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ession 4. Arts & Sciences ⅰ : ■ Speech 1: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을 적용한 한국창작무용 활성화 연구

        윤덕경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인류무형문화유산은 유네스코에서 세계 각국의 문화유산을 보존 재생하기 위하여 무형유산을 보존 하며 전 세계 인류가 공동으로 보존해야 할 중요한 역사적·학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세계적 유산을 의미한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무형문화유산을 보유한 국가는 해당 유산이 자국의 유산임에 동시에 전 인류가 공동으로 보호해야 할 유산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철저한 보호책임을 지게 되어 있다. 무형문화재로 유네스코에 등재된 문화유산은 인류 보편적 가치에 기여하는 각 나라 지역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지역의 정체성과 관련 되며 지역의 정체성은 과거로부터 이어져 오늘에 이르고 미래로 나아갈 전통에서 비롯된다. 전통은 단순히 지난날의 가치를 되살리는 일만 아니라 앞날에 대한 책임감을 절실히 깨달아 과거를 회복하려는 노력이며 새로운 문화를 이어가기 위한 예비적 탐구이기도 하다(윤덕경, 2004,101쪽). 무형문화재를 보존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하는 일은 과거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독창적이며 끊임없이 새로워지는 오늘에 영향을 주는 과정이다. 무형문화재는 형태가 없는 만큼 오늘 이해되는 모습의 원형은 보존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만 특정한 형태로 고정시키려는 것은 창조적 계승을 저해하는 일이다. 자기의 감정과 사상 따위를 독창적으로 나타내는 창작무용에 있어 독창적 개인은 자신을 지금에 있도록 가능하게 한 ``나``라는 정체성이며 나를 국가나 민족에 비유하면 그 나라의 전통이며 전통의 한 면모로써 특히 무형문화재는 그 나라의 독특한 개성을 나타내는 정체성으로 창작무용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 발표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와 특수성을 지닌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의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현재 한국창작무용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보다 적극적인 활성화를 위한 가능성을 연구하자 한다.

      • KCI등재

        獅子춤에 나타난 象徵性

        尹德傾 한국무용연구회 1991 한국무용연구 Vol.9 No.-

        This study was first started from a wish to put in order the transitional processes of Lion Dance upon tracing it to its origin, then, again, to study what symbolic expressions it has brought forth when entering into the royal court, and, then finally, to inquire into the religions and ideological symbolic nature of it that would have been tried to be represented by some imitation of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 and property unique to the animal. Finding from the study are : it remains as a form of folk dance in a wide range that may include more than the Asian regions, in our country, the lion dance that was conventional in India was imported via China in the Age of Three Kingdoms to be Koreanized, an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ransitions of the times, finally into a form of the dance that was played in the royal court once in the last period of the Yi dynasty; and, the forms of it that have survived up to the present may include the Chouchimadang of Hawhaipyolsingua, Pukchung Lion Play, Mask Dance of the form of the West Sea, Ohkwangdai of the form of the Youngnam, and the Lion Kwachang as a kind out of domination. The religions symbolic nature of Lion Dance may be seen possessing several modes chiefly as those of such symbolism that would expel evil and got out disaster-:more concretly, first, the case the lion itself becomes to be deified to got out of the objects which are generally imagined as symbols of the human disasters, second, the case the lion appears to be the symbol of the human disarter and to be killed by a hunter who is human, hence representing a farming ceremonial characteristic of a primitive form that prays for a good harvest. While, meanings about the directions of colors are suggested in the form of Lion Dance that entered to the royal court as miscellaneous drama: the east is seen, in the sense of folk color, blue, and the west is dark blue it is also seen in the literary that it has been changed in conformity to the variation of the times.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more studies upon the symbolism of the movement and Sawi of Lion Dance and upon other dances that imitate animals other than the lion would be required.

      • KCI등재

        여자청소년 성보호 관련법의 현황과 과제

        윤덕경,박현미,장영아 한국소년정책학회 2003 少年保護硏究 Vol.- No.5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sexual protection related laws and the future tasks The youths are exposed to the various types of crimes such as sexual violence, sex bartering, juvenile using obscene material, and there should be for more active policy-making on sexual protection for the adolescents. In particular, the influx to the sexual service industry of girl students, and the sex bartering through the internet and mobile phones show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s of juvenile sex bartering. The 'Juvenile Sex Protection Act' was enac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juvenile sex bartering for the adolescents in 2000, and the regulations on the juvenile sex bartering is also provided in part in the criminal code. Therefore, this article explored to identify how the regulations on the related laws are specified and to examine what are the issues of critical concern of these regulations. And it aimed also to reveal the measures to raise effectiveness in implementing the law to realize the goals of laws which has the purpose to protect the sex of the adolescents. This included the issues for its legal improvement, the active application of 'protection disposition' for the target youths, and creating projects for the sound sexual culture etc.

      • 성폭력 판례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과 개선과제

        윤덕경,김차연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5 이화젠더법학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여성폭력범죄 중 성폭력범죄에 그 대상을 한정하여 성폭력 판례의 쟁점 변화와 내용 분석을 하고자 한다. 성폭력에 관한 성 편견이나 남성 중심적인 사고를 하는 경향은 「형법」이 제정된 1953년 이래로 아니 그 이전부터 사회문화적 관념으로 존재해 왔으며, 법을 집행하거나 해석하는 사법기관 담당자들의 인식에도 영향을 주었고, 판례도 그 영향을 받게 된다. 판례는 추상적인 법률을 구체적인 사례에 적용하는 과정으로 법 해석을 통해 법률을 적용해가게 된다. 법률에 성 편견적인 규정이 있으면 판례도 그에 따르게 되지만, 법률은 여러 번의 개정을 통해서 이러한 규정들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또한 판례는 법 해석을 통해 법률을 적용해 나가는데 이 과정에서 성폭력의 피해자 관점, 다시 말해 여성의 관점을 반영하지 못한 사례가 발견된다. 이에 여성폭력 관련 판례분석을 통해 1953년 「형법」 시행 이후 60년이 지나는 과정에서 성인지적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는 판결과 아직도 성편향이나 남성 중심적인 인식에 근거한 판결은 어떤 것이 있고, 남성 중심적인 것을 성 중립적인 것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개선되어야 하는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폭력관련 판례 중 성폭력을 중심으로 한 성인지적 분석을 통해 향후 법해석상 변경되어야 할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A gender-sensitive analysis of precedent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is expected to resolve the male-centered social norms while addressing the power imbalance between men and women, thus setting a direction for a balanced life for men and women. It will also contribute to ensuring the human rights of women who make up the majority of violence victims as well as realize what is envisioned by Article 10 of Koreas Constitution “All citizens shall be assured of human worth and dignity.” With the progress in laws relating to women and family, a number of precedents dealing with violence against women have been accumulated.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analyzing those precedents in earnest in quantitative terms, let alon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In this study, a gender-sensitive approach will be used to analyze precedents concerning violence against women, particularly sexual violence. This study is about the history of laws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changes in the way these laws have been utilized, a gender-sensitive analysis of precedents concerning sexual violence. Several methods were employed in the study, which include literature research, collection and analysis of precedents relating to sexual violence, workshops for each topic of precedents relating to violence against women, and expert meetings for advice. From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legislative tasks proposed from sexual violence precedent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disagreed adultery and improvement of sexual violence laws. Other suggestions include raising the awareness of gender sensitivit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mong law enforcers.

      • KCI등재

        여성폭력 방지를 위한 포괄적 입법에 관한 연구

        윤덕경,차인순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0 이화젠더법학 Vol.9 No.3

        여성폭력의 예방과 피해자보호・지원을 규율하는 현행의 여성폭력 방지법은 성폭력, 가정폭력, 성매매방지법에 국한되어 있어 현실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유형의 폭력을 포괄하지 못한다. 여성폭력에 관한 국제기준은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에 한정되지 않고 훨씬 더 넓고 다양한 폭력을 예정하고 있으나 우리 법은 거기에 미치고 못하는 상황이다. 여기서 유사한 면이 많은 3개의 피해자보호법을 포괄하고 여성폭력의 범위를 데이트 폭력, 스토킹 등으로 확장하는 내용의 여성폭력 방지법의 입법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여성폭력 방지에 관한 법과 정책을 검토하고 외국 입법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확인한 후 여성폭력 방지를 위한 포괄적인 입법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여성폭력 방지를 위한 포괄적인 입법의 방향을 모색하는 이유는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등 성별에 기초한 폭력피해자의 다수가 여성이고, 데이트 폭력, 스토킹 등 범죄의 피해가 증가일로에 있으나 현재의 법이 제대로 규율하지 못하는 측면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framework act (bill) on the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based on the examination of relevant laws, legislative examples of foreign nations, and opinions of experts, with a view to convert the current legal system where relevant laws on violence against women,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victims of sexual traffic, are operated independently into the system of framework act related to violence against women. The contents of the study includes the 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violence against women, the laws and policies relevant to protection and support of female victims of violence, and analysis of legislative examples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U.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measures on legislative adjustment were suggested through the conference of experts and the Delphi survey. Employed research methods include the review of literature, examination of legislative examples of foreign nations, conference of experts, and Delphi survey. Basic aims of legislative adjustment were set as follows: making a rational complementation in the policies concerning protection and support of female victims of violence, which has become necessary due to the legislative shift from the policy for women to the policy pursuing gender equality, resolving disagreement between legislation and enforced policies, integrating the laws and regulations in individual acts providing similar services, and introducing new institutions required to protect and support female victims of violence. Thereafter, the framework act (bill) on the preven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reflecting above mentioned contents, was suggested.

      • 비동의간음죄의 비동의 판단기준 마련을 위한 국내외 사례 연구

        윤덕경,이미정,유경희,강지명,한민경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1 No.-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에서는 성적 자기결정권의 실질적인 보장을 위한 비동의간음죄 도입의 필요성과 당위성의 전제하에 비동의간음죄에 해당될 수 있는 국내 상담소 사례들을 검토하여 그 유형을 분류하고, 외국의 비동의간음죄 도입국가의 법률, 판례, 정책을 통해 동의기준 및 비동의의 인정 또는 불인정사례 등을 검토하여 우리 입법에 주는 시사점과 비동의간음죄 도입시 비동의 판단기준 마련에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가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