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능점수를 통한 SOA 기반의 시스템 기능 평가

        윤재영(Jaeyoung Yoon),윤광열(Gwangyeol Yoon),최종무(Jongmoo Choi),유해영(Haeyoung Yoo)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1B

        현재 IT 환경은 빠른 서비스의 생성과 컴포넌트의 재활용성을 통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가장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기존 Legacy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한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SOA와 같은 Web 기반 시스템의 경우 Legacy 시스템 측정에 알맞게 구축된 비용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잘못된 비용 산정의 결과로 인하여 다수의 프로젝트가 실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 규모 산정을 위한 국제 표준인 FP(Function Point)를 통한 규모 산정 방식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기존 FP방식이 사용자 중심의 기능 단위로 산정을 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기존 산정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한 연계 기능을 포함한 FP 산출 방법의 제안을 통하여 기존 FP에서 측정할 수 없었던 SOA 도메인의 특징을 반영한 FP의 산출이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SOA 기반 시스템의 정확한 예산 측정이 가능하며, 프로젝트의 실패를 감소할 수 있다.

      • KCI등재

        시각화 유형에 따른 에너지 피드백의 효과

        엄주현 ( Um Ju Hyun ),윤재영 ( Yun Ray Jaeyo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사용자의 에너지 절감 행동 유도를 위하여 가정의 전기 에너지 사용량을 두 가지 시각 유형의 에너지 피드백 디자인으로 제작하고, 이에 따라 인구통계학 요인별 피드백 전략 도출을 목표로 한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유형화한 이성 소구 피드백과 감성 소구 피드백은 각각 바(bar) 그래프와 북극곰 위젯(widget) 디스플레이로 디자인하였다. 피드백 유형의 시각적인 차이에 근거한 사용자의 이해도, 선호도, 절전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 실험 후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이성 소구 피드백은 낮은 연령과 공학/사회과학 분야의 사람에게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감성 소구 피드백은 낮은 연령일수록 높은 이해도를 보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인문/예술 분야가 다른 분야보다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네 가지 에너지 피드백 전략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raw up energy feedback strategies on demographic factors through two visualization types of energy feedback for inducing energy saving behaviors. Through the background study, we analyzed visual types for energy feedback design and these types are classified into Rational Appeal Feedback and Emotional Appeal Feedback. Each of feedback types is designed as Bar Graph and Polar Bear Widget Display. This study draws conclusions through online survey method for evaluating user`s understanding, preference and behavior intention based on visual distinction. Firstly, the understanding of rational appeal feedback among under age 20 is better than 30 age or older. People in engineering or social sciences major/occupation have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of rational appeal feedback. Secondly, emotional appeal feedback draw up high understanding with low age. In the case of preference, women were higher than men, and the major/occupation of humanities and arts had a relatively higher average value than other fields.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of each feedback type, there were high correlation between understanding, preference, and behavior intention of each feedback type. Finally, feedback strategy for each type of users is deriv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 교육 영상의 상호작용 강화 전략

        김민정(Minjung Kim),윤재영(Jaeyoung Yun)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영상 활용 학습은 오늘날 교육 환경을 통틀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학습 방법에 속한다. 그러나 높은 이용도와 학습 효과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는 미비하다. 상호성이 부재한 교육 영상은 학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호성 유무에 따라 학습자의 몰입과 참여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효과를 높이는 교육 영상 시스템의 개발 및 보급을 목표로, 교육 영상의 상호작용 강화 전략을 제안한다. 먼저, 국내외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교육 영상의 상호작용 강화 전략을 도출했다. 그리고 목적과 특성에 따라 소통, 정보 접근, 시뮬레이션, 게임, 정보입력, 유의미한 정보, 추가 정보 제공, 영상 길이, 영상조정, 예상 불가능한 자극으로 분류한 후, 전략적 세부방안을 제안했다. 학습 목표, 학습자 특성, 학습환경에 따라 적합한 전략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교육영상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se days, learning by video is active in learning environment. However, despite its high applicability, relevant research has rarely implemented. Educational video without interactivity would not result in effective learning because the interactivity enhances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Thus this study researched interaction-enhancing strategies for educational video by analyzing advanced research and by proposing new methods, aiming development of effective Educational video system. Above all, the interaction strategies are extracted from relevant studies. They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property into communication, navigation, simulation, game, information input, meaningful information, additional information, length of video, video control and unpredictable stimuli. Then practical ways of strategies and new ways are presented. I expect to enhance effectiveness of learning with educational video by selectively applying suitable strategies to learning objective, learners’ propert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 고령자를 위한 음성인식 가상비서 서비스의 개선방향 연구

        용아롱(Ah Rong Yong),윤재영(Jaeyoung Yun)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속도가 가속화되며, 고령자를 위한 IT 기술 분야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60대 이상 노인층의 스마트폰 사용률이 2016년 62%인 것으로 나타나며, 스마트폰에서도 고령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실제 스마트폰의 사용 서비스를 보면 단순한 기능(e.g., 전화 걸기/받기, 문자 보내기 등) 제공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IT 제품 사용성 문제 해결을 위해 2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음성인식 가상비서 제품의 사용성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그들은 원하는 정보의 정확하고 쉬운 습득, 간단한 대화와 안내 등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음성인식 가상비서에 흥미를 보였지만, 사투리를 포함한 특수한 용어 해석의 한계 등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기획하고 디자인하는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피드백 인터랙션 연구

        김은미 ( Kim Eunmi ),윤재영 ( Yun Jaeyo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4

        스마트 디바이스의 등장은 학습자들이 형식적 학습을 벗어나 상시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효과를 높이고 있다 스마트러닝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개인특성에 적합한 학습방법과 상호작용을 돕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초등 고학년 학생 92명을 대상으로 동료피드백과 자기 피드백을 실시한 집단 그리고 피드백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분류 하였다. 둘째, 웹 사이트의 녹음게시판을 기반으로 4주간 실험조사를 실시 했다. 셋째, 학습자들이 수행하는 피드백학습 과정을 관찰하고 학습자성향 및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기반하여 학생과 교사면접을 통해 피드백유형과 학습자성향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학습만족도측정 결과, 외향적 학생들은 동료피드백, 내향적 학생들은 자기 피드백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학업성취도의 측정결과, 외향적 학생들과 내향적 학생들 모두 동료피드백에서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러닝과 학습피드백 인터랙션의 적용 및 발전 방향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The appearance of smart devices is not only allowing the learners to be free from the conventional education but is also allow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be enhanced through various methods of everyday learning. Furthermore, to make use of the smart learning system more effectively, studies on the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method suited to the learner`s individual attributes are mandatory. In this study, first, 92 of elementar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of students who performed a self feed back, performed a collaborative feedback and a controlled group that did not perform any feedback. Second, 4 weeks of examination was held based on the voice recording board on the website. Third, the feedback learning process of the learners was observed and the tendency of the learners with the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level were measured. Also, students and teachers were interview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e feedback type and learner`s tendency have on the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showed that extroverte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collaborative feedback and introverte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self feedback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measurement of the achievement level showed that both extroverted and introverted students attained high achievement level with the collaborative feedback system. Therefore, a discussion is needed on the development and enforcement of the smart learning and feedback interaction based on the said study.

      •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스마트러닝 콘텐츠 인터랙션 디자인연구

        김은미(Eunmi Kim),윤재영(Jaeyoung Yun)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스마트 디바이스의 등장은 학습자들이 형식적 학습을 벗어나 상시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효과를 높이고 있다. 스마트러닝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개인특성에 적합한 학습방법과 상호작용을 돕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5,6 학년 학습자 92 명을 대상으로 동료피드백과 자기피드백을 실시한 집단, 그리고 피드백을 실시하지않은 통제집단으로 분류 후 약 4 주간 실험조사를 실시했다. 그 후 학습자성향 및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여 피드백유형과 학습자성향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학습만족도측정 결과, 동료피드백은 학습자의 외내향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피드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통제집단은 피드백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만족도가 낮아 피드백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외향성 집단은 동료피드백, 내향성 집단은 자기피드백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 학업성취도의 측정결과, 동료피드백은 성향에 따라 보였으며 자기피드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러닝과 학습피드백 인터랙션의 적용 및 발전 방향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 데이터 시각화의 시각적 형태유형과 은유에 관한 연구

        이지선(Lee, Jisun),윤재영(Yun, Jaeyoung)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정보 수용자는 영상, 디지털 매체, SNS 등을 통해 복잡하고 무한대의 데이터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환경의 변화로 심미적 가치가 부여된 데이터 시각화의 증가가 더욱 더 필요하다. 데이터 시각화의 심미적 가치는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게 되는 시각적 형태의 은유로 전달이 가능하다. 데이터 시각화의 시각적 형태로는 자연형태, 인공형태와 추상형태가 있으며, 이를 가지고 데이터 시각화에 표현된 은유의 현 경향과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무궁무진한 데이터를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심미적 가치가 있는 데이터 시각화를 만들 수 이 있기에, 데이터 시각화를 구현하는 프로세스에서 은유적 표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은유의 현 경향과 가능성을 데이터 시각화 사례를 통해 파악하여 심미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시각화 프로세스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