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古典⽂學과 權⼒

        尹在敏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이글은 古典文學과 權力의 문제를 다음의 논의 순서로 개략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푸코의 권력 담론이 시사해 주는 문제의식을 새겨보았다. 이어서 이러한 문제의식에 비추어 동아시아에서 儒家의 權力 談論을 孔子, 孟子, 荀子의 논의를 통해 재검토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의 경우를 「勿稽子」를 통해서 본 儒者 談論과 隱者 談論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푸코는 권력을 제도도 아니고, 구조도 아니며, 누군가가 소유하고 있는 어떤 역량도 아니라고 보았다. 푸코는 권력을 사회의 모든 관계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생산되고 행사되는 것으로 보았다. 푸코의 권력 논의에서 특히 새로운 것은 권력을 통제와 지배의 관점에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생산의 관점에서 보았다는 것이다. 곧, 푸코에 따르면, 권력은 인간을 통제하고 억압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유형의 인간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는 것이다. 孟子는 일찍이 힘으로 남을 복종시키는 覇道 政治와 德으로 남을 복종시키는 王道 政治를 구분하면서, 후자를 강력하게 내세웠다. 맹자의 이러한 王霸 구분은 政令과 刑罰로 다스리는 정치와 德과 禮로 다스리는 정치를 구분한 孔子의 言明에 이미 그 단초가 나타나 있다. 孔子의 언명을 孟子의 용어로 다시 표현한다면, 政令과 刑罰로 다스리는 정치는 覇道가 되겠고, 德과 禮로 다스리는 정치는 王道라 할 수 있다. 패도가 不善을 禁止하는 정치라면, 왕도는 善을 勸勉하는 정치이다. 孟子는 覇道를 철저하게 부정하고 전혀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孔子는 覇道의 수단을 次善으로서 일정하게 긍정했다. 荀子 또한 孔子의 생각과 같은 맥락에서, 王道와 覇道를 최선과 차선으로 분명하게 구별하면서도, 孟子와 달리 차선으로서의 覇道의 가치를 일정하게 긍정했다. 사실 孟子든 孔子든 荀子든 이들이 王道와 覇道를 구분한 본래의 의도는 君主의 專制 權力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고자 하는 것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孟子 이후 이 王覇論은 전 근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주도적인 유교적 통치 담론으로 작동하게 된다. 三國史記 와 三國遺事 에 공히 실려 전하는 〈勿稽子〉에서 주목되는 지점은 儒者 談論과 隱者 談論 부분이다. 전형적인 유자 담론을 반복하는 물계자의 發言에서 우리는 유자 담론에 馴致된 인물 물계자를 새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유자 담론은 馴致된 臣下를 생산해 내는 권력 담론으로 작동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물계자는 이러한 유자 담론에 마냥 순치된 존재로 시종일관하지는 않는다. 군주가 자신을 알아주지 않을 때 물러나 은거하여 獨善其身하는 것은 儒者의 전형적인 出處 談論의 하나이다. 그러나 물계자가 선택한 것은 方內에서 方外로 아주 떠나가 돌아오지 않는 것이었다. 물계자는 馴致된 臣下 노릇 하기를 거부한 것이다. 여기서 보이는 隱者 談論은 儒者 談論과 아주 다른 것이다. 사실 전 근대 사회의 權力網에는 빈 공간이 적지 않다. 孟子 또한 일찍이 君主의 통치 지역 아래에 있다고 해서 누구나 다 그의 신하인 것은 아니며, 누구나 다 신하로 삼을 수 있는 것도 아님을 역설한 바 있다. 유자 담론은 대체로 권력에 봉사하는 담론으로 기능했지만 때로는 권력에 맞서는 저항 담론으로 작동하기도 했던 것이다. This thesis reevaluate East Asian Classics in the aspect of Foucault's Power, especially about discourse of power of Confucianism by analyzing texts of Confucius, Mencius and Xunzi. Furthermore, the author reviews the discourse of Confucianist and hermit in Korea described in Mulgaeja (勿稽子). Foucault’s power is not institution or structure, neither someone’s ability. It is force that is practiced and interacting among all kinds of social relationship. What’s new in Foucault’s theory is that he understood power in the point of view of production, not of regulation and domination. In other words, the power doesn’t suppress or control people. Rather, it creates certain type of subject. Mencius compared rule of right (王道 政治) and rule of might (覇道 政治), and strongly advocated the former. His theory originated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which distinguished government of righteous and ritual from that of law and punishment. While the rule of might prohibits wrong behaviors, the rule of right encourages good. Unlike Mencius who completely opposed against the rule of might, Confucius actually accepted it as second choice, and Xunzi agreed with him. The original intention of those three Confucian sages was to restrain autocracy, however, the matter of mighty or righteous ruling became the mainstream of Confucian political discourse after Mencius. In the story of Mulgaeja which is both inserted in Samguk Sagi (三國史記) and Samguk Yusa(三國遺事) shows the discourse of Confucianism and hermit. The statement of Mulgaeja repeats the stereotype of Confucian official where the power creates Confucian subject. Still, Mulgaeja is not someone who is entirely dominated by Confucian discourse. Even though a secluded life was a possible choice for Confucian, Mulgaeja’s retirement was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Confucian world and there was no return. He rejected to be a Confucian subject, and theer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discourse of hermit and Confucian. There is a lot of empty space in the discourse of power in premodern East Asia. Mencius himself also emphasized that not everyone in a king’s territory is his subject, and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everyone his man. Even though Confucian discourse mostly served for ruling power, sometimes it functioned as a discourse of resistance.

      • KCI등재

        민주화의 영화적 인식론: 한국 영화 <칠수와 만수>와 대만 소설 「두 페인트공」의 도시주의적 재배치 시도

        윤재민 동악어문학회 2024 동악어문학 Vol.92 No.-

        이 글은 전후 한국과 대만의 민주화을 재인식하는 작업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 의거하여, 황춘밍의 「두 페인트공」과 영화 <칠수와 만수>로 이어지는 매체 월경의 문화번역을 도시주의적 접근으로 재배치하는 시도이다. 영화 <칠수와 만수>는 1970년대 대만 향토문학 「두 페인트공」에 재현된 자본에 침윤된 도시 과밀화 과정과 이를 구성하는 뜨내기 노동자의 존재를 1980년대 말엽 서울이라는 구체적인 풍경에서 보다 선명하게 가시화한다. 영화가 포착하는 서울의 풍경은 급진적인 과밀화에 따른 섬망 상태의 헤테로토피아다. 뜨내기 노동자 칠수와 만수는 도시의 표면을 이동하며 번영과 풍요 그리고 제도적 민주화의 장소인 도시를 구성하는 행위자임과 동시에, 그로부터 소외된 존재들이다. 자본은 도시인으로서 그들의 분열증적 욕망을 동원하여, 도시 표면을 척도 없이 이동하며 살게 한다. 뿌리내리기가 허락되지 않는 도시적 존재의 삶과 욕망은 주류 혹은 정상성의 시공간과 괴리하는 이질적인 표면을 잠시 점유하는 양상으로 가시화된다. 그들의 움직임은 자본과 결탁한 치안의 시점에서 주류적 풍경을 교란하는 자격 없는 존재들의 이질적인 흐름으로서 배제된다. <칠수와 만수>의 서사와 일련의 풍경-이미지는 「두 페인트공」의 핵심 모티프에서 추출한 것인데, 이는 냉전기 한국과 대만 공통의 사상적 지평으로서 역내 민주주의와 관련된 일련의 원초적인 무빙-이미지다. This article is written in response to the ongoing need to re-recognize the postwar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and Taiwan. To this end, the cultural translation of the media menstruation leading to Hwang Chunming's Two Painters and Park Gwangsu's film Chilsu and Mansu is to be re-position for the approach to the urbanism. The film Chilsu and Mansu makes the process of capital-infiltrated urban overcrowding and the presence of floating workers that constitute it, which is represented in the 1970s Taiwanese vernacular literature Two Painters, more clearly visible in the specific landscape of Seoul that the film captures is a heterotopia in a state of delirium following radical density in the late 1980s. As the day labors, Chilsu and Mansu, are both urban beings who move across the surface of the city, a place of prosperity, affluence, and institutional democratization, but also alienated from it. Capital mobilizes their schizophrenic desires as the urban beings, forcing them to move and live on the surface of the urban places without measure. Urban life and desires that are not allowed to take root are visualized as forms that temporarily occupy a surface that is alien to the time and space of mainstream or normalcy; It is excluded because it is a heterogeneous movement of unqualified beings disrupting the mainstream landscape at the point of police in collusion with capital. The narrative and a series of landscape-images of Chilsu and Mansu are extracted from the core motifs of Hwang Chunming's Two Paintrs. It is the primitive moving-image of democracy in the region, a common perspective between Korea and Taiwan in Cold War age.

      • KCI등재
      • KCI등재

        漢文科 敎育에서의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윤재민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The level and range problem of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ould be the one whose importance has been thought of, more or less, by every researche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bove all things, this will be the very problem over which the authors of textbooks most mulled from the early stage in writing to the final stage. However, there has been few full-scale discussions about the level and range of texts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up to now. With respect to the problem of the level and range of texts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t needs to be studied largely from two fields. One is a field of curriculum from the theoretical aspect and another is a field of textbook edition from the practical aspect. The problem of the level and range of texts in the curriculum is the one that must be dealt with in detail from each dimension of scope, content elements, learning elements. How to draw an scope from the goa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ow composes education content elements by each scope? What kind of things exist in the subordinate content elements composing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that is, in learning elements, and how can systematize them by school, class, grade and level?The problem of the level and range of texts in textbook edition field is the one that must be dealt with in detail from each dimension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words, Chinese writing short sentences, Chinese prose and Chinese poetry. So to speak, how materialize the scope and content & learning elements proposed by the curriculum into textbook materials composed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words, Chinese writing short sentences, Chinese prose and Chinese poetry? In this course, is it really possible to provide the level and range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words, Chinese writing short sentences, Chinese prose and Chinese poetry as a concrete list? If possible, how to prepare it?There is no easy problem in all cases. Nor there can exist complete alternative. Anyway I hope this academic meeting would be the basis for resulting in constructive fruits in relation to the level and range of texts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漢文科 敎育에서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문제는 그 동안 한문교육 연구자라면 누구나 다 어느 정도 그 중요성에 대해 의식해 본 적이 있었을 문제이다. 무엇보다도 먼저 교과서 집필자들이 집필 초기부터 그 마무리에 이르기까지 가장 많이 고민했을 문제도 바로 이 문제일 것이다. 그러나 정작 漢文科 敎育에서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그 동안 별로 없었다. 漢文科 敎育에서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문제는 크게 두 가지 분야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敎育課程 분야이고 다른 하나는 실천적인 측면에서 교과서 편찬 분야이다. 교육과정 분야에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 문제는 領域, 敎育 內容 要素, 學習 要素의 각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다뤄져야 할 문제이다. 곧 한문 교육의 목표로부터 영역을 어떻게 도출할 것인가? 각 영역별로 교육 내용 요소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내용 요소를 구성하는 하위 내용 요소, 곧 학습 요소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것을 學校 級別 및 學年別 水準別로 어떻게 系列化․位階化할 것인가?교과서 편찬 분야에서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문제는 漢字, 語彙, 漢文 短文, 漢文 散文, 漢詩의 각 차원에서 각기 구체적으로 다뤄져야 할 문제이다. 곧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영역, 내용 요소, 학습 요소를 漢字, 語彙, 漢文 短文, 漢文 散文, 漢詩로 이루어지는 교과서 題材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이 과정에서 漢字, 語彙, 漢文 短文, 漢文 散文, 漢詩의 수준과 범위를 구체적인 목록으로서 제공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그것을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어떤 경우든 쉬운 문제는 하나도 없다. 완벽한 대안도 있을 수 없다. 모쪼록 이번 학술대회가 漢文科 敎育에서 텍스트의 水準과 範圍 문제에 대한 건설적인 결과물 마련을 위한 礎石이 되길 바란다.

      • KCI등재

        漢文 텍스트의 중학교 교과서 수용 범위와 수준 -短文, 散文, 漢詩를 중심으로-

        윤재민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The key matters in compilation of a textbook is a selection problem of themes of the main body. The theme of the main body of a textbook indicates the characteristics of a textbook, and the learning activities conducted centering around a textbook are usually related to this themes of the main body. This paper analyzes the acceptance scope and level in themes of short sentences, prose and Chinese poems of a junior high school on the basis of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and the explanation of the new junior high school's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hinese writing short sentences’ are an artificial test category newly proposed by reflecting the necessi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the amended curriculum. The term itself called as short sentences has been used in the previous curriculums. The themes to be included in short sentences categories have been frequently shown in the textbooks of previous curriculums. However, this curriculum firstly defined the concept of short sentences as a short writing composed of one sentence. ‘Chinese writing prose' and 'Chinese poems' are also artificial text categories newly proposed by reflecting the necessi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the 7th curriculum, a 'prose' category was propos -ed as sentences opposed to poems. But in the amended curriculum, a 'prose' category was proposed from a junior high school and the concept are also defined as 'Chinese writing prose opposed to Chinese poems'. The ordinary type of the theme of the main body of existing junior high 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can be divided into vocabularies(includ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words and idioms) and sentences(including short sentences, prose and Chinese poems). The ordinary type in the theme of the main body of new Chinese writing textbook according to the amended curriculum would be not so different from this. Provided if the weight of vocabularies relatively becomes high in a textbook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the weight of sentences is expected to increase more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amended curriculum. 교과서 편찬에서 핵심이 되는 사항은 本文 題材의 선정 문제이다. 교과서의 本文 題材는 해당 교과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얼굴이며,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학습 활동 또한 대개는 바로 이 본문 제재와 관련해서 이루어진다. 이 논문은 2007년 개정 漢文 科目 敎育課程과 이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 과목 교육과정 解說書에 의거하여 중학교 한문 교과서 短文, 散文, 漢詩 제재의 수용 범위와 수준을 분석한 것이다. ‘漢文 短文’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교육상의 필요를 반영하여 새롭게 제시한 인위적인 텍스트 범주이다. ‘短文’이란 용어 자체는 이전의 교육과정에서도 사용된바 있다. 단문 범주에 포함될 제재들 또한 이전 교육과정의 교과서들에서 익히 보아 왔던 것이다. 그러나 단문의 개념을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짧은 글’로 규정한 것은 이번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이다. ‘漢文 散文’과 ‘漢詩’ 또한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교육상의 필요를 반영하여 새롭게 제시한 인위적인 텍스트 범주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에서 ‘韻文과 상대되는 문장’으로 ‘산문’ 범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에서부터 ‘산문’ 범주를 제시하고, 그 개념 또한 ‘漢詩와 상대되는 글’로 규정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기존 중학교 한문 교과서 本文 題材의 일반적 형태는 語彙(漢字, 漢字語, 成語 포함)와 文章(短文, 散文, 漢詩 포함)의 두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 한문 교과서 本文 題材의 일반적 형태 또한 여기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단,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가 상대적으로 어휘의 비중이 컸다고 한다면,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는 문장의 비중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산지 유역의 갈수량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윤재민,조기태,이재형 전북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1998 工學硏究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regional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 which relate low~flow to watersheds characteristics in mountainous watersheds. Normally, a multiplicative model structure is imposed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procedures are employed to select suitable watersheds characteristics and to estimate model parameters. Since such procedures have met with only limited success, we take a different approach. A simple conceptual stream~aquifer model is extended to a watershed scale and evaluated for its ability to approximate the low-flow behavior of unregulated catchments in Mankyoung, Sumjin and Youngsan river basin.The conceptual watershed model is then adapted to estimate low-flow using multivariate regional regression procedures. Our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river basins, low-flow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product of watershed area, average basin slope and base flow recession constant, with the base flow recession constant acting as a surrogate for both basin hydraulic conductivity and drainable soil porosity.

      • KCI등재
      • KCI등재

        古典文學과 權力

        윤재민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이글은 古典文學과 權力의 문제를 다음의 논의 순서로 개략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푸코의 권력 담론이 시사해 주는 문제의식을 새겨보았다. 이어서 이러한 문제의식에 비추어 동아시아에서 儒家의 權力 談論을 孔子, 孟子, 荀子의 논의를 통해 재검토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에서의 경우를 「勿稽子」를 통해서 본 儒者 談論과 隱者 談論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푸코는 권력을 제도도 아니고, 구조도 아니며, 누군가가 소유하고 있는 어떤 역량도 아니라고 보았다. 푸코는 권력을 사회의 모든 관계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생산되고 행사되는 것으로 보았다. 푸코의 권력 논의에서 특히 새로운 것은 권력을 통제와 지배의 관점에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생산의 관점에서 보았다는 것이다. 곧, 푸코에 따르면, 권력은 인간을 통제하고 억압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유형의 인간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는 것이다. 孟子는 일찍이 힘으로 남을 복종시키는 覇道 政治와 德으로 남을 복종시키는 王道 政治를 구분하면서, 후자를 강력하게 내세웠다. 맹자의 이러한 王霸 구분은 政令과 刑罰로 다스리는 정치와 德과 禮로 다스리는 정치를 구분한 孔子의 言明에 이미 그 단초가 나타나 있다. 孔子의 언명을 孟子의 용어로 다시 표현한다면, 政令과 刑罰로 다스리는 정치는 覇道가 되겠고, 德과 禮로 다스리는 정치는 王道라 할 수 있다. 패도가 不善을 禁止하는 정치라면, 왕도는 善을 勸勉하는 정치이다. 孟子는 覇道를 철저하게 부정하고 전혀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孔子는 覇道의 수단을 次善으로서 일정하게 긍정했다. 荀子 또한 孔子의 생각과 같은 맥락에서, 王道와 覇道를 최선과 차선으로 분명하게 구별하면서도, 孟子와 달리 차선으로서의 覇道의 가치를 일정하게 긍정했다. 사실 孟子든 孔子든 荀子든 이들이 王道와 覇道를 구분한 본래의 의도는 君主의 專制 權力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고자 하는 것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孟子 이후 이 王覇論은 전 근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주도적인 유교적 통치 담론으로 작동하게 된다.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에 공히 실려 전하는 〈勿稽子〉에서 주목되는 지점은 儒者 談論과 隱者 談論 부분이다. 전형적인 유자 담론을 반복하는 물계자의 發言에서 우리는 유자 담론에 馴致된 인물 물계자를 새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유자 담론은 馴致된 臣下를 생산해 내는 권력 담론으로 작동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물계자는 이러한 유자 담론에 마냥 순치된 존재로 시종일관하지는 않는다. 군주가 자신을 알아주지 않을 때 물러나 은거하여 獨善其身하는 것은 儒者의 전형적인 出處 談論의 하나이다. 그러나 물계자가 선택한 것은 方內에서 方外로 아주 떠나가 돌아오지 않는 것이었다. 물계자는 馴致된 臣下 노릇 하기를 거부한 것이다. 여기서 보이는 隱者 談論은 儒者 談論과 아주 다른 것이다. 사실 전 근대 사회의 權力網에는 빈 공간이 적지 않다. 孟子 또한 일찍이 君主의 통치 지역 아래에 있다고 해서 누구나 다 그의 신하인 것은 아니며, 누구나 다 신하로 삼을 수 있는 것도 아님을 역설한 바 있다. 유자 담론은 대체로 권력에 봉사하는 담론으로 기능했지만 때로는 권력에 맞서는 저항 담론으로 작동하기도 했던 것이다. This thesis reevaluate East Asian Classics in the aspect of Foucault's Power, especially about discourse of power of Confucianism by analyzing texts of Confucius, Mencius and Xunzi. Furthermore, the author reviews the discourse of Confucianist and hermit in Korea described in Mulgaeja (勿稽子). Foucault’s power is not institution or structure, neither someone’s ability. It is force that is practiced and interacting among all kinds of social relationship. What’s new in Foucault’s theory is that he understood power in the point of view of production, not of regulation and domination. In other words, the power doesn’t suppress or control people. Rather, it creates certain type of subject. Mencius compared rule of right (王道 政治) and rule of might (覇道 政治), and strongly advocated the former. His theory originated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which distinguished government of righteous and ritual from that of law and punishment. While the rule of might prohibits wrong behaviors, the rule of right encourages good. Unlike Mencius who completely opposed against the rule of might, Confucius actually accepted it as second choice, and Xunzi agreed with him. The original intention of those three Confucian sages was to restrain autocracy, however, the matter of mighty or righteous ruling became the mainstream of Confucian political discourse after Mencius. In the story of Mulgaeja which is both inserted in Samguk Sagi (三國史記) and Samguk Yusa(三國遺事) shows the discourse of Confucianism and hermit. The statement of Mulgaeja repeats the stereotype of Confucian official where the power creates Confucian subject. Still, Mulgaeja is not someone who is entirely dominated by Confucian discourse. Even though a secluded life was a possible choice for Confucian, Mulgaeja’s retirement was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Confucian world and there was no return. He rejected to be a Confucian subject, and theer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discourse of hermit and Confucian. There is a lot of empty space in the discourse of power in premodern East Asia. Mencius himself also emphasized that not everyone in a king’s territory is his subject, and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everyone his man. Even though Confucian discourse mostly served for ruling power, sometimes it functioned as a discourse of resista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