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체기후도를 이용한 비오톱 유형별 환경 쾌적성 증진 방안 연구

        윤용한(Yoon, Yong-Han),주창훈(Joo, Chang-Hun),김정호(Kim, Jeong-Ho) 한국지역개발학회 2011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3 No.3

        This study analyzed weather characteristics for each biotope type and influential factors on outdoor temperature in the summer when thermal contamination is at its worst targeting Daedoek-gu, and suggested a management plan in thermal comfort aspect by using a bioclimatic chart. Impermeable area ratio for each biotope type was shown in orders of industrial area biotope(94.80%)>commercial area biotope(92.20%)>low floor residential area biotope (85.75%)>high floor residential area biotope(76.02%)>river biotope(2.35%)>forest biotope(0%). Meteorological element analysis was divided into daily maximum and daily minimum and conducted, and outdoor temperature, humidity, wind speed, globe temperature, and surface temperature were measured. Outdoor temperature at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was shown in orders of industrial area biotope(36.3℃)>commercial area biotope(35.5℃)>high and low floor residential area biotope(34.8℃)>river biotope(33.9℃)>forest biotope(30.4℃). Low humidity was created at high temperature region and high humidity was created at low temperature region, there was no special tendency in wind speed but it contributed to creation of outdoor temperature, and surface temperature and globe temperature were measured as same tendency as outdoor temperature. Outdoor temperature at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shown in orders of commercial area biotope(27.5℃)>industrial area and low floor residential area biotope(26.9℃)>high floor residential area biotope(26.5℃)>river biotope(26.6℃)>forest biotope(26.4℃), humidity was over 80%, and globe temperature was low temperature region with lowest value at forest biotope(26.8℃) and river biotope(26.7℃) that have strong wind speed.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level of affecting creation of outdoor temperature for each land cover type, impermeable cover area showed positive correlation(correlation coefficient of 0.608) for increase of outdoor temperature, and tree planting area had negative correlation(correlation coefficient of ?0.694). It was analyzed surface temperatur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21) and globe temperature(correlation coefficient of 0.790) had high interrelationship with change in outdoor temperature.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expansion of green and water permeable cover, inflow of air current, and application of a planting method that considered wind corridor as a means to enhance comfort for each biotope type.

      • KCI등재
      • KCI등재

        녹지의 배치와 식재형태가 열환경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

        윤용한(Yong-Han Yoon)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7 No.4

        본 연구는 녹지의 배치와 식재형태가 기온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밝혀졌다. <br/> 1) 녹지의 기온분포도로부터 고온역은 주변시 가지에서, 저온역은 각 녹지내의 식재지주변과 소하천주변에서 확인되었다.<br/> 2) 녹지의 배치와 기온과의 관계를 보면, 저온역은 각 녹지와 거의 일치하고 녹지간 시가지 및 풍하쪽에도 저온역이 형성되었다. <br/> 3) 녹지간 시가지와 기온과의 관계를 보면 저온역은 풍하쪽 시가지뿐 아니라 녹지간 시가지에서도 나타났다. 또한, 풍상쪽에 녹지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도 녹지간 시가지는 주변시가지보다 낮은 기온이었다. <br/> 4) 토지피복비율과 기온에서 식재지, 초지 및 수면이 증가하면 모두 기온저감에 효과적이고, 나지의 증가는 기온상승에 효과적이다.<br/> 5) 교목, 소교목의 순으로 그 그루의 증가는 기온저감에 유효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이 파악되었다. Temperature lowering effects varied by the arrangement and types of vegetation The effects of the arrangement and types of vegetation on lowering temperature have shown following results.<br/> 1) The temperature range of a vegetation shows that a higher temperature was recorded near urban towns while lower temperature was observed around the vegetation area and small streams.<br/>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rangement of a vegetation and the temperature indicates that the lower temperature area matches with each vegetation area. Streets between vegetations and the lower end of the wind area have also lower temperature.<br/> 3)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vegetationstreets and the temperature indicates that the lower temperature area has been observed not only at the streets of the lower end of the wind but at the streets in-between streets as well. Even when there's no vegetation area from which the wind blows, inter-vegetation streets showed the lower temperature.<br/> 4) With land coverage ratio and the temperature, the increase of planted areas, grass areas, and water level have positive effects on lowering the temperature while bare areas increase it.<br/> 5) From arbor to sub-arbor, the increase of tre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owering the temperature of nearby area.<br/>

      • 큐브형 미세물분사에 따른 수직적 미기상 변화 연구

        윤용한 ( Yong-han Yoon ),김정호 ( Jeong-ho Kim ),송원석 ( Won-seok Song ),김학기 ( Hag-ke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전 지구적으로 기후환경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면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국립기상연구소는 온실가스 배출시나리오인 RCP 8.5 및 RCP 4.5에 따라 21세기 말에 한반도 평균기온은 각각 6.0℃ 및 3.4℃ 상승할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2050년 폭염은 현재보다 약 3배, 열대야는 약 6배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더불어 최근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Climate Change, IPCC)은 2014년 5차 보고서를 통해 향후폭염과 기후변화의 연결고리가 점차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2008년 기상청 ‘폭염특보제’ 시작 이래 지난 2012년 7, 8월에는 폭염경보가 발령돼 무려 14일간 지속됐으며, 온열환자 2명이 사망하였다. 이와 같이 폭염은 일반적으로 기상재해 중 물리적 시설 또는 재산 피해보다 인명피해가 더높게 나타난다. 폭염을 포함한 기후변화에 의한 사망자가2000년의 경우 15만 명에 달하였으며 2030년에는 3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세계보건기구는 추정하고 있다. 이러한 폭염과 같은 기후재해를 해결하고자 국소적인 기온저감 등과 같은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고 있으나 필요 시 즉각적인 기온저감 및 열환경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큐브형 미세물분사 적용에 있어서 증발잠열을 통한 수직적 기온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기후재해대응 증발냉각시스템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충주시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녹색기술융합학과 전공실습장에서 실시하였으며 2016년 3월부터 8월까지 진행하였다. Test-Bed는 가로, 세로 5m, 5m큐브형으로 제작하였으며, 높이 1.5m(이하 Type A), 2.5m(이하 Type B), 3.5m(이하 Type C)로 구분하여 설치하였다. 물분사노즐의 규격은 0.08㎜/min으로 Test-Bed 상단의 사방위에 중심부를 향하도록 설치하였다. 측정위치는 설치유형에 따라 바닥면부터 0m(이하 H<sup>1</sup>), 0.3m(이하 H<sup>2</sup>), 0.5m(이하 H<sup>3</sup>), 0.7m(이하 H<sup>4</sup>), 1.0m(이하 H<sup>5</sup>), 1.5m(이하H<sup>6</sup>), 2.0m(이하 H<sup>7</sup>), 2.5m(이하 H<sup>8</sup>), 3.5m(이하 H<sup>9</sup>)에서 수직적 기온변화와 큐브형 증발냉각시스템 내부 및 외부의 지상 1.5m에서 기상요소를 측정하였다. 조사분석 항목으로는 수직적 지점별 기온을 측정하였으며, 내·외부 간 비교를 위하여 기온, 풍향, 풍속, 상대습도, 일사량을 조사하였다. 큐브형 증발냉각시스템의 내·외부 간 기온의 경우 내부가 외부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풍속의 경우 특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일사량은 분사지점이 높아질수록 내부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상대습도의 경우 미세물입자를 분사하는 내부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Type A의 수직적 기온변화를 분석한 결과, 대상지 내기온이 H<sup>5</sup> > H<sup>6</sup> > H<sup>3</sup> > H<sup>1</sup> > H<sup>2</sup> > H<sup>4</sup>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1.5m에서 미세물분사 노즐이 Test-Bed 중심부로 향하여 분사됨에 따라 분사높이와 동일한 H<sub>6</sub>지점보다 H<sub>4</sub>지점에서 증발냉각효과가 극대화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Type B의 수직적 기온변화는 H<sub>1</sub> > H<sub>3</sub> > H<sub>2</sub> > H<sub>5</sub> > H<sub>4</sub> > H<sub>6</sub> > H<sub>7</sub> > H<sub>8</sub> 순으로 조사되었다. H<sub>8</sub>지점에서 H<sub>6</sub>지점으로 낮아질수록 기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후 H<sub>5</sub>지점부터 H<sub>2</sub>지점에서는 수직적인 변화에 따른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H<sub>8</sub>지점에서 분사된 미세 물입자가 H<sub>6</sub>지점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Type C에서는 H<sub>1</sub> > H<sub>3</sub> > H<sub>2</sub> > H<sub>4</sub> > H<sub>7</sub> > H<sub>9</sub> > H<sub>6</sub> > H<sub>5</sub> > H<sub>8</sub>의 순이었으며, 수직적변화에 따라 기온변화의 경향을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분사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대류현상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의 스프링 절손시 그에 미치는 영향

        윤용한(Yonghan Yoon),김낙경(Nakkyung Kim),김태수(Taesoo Kim)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전기철도 시대에 있어서 전기차의 팬터그래프와 직접 접촉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로는 매우 중요한 설비이다.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는 온도 변화에 따라 변하는 전차선의 장력을 스프링 탄성의 이용으로 일정한 크기로 유지하여 전기차의 집전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는 기존 활차식 장력조정장치에 비해 유지보수비가 대폭 절감되는 장점으로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는 사용하는 스프링의 형태에 따라 코일 스프링식과 판 스프링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코일 스프링식 장력 조정장치와 판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를 비교, 분석한다. 또한, 각각의 스프링식 장력조정장치를 구성하는 내부의 스프링이 절손되었을 경우를 상정하여 장력조정장치의 성능 변화를 분석하고, 이 변화가 가선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The overhead contact line equipment, which feeds traction power to the electrical locomotive by contacting with the pantograph directly, plays important role in the train electrification system. The spring type automatic tensioning device(ATD) improves the current collecting performance of the train by maintaining the contact line tension varying due to temperature change at a constant level by spring elasticity. Thus, the spring type ATD is widely utilized due to its remarkable merit of low maintenance cos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heel type ATD. Depending on the shape of spring, the spring type ATD can be categorized in coil type and spiral type. Hence,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coil type ATD and spiral type ATD. Moreover, presuming breakage of the internal spring for each spring type ATD,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variation of the ATD, and by which the affection on the catenary system is to be reviewed.

      • KCI등재

        The Global Movement of Narrative based VR Moving Image Contents Productions and The Problem Solving Alternatives

        YOON, YONG AH(윤용아)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6 영상기술연구 Vol.- No.25

        2009년도에 영화 〈아바타〉의 세계시장 강타를 전후로 3D 영상의 세계적 관심은 뜨거웠고 대한민국도 예외는 아니었다. 3D 영상이 마치 차세대 영상시장을 대체할 유일한 포맷인 듯 전 세계는 3D관련 장비와 시설에 대한 투자와 콘텐츠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로부터 불과 7년여가 지난 현재 3D를 거론하는 영상업계종사자는 극히 드물고 360도 3D VR을 거론하는 사람들이 주를 이룬다. 페이스북(Facebook)의 창시자 마크 주커버그(Mark Zukerberg)가 VR 헤드셋 개발업체인 오큘러스(Oculus)를 이십억 달러라는 거금을 주고 인수한데에는 이유가 있다. 2015년도 중국의 VR업계 시장규모가 한화로 약 2618억 원이나 되는 데에도 이유가 있다.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열풍이 사그라졌다. 기업들은 지속적인 이윤을 창출할 차세대 영상시장이 필요한데 3D는 그것을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그들은 이제 VR시장에 주목한다. VR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지 3D처럼 침체기를 맞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미래 영상시장점유를 위해서는 그것에 대비해야만 한다. 현재 스포츠, 게임, 쇼핑, 여행, 부동산, 건축, 의료 등의 분야에서 VR은 상당히 자리를 잡고 있고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이 논문은 그 중에서도 내러티브를 베이스로 한 360도 VR 동영상 콘텐츠의 제작과 동반되는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한 대안들을 제시한다. 그것을 위해 이 논문은 최신의 VR 촬영과 디스플레이장비의 소개와 함께 장단점을 기술하고 현재까지 제작된 내러티브베이스 VR콘텐츠의 결과분석을 토대로 무엇이 최선인지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기술적인 대안은 기술의 진보와 개발이 선행되어야만 해결되는 것들도 있지만 현시점에서도 해결할 수 있는 연출적인 부분들이 있기에 그것들에 대해 짚어보고 미래 영상시장의 흐름에 대비하자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