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영득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2 공공경제 Vol.7 No.2
본 논문에서는 제품차별화의 정도가 내생적으로 결정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맥에서 시장경쟁의 2단계 내쉬균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최적 제품차별화보다 더 심화된 제품차별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밝혔다. 이 경우 어느 한 제품에 대한 세금부과는 제품차별화를 중앙의 방향으로 이전시키며 복지증진적일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 원리를 적용하여 개방경제의 경우에 상대국 차별화제품의 수입에 대한 관세부과는 모국의 제품차별화 방향을 중앙의 방향으로 이전시키며 복지증진적일 수 있다. 차별화된 제품에는 보완적 재화가 동행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보완적 재화의 생산에 규모의 경제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 효과가 발생하므로 추후 연구 과제로서 이러한 시스템 효과를 고려하여 제품 차별화를 연구하면 좋을 것이다.
The Advance of Information Society and Wage Inequality
윤영득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5
We analyze the consequence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the increase of skilled labor, the increase of knowledge-based service trade in the advanced country. The analytical consequences are as follows: The traditional Stolper Samuelson Theorem applies in our model even though economy of scale exists through fixed factor cause and intra-industry trade, not just the inter-industry trade, is allowed. Thus when the relative factor endowments are different between the trading partner countries, the increase of knowledge-based service trade results in the increase of wage inequality but the rational for that is similar with Stolper-Samuelson theorem unlike Yoon(2002).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itself does not change the wage inequality. However, the skilled-labor biased technological change, preferential change toward technology goods and the increase of skilled labor are likely to happen along the advance of information society. These changes affect the wage inequality. Thus if the adv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creases the wage inequality, it is because the effects of skilled-labor biased technology and preferential change toward technology goods together dominate the effect of skilled-labor increase along the advance. Therefore it is the educational policy i.e., the increasing the skilled labor enough that can diminish the wage inequality along the advance of information society.
윤영득 한국산업경제학회 2012 산업경제연구 Vol.25 No.1
문화산업은 수도권과 같은 중심지역이나 혹은 어느 특정한 지역에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고 광범위하게 분포된 많은 지역에서 특별한 관심과 육성을 해나가야 하는 21세기의 전략 산업이다. 그러나 문화산업의 혁신 잠재력은 여전히 대부분 수도권에 그리고 일부가 대도시권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문화산업을 육성시키려면 서울과 수도권 만 아니라 지역의 대도시권 및 다양한 지역권 간에 연계 구조를 갖게 하며 수평적 네트워크 그리고 상호교류와 협력의 시스템을 갖게 하여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화산업 클러스터를 복잡계 디지털 경제생태계로 이해하여 문화산업의 구조적 원리와 경쟁력 구조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산업의 전략적 발전을 위한 문화산업 클러스터 정책을 지역적 차원과 더불어 전국적 차원에서 제시한다. Cultual industry plays important role not just in central area like capital area or some specific region, but in many local areas broadly-spread, They induce strategic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with special interest. But the innovation potentialities of the cultural industry are concentrated mostly in capital area and some big city areas. Therefore, to develop cultural industry in national dimension, connecting structure should be set up not just inside capital area but also among regional big city area and various areas, the system of horizontal network, mutual interaction and cooperation. Recently, the advance of complex digital economic ecosystem, along with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s changing national innovation system into modular industry innovation system, especially in cultural industry. Therefore, understanding the cultural industry cluster as complex digital economic ecosystem, coevolution inside clusters and among them in national dimension should be induced. Policy like this should be basic framework in the regional cultural industry policy in national dimension.
윤영득 한국사회법학회 2020 社會法硏究 Vol.0 No.40
실업급여 부정수급은 보험재정 누수는 물론 정당한 수급권자나 사회취약계층의 권리를 박탈하게 된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부정수급을 범죄로 인식하여 처벌을 강화하고 위반에 대해서 지급제한, 반환 및 추가징수 외에 형사처벌까지 부과하고 있다. 그러나 부정수급 원인은 빈곤착오에서부터 지능적이고 조직적인 범죄행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므로,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이라는 다소 추상적인 구성요건에 해당하면 부정수급의 발생 원인을 불문하고 행정적 제재(지급제한, 반환, 추가징수)외에 형사처벌(징역・벌금)까지 부과하도록 일률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사회안전망이라는 실업급여제도의 정책목적을 달성하는데 효과적일지 의문이다. 따라서 고용보험법에 실업급여 부정수급의 행위 유형을 구체화하고 부정수급 원인에 따라 제재기준을 달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구체적 방법으로는 단순한 착오나 빈곤에 의한 부정수급은 행정적 제재로 규율하고, 지능적이고 조직화된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지급제한, 반환, 추가징수 외에 형사처벌도 부과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형사처벌과 관련해서는 지금처럼 고용보험법과 형법에서 동시 규정하여 행위의 가벌성을 높일 것인지, 고용보험법은 행정적 제재에만 그치고 형사처벌은 형법에서 규율할지 등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Unemployment benefits are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at they will deprive legitimate beneficiaries 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of their rights as well as a leak in insurance finances. In response, the nation recognizes illegal payment as a crime and strengthens punishment and imposes criminal punishment in addition to restrictions on payment, returns and additional collection for violations. However, the causes of fraudulent payments range from poverty and error to intelligent and organized criminal acts. Therefore,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would be effective to achieve the policy objective of the unemployment benefit plan, called the social safety net, to stipulate uniformly that criminal penalties (punishment, fines) other than administrative sanctions (restrictions on payments, returns, and additional collection) should be imposed without asking the cause of fraudulent payment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pecify the type of act of irregular payment of unemployment benefits in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and to apply the sanction criteria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ason for the negative payment. In a concrete way Illegal collection by simple errors or poverty would be regulated by administrative sanctions, and criminal penalties could be imposed in addition to restrictions on payment, returns and additional collection for intelligent and organized criminal acts. Especially With regard to criminal punishment, further discussion will be needed on whethe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unishment by simultaneously stipulating it in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and the Criminal Law, as it is now, and whether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will only lead to administrative sanctions and criminal punishment will be regulated in the Criminal Law.
윤영득,이지하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8 국제지역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esire for re-employment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and to find out whether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Policy is effective for employment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To this end, the effects of awareness, effectiveness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work - family reconciliation support policies on the desire for re-employment of career-discontinued women were analyzed.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nd suggestions for preventing career disruption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fluenced the desire for re-employment of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Therefore, various reemployment policies through self-esteem, achievement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career counseling, etc. Second, awareness and effectiveness of Work-Family Balance Assistance Policy influenced re-employment desi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ggressively expand the support policy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for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Third, the perception of support for work - family reconciliation was highest in elementary school after care class. It is necessary for the elementary school after-school care classroom to improv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are services so that there is no gap in care, 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labor supervision of local labor offic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re-and post-maternity leave system. Fourth, in the present study, the utilization experience of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re-employment desire of career-separated women. This may mean that the system is not settled properly in the industrial field, so policy and academic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the work support policy.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이경력단절여성의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가정양립지원정책에 대한 인지도, 효과성 인식 및 이용경험이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 및 경력단절을 예방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는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성취동기 향상 프로그램, 직업상담 등을 통한 다양한 재취업정책이 재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일가정양립지원정책 인지도와 효과성인식이 재취업욕구에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경력단절여성을 위해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을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할 것이다. 셋째, 일가정양립지원정책 인지도는 초등방과후 돌봄교실이, 효과성인식은 출산전후휴가제도가가장 높았다. 초등방과후 돌봄교실은 돌봄서비스를 양적·질적으로 개선하여 돌봄의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고, 지방노동관서의 근로감독을 강화하여 출산전후휴가제도의 실효성을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일가정양립지원정책 이용경험은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욕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산업현장에서 제도가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의 이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학문적 노력이 절실히요구된다.
윤영득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3
Environment a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in the change of social economic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ype. Under the background of this kind, we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economy and, on the base of it, investigated the strategy of environment art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We have taken the approach of cultural ecology, described the advance of environment art, and emphasized the place-marketing through the environment art. We also analyzed the strategy of environment art for regional development as follows. Firstly, Environment art should take the cultural ecological viewpoint, and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of every value of scocial, political, economical, cultural aspects, form the one content through making political, historical, social, and economical contexts infiltrate into it. Secondly, as creating process which makes concrete imaginative power directly on the spot, envirnment art should pursue field art, producing creative experience. Thirdly, under the culture of new media era, environment art for regional development should solve the field boundary, mix, contrast heterogeneous and diverse elements among the fields and search for new break-through. Conclusively, environment art should reborn as a new strategy of regional development in the era of glocalization.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와 새로운 문화형식의 발전 가운데서 환경예술은 지역발전에 있어서 중대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본고에서는 문화와 경제의 관계를 설명하고 그에 기반하여 지역발전을 위한 환경예술전략을 고찰하였다. 이를위하여 문화생태적 접근을 기반으로 하여 환경예술의 진전을 정리하고 환경예술을 통한장소마케팅을 강조하였다. 또한 지역발전을 위한 환경예술 전략을 분석·정리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환경예술은 문화생태적 관점을 수용하고 사회·정치·경제·문화적인 모든 측면들의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치적·역사적·사회적·경제적 정황(contex)을 스며들게 하여 하나의 내용물(content)를 형성하여야 한다. 둘째로, 상상력을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구체화하는 창작과정으로서, 그리고 창작경험의 연출로서 현장예술을 추구하여야 한다. 셋째로, 뉴미디어 시대의 문화 속에서 지역발전을 위한 환경예술은 궁극적으로 영역경계를 해체하고 장르간의 이질적이고 다양한요소들을 서로 혼합·대립시킴으로써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내야 한다.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첫 혈액투석 시작 시 동정맥루 대신 카테터를 사용한 원인 분석
윤영득,김건현,최희정,이현직,이덕현,김성호 대한신장학회 2005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4 No.6
Purpose:Placement of an arteriovenous fistula (AVF) before initiation of chronic hemodialysis (HD) is recommended to avoid the use of a dialysis catheter. However, many patients use temporary catheter at the start of HD for many reasons. We conducted a study to examine the reasons for use of temporary catheter instead of AVF at initial HD therapy. Methods:We investigated 61 chronic renal failure (CRF) patients who started HD from January 2001 to August 2004 at Daegu Fatima Hospital. Fourty one of them used temporary catheter (catheter group) and 20 used AVF (AVF group) at initial HD. The causes of CRF, clinical presentation at initial HD, reasons that required start of HD and reasons for use of temporary catheter were investigated. Results:The reasons that required start of HD were dyspnea (23), uremic symptoms (11), severe edema (4) and metabolic abnormalities (3) in catheter group and uremic symptoms (8), progression of CRF with minimal uremic symptoms (8) in AVF group. Those causes of unpreparedness of AVF in catheter group were delayed referral (12), rapid progression of CRF (12), unawareness of CRF (10), and noncompliance (7).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higher in catheter group than AVF group (171.3±33.5 vs 146.0±18.0 mmHg, 94.0±18.5 vs 80.6±10.8 mmHg, respectively). Serum albumin level was lower (3.0±0.6 vs 3.4±0.7 g/dL) and serum phosphorus level was higher (6.8±1.9 vs 5.7±1.7 mg/dL) in catheter group. Conclusion:To avoid temporary vascular catheter, early diagnosis of CRF, early referral to nephrologist and preparation of AVF is essential. 목 적:동정맥루는 혈액투석을 시작하기 위해 필수적이나 여러 원인으로 카테터를 통한 응급 혈액투석으로 신대체요법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동정맥루를 확보하지 못하고 카테터를 통해 응급 혈액투석을 시작한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1년 1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대구 파티마병원에서 혈액투석을 처음 시작한 환자 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카테터로 투석을 시작한 환자 (카테터군)는 41명이었고 동정맥루로 투석을 시작한 환자 (동정맥루군)는 20명이었다. 두 군의 투석 시작 당시 임상 양상과 카테터군에서 응급 혈액투석이 필요했던 원인과 동정맥루를 준비하지 못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 과:카테터 군에서 응급 혈액투석이 필요했던 증상은 호흡곤란 (23예) 요독증 (11예), 심한 부종 (4예), 대사 이상 (3예)이었다. 동정맥루를 준비 못한 원인은 지연 의뢰 12명 (투석 시작 전 <6개월), 만성신부전의 급성 악화 12명, 투석 시작 당시 처음 신부전 진단 10명, 투석 권유 불응 7명이었다. 카테터군에서 동정맥루군보다 수축기 (171.3±33.5 vs 146.0±18.0 mmHg) 및 이완기 혈압 (94.0±18.5 vs 80.6±10.8 mmHg)이 각각 높았고, 혈청 알부민 농도는 낮았으며 (3.0±0.6 vs 3.4±0.7 g/dL), 인 농도는 높았다 (6.8±1.9 vs 5.7±1.7 mg/dL). 결 론:카테터 삽입을 통한 응급 투석 시작을 피하기 위해서는 신부전 환자의 조기 발견 및 조기 의뢰와 투석 전 적절한 치료 및 동정맥루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