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상 저작권 침해 시 형사상 처벌에 대한 검토- 저작권 교육조건부 기소유예제도를 중심으로-

        윤시온,김병주 한국저작권위원회 2013 계간 저작권 Vol.26 No.4

        저작권법은 온라인 콘텐츠를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다운로드 받거나 업로드 하는 저작권 침해자에게 일정한 형사적 조치를 부과하고 있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이 규정이 저작자의 권리 보호가 아니라 법조인들의 합의금 장사의 근거규정으로 전락하게 되자 ‘저작권 교육조건부 기소유예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첫째, 헌법⋅형법의 기본원칙 중 하나인 무죄추정의 원칙에 반한다는 점과 둘째, 저작권 교육조건부 기소유예제의 실효성이 낮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미국, 프랑스, 일본, 독일의 저작권의 형사상 처벌과 범죄율과의 관계, 각 국가들의 온라인 상 저작권 침해에 대한 규정을 비교법적으로 검토한 후 결론으로써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 대안으로 첫째, 정규교육과정에 편입하는 저작권 인식 교육, 둘째, 저작권 침해유형을 구체적으로 적시한 저작권법 개정, 셋째, 한국형 ‘저작권 침해 경고 제도’ 운영, 넷째, 온라인 콘텐츠의 복제 보상금 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우리글 읽기에서 낱말빈도와 길이가 눈의 움직임에 미치는 효과

        윤시온,강원석,안진웅,고성룡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2 No.2

        이 연구에서는 우리글 읽기에서 낱말빈도와 길이가 눈의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소설을 읽을 때 측정한 어절단위의 안구운동 자료에 대해 회귀분석을 했다. 낱말빈도는 어절/낱말에 처음 눈이 고정하여 머문 시간인 첫고정시간, 한 어절/낱말에 눈이 단 한 번 고정했을 때 머문 시간인 단일고정시간, 낱말/어절에 눈이 착지한 이후 그 어절/낱말을 벗어나기 이전까지 머문 고정시간들의 합인 주시시간 모두를 예측했고, 어절길이는 단일고정시간과 주시시간을 예측했다. 하지만 낱말빈도와 어절길이간의 상호작용은 고정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연구 2에서는 낱말빈도와 길이를 조작한 요인설계 실험을 했다. 첫고정시간과 단일고정시간에서는 표적낱말 빈도가 높을수록, 고정시간이 짧았다. 주시시간에서는 낱말빈도와 길이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모두 관찰되었으나 단일고정시간에서는 상호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표적 다음 낱말에서 얻은 고정시간이 표적낱말이 짧은 경우에는 길고 긴 경우에는 짧은 흥미로운 결과도 관찰되었다. 연구 1과 2에서 얻은 결과들은 글 읽기에서 보이는 안구운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최근 모형의 맥락에서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length effect on eye fixation in Korean reading using eye-tracking. In study 1, the eye movement data collected during reading a novel were analyzed with regression analysis on a word cluster(eojeol). Frequency predicted first fixation time, single fixation time and gaze duration on eojeols and length predicted single fixation time and gaze duration. However, interaction between two variables, frequency and length, did not predict any fixation times. In study 2, the experiment factorially designed with word frequency and length was carried out to compensate for a limitation of study 1, using eojeol items, not words. First fixation time and single fixation time were shorter in high-frequency words than in low-frequency words. On gaze duration,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word frequency and length, and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reverse length effect on the next word of the target. The results from study 1 and 2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models of eye movement control in reading.

      • KCI등재후보

        유전자 변형 작물 성분 검출용 PCR Kit의 성능 평가 연구

        윤시온(Si On Yun),정순천(Soon-Chun Jeong),윤원기(Won Kee Yoon),박상규(Sangkyu Park),문제선(Jae Sun Moon),이정현(Joung Hyun Lee),김환묵(Hwan Mook Kim) 한국독성학회 2004 Toxicological Research Vol.20 No.2

        유전자변형작물의 이점과 잠재적 위해에 관한 다른 사회적 인식은 각국에서 다른 반응을 유발시켜왔다. 한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는 새로운 규제를 제정하기 위해 부심히고 있다. 한국은 최근에 3% 이상의 유전자변형작물 혼입을 포함하는 모든 식품에 표시제를 실시하였다. 유전자변형작물 혼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검출하는 방법의 하나는 PCR에 의한 도입 DNA의 증폭이다. 이 목적을 위한 많은 PCR kit가 시판되고 있어, 본 연구는 이들 상업화된 유전자변형작물 검출 kit의 성능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이들 15개 kit 중 6개는 안정성, 재현성 및 검출 한계의 측면에서 제작사 스스로 제시한 요구조건도 충족하지 못하여 이들 kit의 개발 및 생산 단계에서 품질관리에 문제점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시험은 또한 duplex와 triplex 검출 kit가 단일 PCR 반응에서 명백한 검출을 보장할지라도, monoplex 검출 kit의 검출 능력이 가장 높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kit들은 콩과 옥수수 사이에서 다른 검출 한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GM 작물의 재배, 국가간 이동, GM 작물을 사용한 식품 생산 과정의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GM 작물과 관련한 정부의 법규를 준수하기 위한 GM 작물의 혼입의 건전한 과학적 추적체계의 개발에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different social reflections about the benefits and the<br/> potential risks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have evolved with different reactions in different countries. Many countries<br/> including Korea are working toward setting down new guidelines. Korea requires companies to label all food that contains more than 3% GM ingredients. One of the rapid and convenient detection methods of GM ingredients is amplification of the introduced DNA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any PCR kits for this purpose are commercially availab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erformance of commercialized GM crop detection kits. The results showed that 6 out of 15 kits tested did not meet the requirements even purposed by the manufacturers themselves in terms of stability, reproducibility, and detection limits, suggesting a potential quality control problem in their design stage or<br/> production line. The evaluation also suggests that, although the duplex and triplex detection kits allowed unambiguous detection in a single PCR reaction, the monoplex detection kits were the most sensitive to the detection of GM ingredients. The detection limits also differ between soybean and corn.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sound qualitative tracking systems of GM ingredients for monitoring throughout the cultivation of GM crops, their transboundary movement, and food production using GM grains as well as for complying with government guidelines associated with GM crops.

      • KCI등재후보

        유전자 변형 작물 성분 검출용 PCR Kit의 성능 평가 연구

        윤시온(Si On Yun),정순천(Soon-Chun Jeong),윤원기(Won Kee Yoon),박상규(Sangkyu Park),문제선(Jae Sun Moon),이정현(Joung Hyun Lee),김환묵(Hwan Mook Kim) 한국독성학회 2004 Toxicological Research Vol.20 No.1

        The different social reflections about the benefits and the potential risks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have evolved with different reactions in different countries. Many countries<br/> including Korea are working toward setting down new guidelines. Korea requires companies to label all food that contains more than 3% GM ingredients. One of the rapid and convenient detection methods of GM ingredients is amplification of the introduced DNA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Many PCR kits for this purpose are commercially availab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erformance of commercialized GM crop detection kits. The results showed that 6 out of 15 kits tested did not meet the requirements even purposed by the manufacturers themselves in terms of stability, reproducibility, and detection limits, suggesting a potential quality control problem in their design stage or production line. The evaluation also suggests that, although the duplex and triplex detection kits allowed unambiguous detection in a single PCR reaction, the monoplex detection kits were the most sensitive to the detection of GM ingredients. The detection limits also differ between soybean and corn.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sound qualitative tracking systems of GM ingredients for monitoring throughout the cultivation of GM crops, their transboundary movement, and food production using GM grains as well as for complying with government guidelines associated with GM crops.

      • KCI등재

        The Markedness of Metalinguistic Negation: An Eye-tracking Study

        노은주,고성룡,윤시온 한국언어학회 2012 언어 Vol.37 No.2

        This paper is a preliminary research on the interpretation process of metalinguistic negation (or MN) as opposed to descriptive negation (or DN), using an eye-tracking method.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MN is marked and takes more processing effort than DN. However, there has been no experimental evidence to confirm this assumption.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two eye-tracking experiments using Korean negative sentences. Experiment 1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time of the clarification clause of an M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clarification clause takes longer to process when the preceding negation is interpreted as an MN than when it is interpreted as a DN. We conclude that negation tends to be interpreted descriptively on a first pass, and when that DN interpretation turns out to be wrong, it is reanalyzed as an MN on a second pass. Experiment 2 was designed to examine the processing time of an MN when the clarification clause is provided before the negative clause. The results showed that MN takes more processing time than DN, even when the clarification clause is given in advance. The results of these two experiments confirmed the markedness of MN.

      • KCI등재후보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희순(Hee Soon Yang),윤시온(Si On Yun),강수빈(Su Bin Kang),장예지(Ye Ji Jang),김수정(Su Jeong Kim)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8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1 No.2

        현대 사회에 공유경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및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패션 제품에 대한 렌탈 서비스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패션 렌탈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렌탈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초기연구로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 렌탈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이다. 20,30대 여성을대상으로 215개의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기술통계, 요인분석, 군집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이 수행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첫째, 패션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 사교추구, 가치추구 3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패션 라이프스타에 따른 패션 렌탈 서비스 이용의도의차이는 트렌드 추구 집단과 사교가치 추구집단의 이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여 패션 렌탈 서비스의 전략을 시행해야 한다. As the awareness of the shared economy has increased in the modern society, the rental service phenomenon has emerged not only for automobiles and household appliances but also for fashion product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onsumer research on this fashion rental serv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Our 215 data were collected for wome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r the analysis, SPSS 24.0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shion lifestyle was extracted with three factors: pursuit of trend, pursuit of value and a social pursuit. Second, the fashion lifestyle was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a trend-seeking group, an apathy group and a social value-seeking group. Finally, According to the fashion lifestyl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use the fashion rental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fashion lifestyle of consumers to increase usage intention of fashion rent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hion lifestyle 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fashion service and to present strategic direction of fashion rental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