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우 레이더와 지상 우량계의 통합관측효과

        유철상,김경준 한국수자원학회 200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0 No.11

        본 연구에서는 우량계와 강우 레이더를 함께 이용하는 경우의 통합관측 효과를 검토하였다. 통합관측효과는 서로 직교하는 관측방법의 결합에 따른 관측오차의 감소를 고려함으로써 평가된다. 구체적인 적용 예로서 금강유역에 대하여 강우 레이더가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 우량 관측망 밀도를 어느 정도까지 조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North and Nakamoto(1989), Yoo et al. (1996), 유철상(1997)의 관측오차 관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combined rainfall observation of using rain gauge and rain radar. The effect of combined observations is to be evaluated by considering the decrease of measurement error due to combined use of design orthogonal observati

      • KCI등재

        Shot-Noise 개념을 이용한 Clark 단위도의 변형 및 평가

        유철상,윤성현,구정모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Clark unit hydrograph (UH), and proposed a spatially-variable Clark UH by considering the concept of shotnoise. The spatially-variable Clark UH is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Clark UH from the fact that it is derived by applying thelinear reservoir first and the linear channel later. Also, the storage coefficient is differently assigned to b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from the basin outlet. The proposed spatially-variable Clark UH was applied to the Sanganmi basin for the rainfall-runoff analysis,whose results has also been compared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Clark UH. Summariz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patially-variable Clark UH with the same storage coefficient was found to be identical to the conventional Clark UH. (2) The spatiallyvariableClark UH was found to have higher runoff peak and shorter peak time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Clark UH. (3) In theapplication to the Sanganmi basin, it could not be concluded that the spatially-variable Clark UH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ClarkUH. More applications to various basin should be done to reach any solid conclusions. 본 연구에서는 Clark 단위도의 특성을 다시 살펴보고, shot noise의 개념을 이용하여 변형된 형태의 공간-변동 Clark 단위도를 제안하였다. 공간-변동 Clark 단위도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Clark 단위도와는 반대로 선형저수지를 먼저, 선형하천을 나중에 적용하여 단위도를 유도한다는데 있다. 또한 거리에 비례하여 저류상수를 달리 적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제안된 공간-변동 Clark 단위도는 상안미 유역에 적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Clark 단위도를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저류상수를 일정하게 가정한 공간-변동 Clark 단위도는 기존 Clark 단위도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저류상수를 거리에 비례하게 결정한 공간-변동 Clark 단위도는 Clark 단위도에 비해 첨두유량은 약간 더 크고, 첨두시간은 약간 짧은 형태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3) 공간-변동 Clark 단위도와 Clark 단위도를 상안미 유역에 적용한 결과에서는 어느 한 단위도의 우위를 판단하기 어려웠으며,보다 다양한 유역에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유역 내에서의 산사태에 의한 토사발생특성 분석 2. 강우사상별 분석

        유철상,김기욱 한국방재학회 201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0 No.3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roduce by landslide triggered by rainfall. One-dimensional unsaturated groundwater model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analysis were used to estimate the behavior of soil moisture and slope stability according to rainfall, respectively.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considering on soil depth and characteristics of tre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roduceaccording to rainfall events showed that the sediment produce by landslide was mainly contributed to rainfall intensity and its temporal clust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produce by extreme events showed that remaining rainfall amount of typhoon 'Rusa' was much more than that of the other extreme events, and thus this remaining rainfall was to contribute to sediment transportation. Additionally, only a small number of extreme events were found to cause most amount of sediment produce in a basin.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기인하는 산사태에 의한 토사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차원 불포화 지하수해석을 수행하여 강우에 따른 토양수분의 거동을 추정하였으며, 무한사면해석법을 이용하여 토양수분상태에 따른 유역단위 사면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때, 산사태의 발생 및 파괴깊이에 영향을 주는 토양심 및 여러 식생인자들을 고려하였다. 강우사상의 특성에 따른 토사발생특성 분석 결과, 산사태에 의한 토사의 발생에는 강우강도와 강우의 시간적 군집상태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극치강우에 의한 유역 내 토사발생특성 분석결과, 태풍 ‘루사’ 시의 잔여강우량이 다른 극치사상들에 비하여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잔여강우량이 발생된 토사의 운송에 기여하였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울러, 소수의 극치강우에 의하여 발생한 토사량이 유역 내 전체 토사발생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복수의 임펼스 응답을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

        유철상,박주영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6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6 No.5

        There have been many recent studies on the nonlinear rainfall-runoff modeling, where the use of neural networks is shown to be quite successful. Due to fundamental limitation of linear structures, employing linear models has often been considered inferior to the neural network approaches in this area. However, we believe that with an appropriate extension, the concept of linear impulse responses can be a viable tool since it enables us to understand underlying dynamics principles bett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se of multiple impulse responses for the problem of rainfall-runoff analysis.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a simple and fixed strategy for switching among multiple linear impulse-response models, each of which satisfies the constraints of non-negativity and uni-modality. The computational analysis performed for a certain Korean hydrometeorologic data set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yield very meaningful results. 최근들어 강우-유출 현상에 관한 비선형 모델링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 왔는데, 그 중에서도 신경망을 이용한 결과는 매우 성공적인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선형 구조가 갖는 근본적인 한계성으로 인하여, 이 분야에 선형 모델을 활용하는 것은 신경망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불리할 것으로 여겨지곤 한다. 하지만 우리는, 선형 모델의 경우 주어진 문제가 갖는 근본적 동특성의 원리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적절한 확장 과정을 거치면 선형 임펄스 응답의 개념은 매우 경쟁력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에 따라, 본 논문에서 우리는 복수의 임펄스 응답의 이용을 강우-유출 해석의 문제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복수의 임펄스 응답 모델 사이에 적용되는 단순하고 고정된 스위칭 전략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각 임펄스 응답은 음이 아닌 성분을 갖도록 하고, 동시에 한개의 봉우리만 갖는 형태를 만족하도록 한다. 우리나라의 특정한 지역의 수문기상학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적용해 본 결과, 제안된 방법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함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분단위 자료를 이용한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분석

        유철상,박창열,김경준,전경수,Yoo, Chul-Sang,Park, Chang-Yeol,Kim, Kyoung-Jun,Jun, Kyung-Soo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6

        본 연구에서는 분단위 강우자료(MMR)를 이용하여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 변량 혼합대수정규분포를 이용하여 강우를 모형화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은 중부지역의 26개 우량관측소 지점자료를 이용 하였으며, 호우 발생 특성별(장마, 태풍, 대류성 강우)로 수행하여 서로 비교될 수 있도록 하였다. 집성시간은 1, 2, 3, 5, 10, 30, 60분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분단위 관측지점 자료는 임의 지점의 분단위 강우강도로 내삽하여 추정하는데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만일 적절한 자료분해 및 내삽 방법론이 구비된다면, 분단위 관측지점 자료를 이용하는 것보다 시자료와 같이 밀도 있는 관측망의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분단위 강우강도 추정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orrelograms of minutely rainfall data with respect to various accumulation times. A bivariate mixed lognormal distribution was applied for rainfall modelling. A total of 26 minutely rainfall data sets from rain gauge station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also repeated for several storm types like Jang-Ma, typhoon and convective storms for their comparison. The accumulation times 1, 2, 3, 5, 10, 30 and 60 minute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minutely rainfall data available was not good enough for estimating minutely rainfall intensity at ungaged locations. It seems more practical to use the hourly rainfall data with much higher rain gauge density, if proper methods for interpolation and data dis-aggregation are provided.

      • KCI등재

        Uncertainty of Areal Average Rainfall and Its Effect on Runoff Simulation: A Case Study for the Chungju Dam Basin, Korea

        유철상,김정호,윤정수 대한토목학회 2012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6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rrors involved in the areal average rainfall estimation and the runoff simulation (hereafter, rainfall and runoff errors). The error statistics of the observed areal average rainfall were estimated and used for the generation of input data for the runoff simulation. The Clark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was used for this runoff simulation. The runoff model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several sets of rainfall-runoff data observed, whose statistics were then used for the sensitive analysis of the model simulation on the parameter sets. The rainfall error in this study was defined as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d and generated areal average rainfall. On the other hand, the runoff error was designed to consider the runoff volume, peak flow and peak time, respectively.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Chugnju Dam Bas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variation of model parameters estimated in this study were about 30% of their means. Also, the effect of this error in model parameter estimation on runoff simulation was found to be maximum 15% of the peak flow. (2) The estimation error of areal average rainfall was found roughly proportional to the areal average rainfall itself. Both the rainfall and runoff errors were found to have no obvious biases. However, the variance of the peak flow erro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3)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error and runoff volume error was roughly one to one, however, the rainfall error has become amplified by more than 50 % and transferred to the peak flow err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