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 척도 맵 개발 및 패션 브랜드의 감성이미지 비교 연구 -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웹사이트 배색 이미지를 중심으로 -

        유지현,Yu, Ji-Hun 복식문화학회 2010 服飾文化硏究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some plan which could satisfy consumer's expectation emotional needs by comparing emotional scale between fashion brand image and brand website coloration image. For this study, 12 brand websites within four fashion zone, men's clothing, women's clothing, casual wear, and sports wear were chosen. The questionnaires were comprised of 27 emotional adjectives which were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and office workers for 3 to 17 on September. Among them, 11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tool.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emotional adjective sorting, content analysis for website color chip sort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for consumers were used in this study. Some differences exist between brand image and website coloration band image as the result. As the numbers of internet user became larger, the costumer's emotional image which gives maximum satisfaction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fashion brand website. Therefore, fashion website managers should satisfy consumers with functional and emotional needs.

      • KCI등재

        창녕 물계서원 원정비의 재질특성 및 손상도 평가와 균열심도 측정

        유지현,이찬희,전유근,Yoo, Ji Hyun,Lee, Chan Hee,Chun, Yu Gun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4 보존과학회지 Vol.30 No.4

        이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재의 표면 균열에 대한 깊이와 연장성을 측정하기 위해 창녕 물계서원 원정비를 대상으로 초음파 속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이 원정비의 장기적인 보존관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재질 및 손상현황을 조사하고, 다양한 비파괴 기법을 활용하여 정밀진단을 수행하였다. 원정비를 이루고 있는 주요 구성암석은 비석의 부위에 따라 달리 알칼리장석화강암, 반려암 및 섬록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손상도 평가 결과, 특히 균열이 비신의 모든 방향에서 두드러진 분포를 보여 안정성을 저해하는 중요한 손상인자로 나타났다. 원정비 재질의 물성평가를 위한 초음파 측정에서는 비신, 대좌, 옥개석 순으로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원정비에 다양한 형태로 발생한 균열들의 현황과 산출상태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한 To-Tc법으로 균열의 심도를 측정한 결과, 0.6~24.1cm로 다양한 깊이를 보였다. To measure the depth and extension on the surface cracks of the stone monument, ultrasonic pulse velocity targeted at the Mulgyeseowon Stele in Changnyeong was used in this research. Additionally, to establish a long-term countermeasure of management and conservation for this stele, we have investigated the material properties and damage on it and have conducted a precise diagnosis by a variety of non-destructive techniques. Our research has revealed that stones of the stele are composed mainly of three rock types according to the parts of it, alkali-feldspar granite, gabbro and diorite. The result of the deterioration evaluation has occurred that cracks, which are observed from every direction in the body of the stele, are the significant factors to reduce structural stability. The ultrasonic velocity for an evalua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stele has revealed that the speed was high in the order of body, pedestal and crown. Furthermore,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 and occurrences of the cracks which have measured in many different forms on the stele quantitatively, we have estimated from 0.6 to 24.1cm deep of the cracks by To-Tc method using ultrasonic velocity.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 만족에 관한 연구 -학생지원 서비스 수준과 지각된 차별감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유지현 ( Ji-hyun Yu ),김혜영 ( Hye-young Kim ) 한중사회과학학회 2023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긴급재난 상황에서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대학 차원에서 대학 만족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학생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긴급재난 상황에서 대학이 지원하는 학생지원 서비스에 대해 인식하는 수준과 코로나19로 인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특히 차별감에 초점을 두어 대학 만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수 간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2021년 11월 15일부터 26일까지 약 2주간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학생 학생지원 만족 상위집단의 대학 만족 평균이 하위집단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차별감 상위집단의 대학 만족 평균이 하위집단의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학생 대상 학습지원, 심리 및 정서 지원, 취업 지원 등의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과 모국어 지원, 한국어 교육, 행정적 지원 등 대학 생활 지원 등 유학생 학생지원 서비스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 만족 수준이 높으며, 유학생으로서 차별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대학 만족 수준은 낮아지고, 차별감 수준을 낮게 지각할수록 대학 만족 수준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 만족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개선, 행정서비스 지원, 중국문화 이해 촉진을 위한 대학문화 환경 조성 등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satisfac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COVID-19, and to propose student support measures that can increase the level of university satisfac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atisfaction and university satisfaction was identified by focusing on the student support services supported by universities in emergency situations and the psycho social difficultie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due to COVID-19, especially the sense of discrimination.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or about two weeks from November 15 to 26, 2021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the average college satisfaction of the upper group of student support satisfac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e lower group. Th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level of college satisfaction of the upper group of perceived discrimination was lower than that of the lower group.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international student support services, such as the operation of non-subject programs such as learning suppor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employment support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college life support such as mother tongue suppor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e higher the level of university satisfaction. It also means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s an international student, the lower the level of university satisfaction, and the lower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university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such as improvement of subject and non-subject curriculum, support for administrative services, and creation of a university cultural environment to promote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that can increase the level of university satisfac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COVID-19 were suggested.

      • KCI등재

        오가닉코튼 마켓의 제품컬러현황 분석

        유지현(Ji Hyun Yu),박연선(Yeon Sun Park)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환경에 대한 관심은 의식주 전반에 걸친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이러한 사회적 흐름을 기반으로 섬유시장에서도 친환경 소재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 친환경 기능성 섬유는 전체 섬유시장으로 볼 때에 커다란 비중이 아닐지라도 그 열풍의 속도와 위력은 미래 산업을 주도 할 것임이 틀림없다. 갈수록 심해지는 환경오염의 규제로 인해 친환경 소재의 개발의 강화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친환경 섬유는 천연 식물성 섬유가 주를 이루는데 그 가운데 우리 생활과 가장 친숙한 섬유인 오가닉코튼은 그 수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웰빙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오가닉코튼 제품의 구매가 확대됨에 따라 글로벌 섬유기업은 물론 패션업체에서도 친환경 제품에 대한 공급을 늘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분석 및 트렌드 리서치 결과를 바탕으로 컬러 이미지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국제적으로 오가닉 코튼인증을 거친 오가닉코튼을 사용하는 32개의 인지도가 높은 오가닉 코튼브랜드를 선정하여 그 제품의 컬러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오가닉 코튼 제품의 기초디자인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32개 브랜드는 국내10개, 일본5개, 유럽6개, 미국시장11개이고, 총 477개 제품의 컬러를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지역별, 용도별로 제품컬러의 출현빈도와 색상군을 파악할 수 있었다. 웹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정확한 컬러를 기대하기보다는 전체적인 색상군을 파악하는 것에 의의를 두어야 했다. 따라서 이를 기초 자료로 삼아 오가닉코튼의 제품 컬러팔레트를 구성한다면, 국내시장은 물론 해외시장의 수출에 있어서도 마케팅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Having an Interest in environment has become a trend across overall basics of life, and based on such social trend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lso ar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n the textile market. It is an absolutely true that even if environment-friendly functional textile is not a big portion in overall textile market the speed and power of fever for it will lead a future industry. It can be said that it is essential to reinforce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due to strict regulations for environment pollution. Environment-friendly textiles using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re mainly natural vegetable fibers, and among them the demand of organic cotton, which is most familiar to our life, is rapidly growing. As expansion of purchase for various organic cotton products reflecting such well-being trend, fashion businesses as well as global textile business are increasing their supply of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set a direction of color images based on the product analysis and the result of trend research. After selecting 32 well-recognized organic cotton brands using internationally-certified organic cotton and then studying and analyzing the colors of such products, it used the result as basic design data for organic cotton product. Such 32 brands consists of 10 Korean brands, 6 European brands and 11 U.S brands, and total 477 colors of those products were studied. Based on the analysis, it could identify the frequency in use of colors and a family of colors by region and use. Since the study was made online, its implication is to identify a family of colors in general, not to derive the exact colors. Therefore, if a color palette for organic cotton products is organized by using this study as basic data, it is expected to create a marketing effect in importation to overseas market as well as consumption in domestic market.

      • 남녀 유아의 성별에 따른 기질과 아버지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유지현(Yu Ji-Hyun),박정현(Park Jeong-Hyeon) MeFOT창의인성학회 2018 MeFOT 창의인성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조절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직·간접적 영향을 남아와 여아를 구분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3, 4, 5세의 유아 460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아버지 양육참여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이 실시되었다. 그 결과 첫째, 적응적 정서조절에 남아와 여아 모두 사회성 및 활동성 기질과 아버지 양육참여도가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 정서조절에 남아와 여아 모두 정서성 기질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여아의 경우 아버지 양육참여도도 직접적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여아의 경우 사회성 기질이 적응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정서성 기질이 부정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남아와 여아 공통적으로 유아의 적응적 정서조절의 경우 사회성 기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 정서조절의 경우 정서성 기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emperament,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efficacy on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430 3, 4, and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both in male and female children, adaptive emotional self-regulation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ir sociality, activity temperament, and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lso, both in male and female children, negative emotional self-regulation is directly influenced by negative emotional temperament, and in female children, their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indicates direct effects. Second, in female children, their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has mediating effects in the path of sociality temperament influencing adaptive emotional self-regulation, and also, their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shows mediating effects in the path of emotional temperament influencing negative emotional self-regulation. Third, both in male and female children, their adaptive emotional self-regulation is influenced by sociality temperament the most, and negative emotional self-regulation is influenced by emotional temperament the most.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유지현 ( Yu Ji-hyun ),이경님 ( Lee Kyung-n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1

        최근 상황에 따라 적절히 정서를 표출하고 조절하는 정서조절이 유아의 바람직한 행동을 위한 필수적인 능력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조절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직·간접적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3세에서 5세의 유아 398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정서조절에 사회성과 부정적 정서성 기질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조절에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직접적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정서조절에 대하여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기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정서조절발달에 부정적 정서성 기질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양육환경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children`s temperament,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398 3, 4, and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emotional self-regulation,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were to assess by mother`s repor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ling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and emotional temperament was to found to affect young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parenting efficacy. Second,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was found to affect young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indirectly through mother`s parenting efficacy. Third,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found to affect young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directly a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and between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self-regulation. Additionally young children`s emotional temperament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emotional self-reg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