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데이터 생성 및 증강 기반의 개체 그래프를 활용한 음성 대화용 대화 상태 추적 모델

        유하은,고영중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9 No.10

        As a part of a task-oriented dialogue system, dialogue state tracking is a task for understanding the dialogue and extracting user’s need in a slot-value form. Recently, Dialogue System Track Challenge (DSTC) 10 Track 2 initiated a challenge to measure the robustness of a dialogue state tracking model in a spoken conversation setting. The released evaluation dataset has three characteristics: new multiple value scenario, three-times more entities, and utterances from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module. In this paper, to ensure the model’s robust performance, we introduce an extraction-based dialogue state tracking model with entity graph. We also propose to use data collection and template-based data augmentation method. Evaluation results prove that our proposed metho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extraction-based dialogue state tracking model by 1.7% of JGA and 0.57% of slot accuracy compared to baseline model. 대화 상태 추적은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대화를 이해하고 사용자의 목적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최근 Dialogue System Track Challenge (DSTC) 10 트랙2는 이를 음성 대화 환경으로 확장하여 음성 발화에 대한 대화 상태 추적 모델의 강건성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트랙2에서 공개한 평가 데이터는 새로운 시나리오의 등장, 3배 많은 개체 수 그리고 음성 인식된 발화로 이루어진 대화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에도 강건한 개체 그래프를 활용한 추출 방식의 대화 상태 추적 모델과 새로운 시나리오에 대한 대화 데이터 생성 및 대화 익명화 방식을 활용한 증강 방법을 제안한다. DSTC10 평가 데이터에 대한 평가 결과 베이스라인 모델과 비교했을 때 Joint Goal Accuracy (JGA)와 Slot Accuracy에서 각각 1.7%, 0.57%의 성능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위성 레이더 영상 중 Sentinel-1을 활용한 탄소 흡수원 공간분석- 운곡습지를 대상으로 -

        유하은,조영일,이신우,이명진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6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ost-2020 climate regime, the Paris Agreement’s emphasis on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and Biennial Transparency Reporting is paramount in addressingits long-term temperature goal. A salient issue is the treatment of wetland ecosystems within the contextof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as defin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Change. In the 2019 National Inventory Report, wetlands were recategorized as emission sources due totheir designation as inundated areas. This study employs C-band radar imagery to discriminate betweeninundated and non-inundated regions of wetlands, enabling the quantification of their spatial dynamics. The research capitalizes on 24-period Sentinel-1 satellite data to cover both the inundation and desiccationphases while centering its attention on Ungok Wetland, a Ramsar-designated inland wetland conservationarea in Korea. The inundated area is quantitatively assess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multi-temporalSentinel-1 Single-Look Complex (SLC) data, aerial orthophotography, and inland wetland spatialinformation. Furthermore, the study scrutinizes fluctuations in the maximum and minimum inundatedareas, with substantial changes corroborated via drone aerial reconnaissance. The outcomes of thisinvestigation hold the potential to make substantive contributions to the refinement of national greenhousegas absorption and emission factors, thereby informing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greenhousegas inventories. These efforts align directly with the overarching objectives of the Paris Agreement.

      • KCI등재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중장년층의 찬반 의견: 생물심리사회적 특성과의 관련

        유하은,류정은,김경민 한국노년학회 2023 한국노년학 Vol.43 No.6

        본 연구는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중장년층의 찬반 의견을 살펴보고, 생물심리사회모델(biopsychosocial model)에 근거한개인의 다양한 특성, 즉, 인구학적, 신체 및 심리적, 사회적 특성이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찬반 의견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령에 따라 개인의 특성과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찬반 의견 간의 관련이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연령의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2012년에 수집된 「한국 베이비부머 패널연구」와 「한국 예비노인 패널연구」에서 추출한중장년층(49-64세) 총 4,682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중장년층의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비율을 살펴보고, 찬반 의견에 따라 응답자 개인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t 혹은 χ 2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찬반 의견이 개인의 다양한 특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각 특성의 관련성이 연령에 따라다른지 연령의 상호작용항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분석의 연구대상 중 33%만이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령이 낮을수록, 대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참여하는 문화⋅예술 활동의 개수가 많을수록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수준, 대도시 거주 여부, 만성질환 유무, 주관적 건강, 사회활동 모임 가입 수는 연령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의견이응답자의 신체적 특성보다는 사회적 특성과 유의한 관련을 나타낸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운전자 운전제한에 대한 논의에서 개인의인구학적 특성 및 건강 특성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특성 또한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STR 검사에서 관찰된 모자이시즘 사례

        유하은,이상원,이숭덕,조소희 대한법의학회 2021 대한법의학회지 Vol.45 No.4

        Short tandem repeats(STRs) are the most popular markers for human identification in forensics. Those markers can be easily analyzed through a multiplex PCR and electrophoresis and provide high discrimination power. In STR analysis, however, several atypical phenomena can be observed such as allelic drop-outs, drop-ins, or allelic imbalance, which may be due to DNA polymerase slippage or DNA degradation effects. Atypical STR profiles observed also can provide information for mixed DNA samples or chromosomal abnormalities. In this study, we report a case of mosaicism detected in routine casework of paternity testing. Hair samples from a phenotypically normal male were tested, and the result presented a typical STR profile of a female for the amelogenin gene (XX). In chromosome analysis using peripheral blood, it was found that 45,X/46,XY mosaicism resulted i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genotype and the phenotype. In addition, the amount of Y chromosome was detected particularly low in hair compared to blood. This study shows that mosaicism can make interpretation difficult during STR analysis, and suggests that sample types and repeated analysi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even for routine STR testing.

      • KCI등재

        Continuous Isolation of Stem-Cel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SC-EVs) by Recycled Magnetic Beads in Microfluidic Channels

        유하은,Kim Jaejeung,YUJIANNING,Hyun Kyung-A,Lim Jae-Yol,Yoon Yeo-Jun,Park Sunyoung,Jung Hyo-Il 한국바이오칩학회 2023 BioChip Journal Vol.17 No.4

        Stem cells produce nanosized particles known as extracellular vesicles (SC-EVs), which therapeutically aff ect stem cells. EVs are more abundantly produced, exhibit better stability, and possess lower immune rejection rates than stem cells. However, the traditional methods of isolating EVs, such as ultracentrifugation, possess limitations that require a complex process and consume more time. Moreover, it is diffi cult to isolate specifi c EVs that have target surface proteins that aff ect regenerative eff ect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a new dual-mode horseshoe-shaped orifi ce micromixer (DM-HOMM) chip that can bind antibody-conjugated micromagnetic beads and SC-EVs and sequentially elute specifi c SC-EVs on the beads using an eluent was developed. For eff ective elution from the microbead-SC-EV complex, four types of eluents were used to control pH and ionic strength between antibodies and surface proteins in EV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reusability of antibody-conjugated micromagnetic beads. The beads indicated identical binding effi ciencies between the antibodies and specifi c SC-EVs for three repeated cycles using the dual-mode chip. CD63 + EVs collected by the chip exhibited higher cell viability and regeneration eff ects than untreated and total EVs. This SC-EVs’ isolation method possesses the potential for targeted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enhanced regenerative effects.

      • 편견에 맞서 새로움을 창조한 건축가 ‘자하 하디드’

        유하은 ( Ha-eun Yu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32 No.0

        “우선 저는 여자입니다. 이 점이 많은 사람에게 문제가 되기도 했어요. 또 제가 외국인이라는 것도 문제였어요. 그리고 제가 선보인 평범하지 않은 작업, 이것 역시 가끔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종류의 작품이 아니었죠.”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건축 디자인은 소프트웨어 체계와 사용되는 재료도 변화시켰고 비구조화된, 유동적인 건축 시공도 가능해졌다. 이로써 인간이 상상 속으로만 추구하려던 것을 실현시키는 매개체로 3차원적 프로그램의 사용은 오랫동안 정형화 되어 왔던 고정 관념을 깨뜨리고 인간의 독창적인 사고를 창출하여 결과물로 재현하는 데에 필수적이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건축가 ‘자하 하디드’는 곡선의 미를 강조하고 인간과 자연환경의 공존과 삶을 반영한 개성이 담긴 창의적인 건축물을 재현해내었다. 차별과 편견을 깨고 ′프리츠커 건축상 ’을 수상한 최초의 여성 건축가 자하 하디드. 본 연구는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생애와 그녀의 건축 개념, 특징의 이론을 고찰하며 이를 토대로 그녀가 남기고 떠난 건축물 중 다섯 가지를 선별에 그것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그 분석의 결과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First of all, I am a woman. This guy has a lot of stuff. nuisance. It doesn’t pay anything, and it doesn’t get the impact that many actors hope for.” As the times progressed, architectural design also changed the software system and materials used, and made unstructured, fluid construction possible. ------ Zaha Hadid emphasized the beauty of curves and recreated a creative building with personality that reflects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ife. Zaha Hadid, the first female architect to win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for breaking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fe of Zaha Hadid, the architect, and the theory of her architectural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 건축에서 나타나는 해체주의의 개념과 특징 : 프랭크 게리와 그의 작품을 중심으로

        유하은 ( Ha-eun Yu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31 No.0

        딱딱한 블록 형의 현대 건축물은 따분하다며 사랑·느낌·열정이 결여되어 그런 것들은 건축으로 부르지도 않는다는 프랭크 게리. 기존 건축의 질서와 위계, 기성세대에 대한 도전적인 흐름 독특한 구조와 왜곡된 형태, 다양한 재료의 결합을 시도하는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O. Gehry)는 건축 및 디자인 분야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자율성을 추구하고 있다. 정형화되고 일률적인 구조를 띄는 건축물의 대량 공급 차원을 넘어서, 개성적이고 자유로운 해체주의적 현대 건축물이 창조되고 있다. 해체주의적 사상을 반영한 건축물은 단순 건축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 영감을 제공하였고 개성적이 넘치는 조형미를 지닌 심미적 공간을 연출한다. 프랭크 게리는 그의 건축에서 보여준 예술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결합은 기존 건축의 한계를 깨트려버렸고, 자신만의 실험적인 작품을 통해 건축과 예술의 경계를 모호하게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데리다의 이념을 기반으로 하여 해체주의 사상이 드러나는 건축에 대해 분석하며 예술적 가치를 추구하는 프랭크 게리의 건축관과 특징, 그의 작품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Frank Gehry, who said that hard block-type modern buildings are boring and lack love, feeling, and passion, so he doesn't even call them architecture. Architect Frank O. Gehry, who tries to combine the unique structure, distorted form, and various materials, is an architect who freely moves across architecture and design fields and breaks free from the existing framework. seeking autonomy. Beyond the mass supply of standardized and uniformly structured buildings, modern, individualistic and free deconstructivist buildings are being created. Buildings reflecting deconstructivist ideas provide inspiration to various fields beyond simple architecture, and create an aesthetic space with unique formative beauty. The combination of art and digital technology shown in his architecture, Frank Gehry, has broken the limits of existing architecture and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architecture and art through his own experimental works. Therefore, based on Derrida's ideology, this study analyzes architecture that reveals deconstructivist ideas, and conducts research on Frank Gehry's architectural view and characteristics, and his works, who pursue artistic values.

      • KCI등재후보

        Synthetic Aperture Radar 펄스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한 호소 부유 폐기물 탐지

        윤동현,유하은,이명진 (사)지오에이아이데이터학회 2023 GEO DATA Vol.5 No.3

        This study developed the European Space Agency (ESA) Setinel-1 Ground Range Detected (GRD) time series analysis model for monitoring floating debris in lake areas through Google Earth Engin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he study aims to monitor floating debris caused by heavy rainfall efficiently. Regarding water resources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floating debris from multipurpose dams requires continuous monitoring from the initial generation stage. In the study, a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time series analysis model that is easy to identify water bodies was developed due to low accessibility in large areas. Although SAR satellite images could be used to observe inland water environments, debris detection on water surface surfaces has yet to be studied.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detected floating debris patches in a wide range of lakes from GRD imagery acquired by ESA’s Sentinel-1 satellite. It demonstrated the potential to distinguish them from naturally occurring materials such as invasive floating plants. In this study, the case of Daecheong Dam, in which predicted floating debris was detected after heavy rain using Sentinel-1 GRD data, is presented. It could quickly detect various floating debris flowing into dams used as a source of drinking water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a collection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