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교 밖 탈북청소년의 탈북의 의미와 남한사회 삶에 대한 이해 (생애사 연구)

        원미순,영림,방진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1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and interpret what defection means to young adults defecting from North Korea, and the lives of young adult defectors in South Korea. To this end, a series of interviews with 10 young adult defectors was analysed in three steps, using Schütze’s biographical narrative method. The findings show that some young adults defected from North Korea to save their North Korean family from the poverty. Others defected from North Korea because of a family decision, seeing their defection as starting a new life. In terms of their lives in South Korea,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felt calm in South Korea because they were safe and secure in a situation from which they no longer needed to escape. At the same time, they felt like strangers because South Korean people treated them as foreigners, and they wished to be full citizens of South Korea rather than having only legal status. For young adult defectors, South Korean society offers competitive and fair rewards for those in employment; they appreciated that their efforts in this society would be recognised and rewarded, but they also experienced the pressure of a situation in which they will have nothing if they do not work. In this context, most of those interviewed expressed a wish to follow their dreams in South Korea. However, some hoped to leave South Korea and to settle in other countries such as China, where they lived before entering South Korea, because they felt discriminated against and were not assured of becoming true citizens of South Korea. Worst of all, a few young adult defectors were depressed about this social discrimination and the pressure on them to be competitive despite their vulnerabilities, including their poor educational background. 본 연구는 학교 밖 탈북청소년들의 탈북의 의미와 남한사회에서의 삶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10명의 학교 밖 탈북청소년들을 심층면접 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전체 맥락에서 심도있게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 Schütze(1983)의 생애사 이야기식 면접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chütze(1983)의 3단계 생애사 이야기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위의 연구방법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 밖 탈북청소년들에게 탈북의 의미는 가족이었다. 가족을 위해 스스로 탈북을 하거나 가족에 의해 비자발적으로 탈북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가족과 함께 살기위해, 가난으로부터 가족을 구하기 위해 감행한 탈북은 먹고 살 수 있는 남한사회에서의 새로운 삶의 시작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학교 밖 탈북청소년들은 이제 먹고 살 수 있고 안전하다는 생각에 마음이 편안하다고 느끼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단지 북한 출신이라는 이유 때문에 이방인 취급을 당하기도 하였다. 그들은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인정받고 싶어 했고 주인이고 싶어 했지만 정작 남한사회는 학교 밖 탈북청소년들에게 공정하면서도 냉정한 사회였다. 그들에게 남한사회는 노력한 만큼 돈을 벌수 있고, 노력하면 자신들의 꿈을 이룰 수 있는 사회이지만 노력하지 않는다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 냉정한 사회이자 돈에 의해 지배되는 사회였다. 노력하여 자신들의 꿈을 이루고자 하는 일부 연구참여자들은 남한사회에서의 밝은 미래를 꿈꾸는 반면 다른 일부의 연구참여자들은 이방인으로서의 삶만 존재하는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느니 차라리 대한민국을 떠나 차별 없이 살 수 있는 제 3국에서 자리를 잡고자 했다. 또 다른 일부 연구참여자들은 사회적 차별 때문에 노력 없이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 냉정한 사회에 지친 나머지 자신의 삶에 무관심하기도 하였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한 바, 비자발적으로 혹은 청소년기에 탈북 해야 했던 청소년들에게 탈북의 의미가 가족인 만큼 탈북가족지원체계를 구성하여 상담지원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심리적 안정을 도와주고, 학교에서 탈북청소년들의 적성과 관심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이탈 없이 마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탈북청소년 교육전담지원체계 구축 방안 등을 제언 하였다.

      • 시각장애인의 문화생활 향상을 위한 스마트 이동보조시스템에 관한 연구

        고 현 주,민 성 , 대구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14 情報通信硏究 Vol.10 No.1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의 문화생활 향상을 위한 촉각으로 주변사물의 정보를 파악하는 스마트 이동보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전시장의 관람 경로에 따라 물리적으로 당기는 힘으로 시각장애인을 유도하는 스마트가이더(Smart Guider)와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여 팔에 진동으로 알려주는 웨어러블가이더(Wearable Guider)로 구성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이동보조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지만, 시각장애인을 위한 감상·관람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아 시각장애인의 문화생활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시각장애인이 전시장을 관람할 때 다차원 진동을 통해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촉각유도와 음성안내로 전시장의 이동경로 정보를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한다. 특히 제안된 시스템은 전시장 공간을 시각장애인이 가상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전시물 안내를 시각장애인 맞춤형 음성정보로 제공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Walking Aid System which recognizes surrounding objects with the blind’s sense of touch in order to improve their cultural lives.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the Smart Guider and the Wearable Guider. The Smart Guider guides blind people by using physical pulling power for which the blind can see works by following the view path in exhibition spaces. The Wearable Guider notifies the detected obstacle through the vibration on the blind's arm. There are various walking aid systems for blind people. However, the existing systems did not consider an aesthetic enjoyment of the blind in the exhibition, so that they could not help to improve the blind's cultural lives.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that the blind perceive obstacles' location by using multi-dimensional vibration when the blind appreciate the exhibits. Also, our system informs the blind the view path of exhibits based on the guidance of haptic and hearing. Especially, our system creates information that the blind can virtually recognize exhibition spaces, and provides customized auditory explanation for the blind about the exhib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