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아 이소성 신장의 임상적 고찰

        육진원,김지홍,김명준,김병길,Yook Jin-Won,Kim Ji-Hong,Kim Myung-Joon,Kim Pyung-Kil 대한소아신장학회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2

        목적 : 이소성 신장이란 정상적인 후복막내의 신와에 성숙된 신이 도달하지 못하고 이상위치에 고정된 신장을 말한다. 흉곽 내에서 골반강에 이르는 어느 위치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데 신 이주시 정지된 위치에 따라 골반신, 요추신, 복부신 및 흉부신으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반대측으로도 전위되는 경우가 있다 타측신의 선천적 결여나 식도폐쇄, 선천적 심장기형등 다른 장기의 기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본 저자들은 이소성 신장 환아들을 대상으로 단서가 되었던 임상양상과 동반되는 다른 질환들 및 치료와 임상적 특성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6월부터 1998년 6월까지 이소성 신장으로 진단되었던 16명의 환아들의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 환아의 진단 당시 연령은 생후 2일부터 12년 2개월이었고, 남아가 7례였고 여아가 9례로 남녀 비는 1:1.28로 나타났다. 15례는 일측성이었으며 좌측 8례, 우측 7례로 관찰되었다. 이중 7례가 골반신, 5례가 요추신, 2례가 복부신, 이중 1례가 교차성 이소성 신장이었고 흉부신 1례 있었다. 1례에서 양측 신이 모두 골반에 위치한 이소성 신장이었다. 진단 당시의 임상증상으로는 요실금을 주소로 진단되었던 경우가 6례였고, 비뇨기계외의 다른 질환으로 내원하여 시행한 복부 초음파상 우연히 이소성신이 의심되어 진단된 경우가 5례였고, 복부종괴로 촉진된 경우가 1례, 배뇨 곤란 1례, 요막관 개존증 1례, 산전 초음파에서 진단된 경우가 1례, 요로감염이 1례였다. 동반된 비뇨기계외 이상으로 척추이분증과 같은 골격근계이상이 4례 있었고, 심방중격결손이나 TOF와 같은 심장혈관계의 이상이 2례, VATER 증후군이 1례 있었다. 비뇨기계이상으로는 이소성 요관 4례, 방광요관역류 2례, 수신증 1례, 중복요관 1례등이 있었다. 치료에 있어 전체 16명중 6례(38%)는 치료 없이 추적 관찰 중이며, 1례(6%)는 요로감염에 대한 예방적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였고 9례(56%)에서 수술적 치료를 받았으며 신이형성 4례, 신형성 부전 2례, 다낭성신이형성 1례를 포함한 7례에서 신절제술을 시행하였고, 1례에서 배뇨장애로 방광절개술을 시행하였고, 1례에서는 요막관 개존증으로 교정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 이소성 신장은 임상적으로 증상이 없는 경우는 수술을 요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으나, 저자의 경우 56%의 환하에서 동반된 기형, 감염, 요실금 또는 방광요관역류로 인하여 수술적인 처치를 필요로 하였으므로 이소성 신장의 정확한 진단 및 동반된 질환을 감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 When the mature kidney fails to reach its norml location in the renal fossa, the condition is known as ectopic kidney. Presenting symtoms can be various and it generally depend on the associated anomaly. Beside urologic anomalies such as hydronephrosis and vesicoureteral reflux, various anomalous vascular net work, skeletal anomaly or genital anomaly can be observed in this condition. Methods : Sixteen children with ectopic kidney was studied retrospectively to analyse initial presentation, accompanied anomaly and prognosis. Results : 56% of the children were accompanied with other urologic anomalies such as true incontinence and vesicoureteral reflux that required surgical treatment. 31% of children were either diagnosed incidentally during evaluation of other non-urologic disease or during follow-up evaluation of abnormal antenatal renal sonogram. Conclusion : Ectopic kidney can be often misdiagnosed as tumorous condition or as a surgical condition depend on the abnormal location of the kidney. Careful evaluation using abdominal sonogram, DMSA, VCUG and abdominal CT scan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search for associated anomalous condition and for proper management.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의 중복요관에 관한 임상적 고찰

        육진원,김지홍,김병길,한상원,Yook Jin Won,Kim Ji Hong,Kim Pyung Kil,Han Sang Won 대한소아신장학회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2

        목 적 : 중복요관은 전체 인구의 약 $0.8\%$에 이르는 비교적 발생 빈도가 높은 기형의 하나로 최근에는 산전 초음파를 통해 발견되기도 하지만, 혈뇨나 복통, 요로감염의 증상으로 진단되어지며, 다른 비뇨기 계통의 기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중복요관 환아들을 대상으로 진단의 단서가 되었던 임상양상과 동반 질환 여부 및 치료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8세 미만의 61례의 중복요관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 61명의 전체환아의 진단당시의 평균연령은 5.6세였고, 추적관찰의 평균기간은 3년 7개월이었으며, 여아가 42명이었고 남아가 19명으로 남녀 비는 1:2.2였다. 양측 중복요관 환아는 16명($26.2\%$), 완전 중복요관 환아는 24명($39.3\%$)이었다. 산전 초음파상 이상소견으로 발견된 경우가 8례($13\%$)있었고, 요로감염을 단서로 진단되었던 경우가 19례($31.1\%$)로 가장 많았다. 동반질환은 비뇨기 계통이 아닌 기형이나 질환이 11례($18\%$)있었고, 50명($82\%$)은 중복요관 이외의 비뇨기계 다른 질환을 동반하였다. 편측 중복요관환아 45명의 경우 좌측이 23명($51.1\%$)이었고, 이들중 21명($46.7\%$)이 완전 중복요관으로 진단되었다. 전체환아중 비뇨기계의 문제를 동반하여 수술을 받았던 환아는 37명($60.6\%$)이었고, 이 중 방광 요관역류를 동반한 예가 27명($44.3\%$)으로 가장 많았다. 결 론 : 중복요관 환아의 $60.6\%$가 수술을 요하는 비뇨기계의 다른 질환들을 동반하였으며, 특히 요로감염이 선행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뇨기계증상 없이 산전진찰이나 우연히 발견되었던 경우가 전체 대상 환아의 $42.6\%$를 차지하므로, 따라서 산전초음파에서 비뇨기계의 비정상적인 소견이 발견되었거나 요로감염, 혈뇨, 복통 등의 증상이 있는 소아들은 반드시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중복요관 및 다른 기형이 동반되는지를 확인하여 조기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고, 복부초음파, 배설성 방광요도조영술, 소변 배양검사 등의 주기적인 추적관찰로 향후 발생할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Renal duplication is a common occurrence, and the range of ureteral and renal anomalies draining the two poles of the duplex kidney leads to a variety of clinical presentations. Method : A series of 61 children with duplicated systems was studied retrospectively who were admitted during last 12years. Results : Of the children $60.6\%$ were accompanied with urologic anomalies that required surgical treatment, and most children initially were present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42.6\%$ of children were either diagnosed incidentally during evaluation of other non-urologic disease or during follow-up evaluation of abnormal antenatal renal sonogram. Conclusion : From our point view, children with history of abnormal antenatal renal sonogram, or with symptoms such as urinary tract infection, hematuria, abdominal pain should be evaluated radiologially fully to confirm further abnormality and accompanied complications. And routine follow-up using abdominal ultrasonogram, VCUG, and urine culture should be used to prevent and detect early treatable complications.

      • 중형 전기추진 무인기 항력저감 형상 전산해석

        진원,이융교,김철완,안석민 한국항공우주학회 2011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1 No.11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서는 장기체공형 무인 비행체의 제작 및 체계기술 개발, 그리고 연료전지 및 태양전지의 혼합 전기추진시스템 연구를 위하여 개념시연기인 중형 전기추진 무인기를 제작 중에 있다. 중형 전기추진 무인기의 주익에는 장기체공을 위하여 높은 종횡비와 함께 저속에서 공력성능이 우수한 저레이놀즈 익형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형 전기추진 무인기의 공력성능 개선을 위하여 고려된 후보기체의 형상별 공력성능, 특히 항력특성을 전산해석적 방법으로 비교, 검토해 보았다. 결과, 저항력 동체와 주익에 "raked wingtip"이 적용된 형상에서 가장 현저한 항력저감을 이루었는데, 앞서 개발된 소형 전기추진 무인기 형상과 비교하여 약 54%의 항력 감소를 나타냈다. 아울러, 항공기 기본설계 프로그램(AAA)을 이용한 계산결과, 종/횡-방향 정안정성도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I) is developing a concept demonstrator, called a medium-size Electric-powered Aerial Vehicle(EAV). It will be used to study the systems engineering techniques and hybrid electrical(fuel cell & solar cell) power system for the future long-endurance UAV. In the present study the aerodynamic performances, in particular drag characteristics, of candidate configurations for the medium-size EAV were analyzed using FLU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nfiguration with a low-drag fuselage and "raked wingtips" produced 54% drag reduction as compared to the EAV-1, previously developed small-size version. Also, longitudinal and lateral-directional static stabilities of this configuration were assessed to be achievable by the aircraft design software, AAA.

      • KCI등재
      • KCI등재

        항공기 시각 탐지 감소 위장기술 고찰

        진원진(Wonjin 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논문에서는 군용 항공기의 시각 탐지(visual detection)를 지연시키는 위장기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위장(camouflage)이란 관찰자에게 드러나 보이지 않도록 어떤 물체를 거짓으로 꾸미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군사적 관점에서의 위장은 완전히 사라지게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관찰자의 탐지시간을 연장하거나 탐지가능성(detectability)을 낮추는데 목적이 있다. 기본적으로 항공기 위장은 항공기 위치 탐지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관측자에게 항공기의 속도와 고도, 진행방향에 대한 혼란을 유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저(低)탐지기술 또는 위장기술은 군용 항공기의 생존성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근접 지원 항공기 및 제공 전투기의 경우는 다색(multi-tone) 위장패턴과 반음영(counter-shaded) 위장패턴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아울러, 단색(mono-tone) 위장패턴 역시 색상(hue)과 명도(brightness)가 적절히 조절 및 조합되었을 때 위장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기의 위장 성능 향상을 위한 능동 시각 위장 기술(active camouflage techniques)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특히, 발광 반사율이 높은 발광 장치를 사용하는 Counter-illumination 기술은 항공기 표면과 배경 하늘의 명도차를 최소화하여 위장 효과를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능동 시각 위장 기술은 시각 탐지에 비교적 취약한 저고도 무인기의 생존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reviewed camouflage techniques to reduce the visual detect-ability of aircraft. Visual camouflage can be defined as the process of making objects less visible. Aircraft visual camouflage delays detection of the aircraft position, speed, and flight direction. Multi-tone and counter-shaded schemes are generally adopted as camouflage patterns for close-air-support aircraft and air-superiority aircraft, respectively. Another study showed that the monotone scheme is also efficient when the hue and brightness of the camouflage color are controlled correctly. Active camouflage techniques for aircraft have been studied to increase the camouflage effectiveness. In particular, counter-illumination techniques using electroluminescence devices can minimize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between the aircraft and sky background. Active camouflage technique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survivability of low-altitude UAVs, which are vulnerable to visual de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