후보

        유아 수 연산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윤정아 ( Yun Jeong A ),이분려 ( Lee Bun Ryeo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8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유아 수 연산과 관련된 국내 연구들을 대상으로 종단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 수 연산과 관련된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를 보면 수 연산 연구는 2000년 이후에 관심이 높아져 지속적인 발표가 이루어졌으며 2011∼2015년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주제 중 ‘수 연산 능력의 향상’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수 연산 능력의 발달의 경향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 중 연구대상은 혼합연령보다 단일연령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으며 단일연령 중 대부분의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수 연산 관련 주제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며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young children’s calculation in Korea published from 1993 to 2018. This study’s significance figured out the flows of the period of research, the topics of research, and trends of research methods in young children’s calculat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as follows: 1)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period of research was in 2011∼2015, 2) The most frequent content was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calculation ability, 3) most of the studies targeted a single age group of five years old and many kinds of research were the quantitative metho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domestic research on young children’s calculation have limits in methodology. The researcher gives thre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 various topics about the contents of young children’s calculation need to be further research. Second,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ubject groups to 4 years old, 3 years old, and the differences of the various ages. Thir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researches using the qualitative method.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윤정아(Jeong-A YU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대구·경북지역의 유치원 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역량은 전문적 학습환경 및 교사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고 있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즉, 전문적 학습환경은 교사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교사역량을 높이기 위한 전문적 학습환경의 지원과 함께 교사교육과정에서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competency. For this purpose, the surveys were conducted for 293 teachers from kindergarte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eacher competency,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 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competenc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has a direct effect on teacher competency, and indirectly affects teacher efficacy as a medium.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ways to enhance teacher efficacy in the teacher education process along with support for a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o enhance teacher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감의 매개효과

        윤정아(Jeong-A YUN),이아름(Ah-Rem LEE)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소진은 전문성, 소명감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전문성과 소명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명감은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다. 즉, 유아교사의 전문성이 소진에 직접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소명감을 매개로 하였을 때 소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성과 함께 소명감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교사교육 과정에서 교사로서의 신념이나 가치를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burnout. For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420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 First, it appear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burnout ha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professionalism and calling, whereas professionalism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alling.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and burnout, the calling was completely mediated. In other words, the professionalism does not directly affect burnout, but it was shown that it indirectly affects burnout when calling is used as a mediu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alling along with professionalism to reduce the burnout of early childhood teach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effective methods for enhancing the belief and value of teachers in the course of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어 교육 내용 연구 - `일상생활`과 관련된 어휘를 중심으로 -

        송대헌 ( Song Dae-heon ),윤정아 ( Yun Jeong-a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4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연어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밝히고, 그에 따른 연어 교육 내용을 주제별로 구성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어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고, 어휘를 확장하여 실제 의사소통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실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한국어 교육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는 초급, 중급, 고급에 따라 단편적으로 제시되고 있고, 각각의 교재별로도 제시가 통일되어 있지 않아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용 연어를 선정하고, 선정한 연어 항목을 등급별, 범주별로 배열하여 한국어 연어의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학습용 연어를 9개의 주제로 선정하고 이들 주제를 소주제로 세분화한 후 학습용 연어들을 배열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주화된 주제 중 `일상생활`과 관련된 연어들에 교육 등급을 부여하기 위해 등급화의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에 따라 연어의 등급을 매겼다. 이렇게 주제별 등급별로 배열된 연어 항목들을 조직하여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This study is said to Collocaition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Korean learners. And depending on the subject by constructing a Collocaition training content is the goal of finding a way to take advantage of the Collocaition education of Korean learners. The Collocaition is composed of two words. 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onents can not easily predict Korean learners. Therefore,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courses to learn the meaning of Collocaitions, suffer from a lot of trouble going to extend the use of the Collocaitions. And if they do not learn the correct meaning of Collocaitions from beginner Korean learners are likely to produce Collocaitions use the error reached an advanced stage. This paper was selected for this purpose for the study Korean language learning Collocaition and Collocaition were organized and selected topics to the array. Thus `Daily life`, `Leisure`, `health`, `thoughts and feelings`, `collective life`, `interpersonal`, `economic activity`, `society and culture`, nine theme of `nature` was selected. Sub-themes of this subject , and an array of learning Collocaition. Finally, the categorization of topics related to the `life` in order to give the standard for Collocaitions grading education.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소명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매개효과

        이아름(Lee, Ah-Rem),윤정아(Yun, Jeong-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의 소명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지역의 영유아교육기관 교사 3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소명감 및 조직문화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명감과 조직문화와의 관계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조직문화는 영유아교사의 소명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으며 Bootstrapping을 통한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영유아교사의 소명감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조직문화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의 소명감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바람직한 영유아교육기관 내 조직문화의 중요성을 밝혔다. 또한 영유아교육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긍정적인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원장의 리더십과 구성원 간의 유대감을 증진시키는 학습공동체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alling and teacher efficacy. Methods For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374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5.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calling,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caliing and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ed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d indirect effect as the mediation variabl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alling and teacher efficacy.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not only the atten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calling but also advisable organizational culture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to raise the teacher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