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존의 리더십 교육은 과연 리더를 양성하고 있는가?

        유영만 한국성인교육학회 199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 No.2

        21C를 얼마 남겨 두지 않은 오늘날의 사회 · 경영환경은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하지만 21C 미래 사회의 키워드가 정보화라는데 많은 미래학자들이 공통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서 權力의 원천이 정치력이나 군사력 같은 武力에서 경제력과 기술력과 같은 金力으로 이전하였으며, 金力은 다시 정보력 · 창조력과 같은 知力으로 옮겨오고 있다. 산업사회와는 달리 정보화 사회에서 富의 원천은 바로 정보를 찾아서 가공하고 활용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는 말이다. 정보화 사회는 산업사회와는 달리 육체 노동력(brawn power)에 의존하기보다는 腦力(brain power) 에 의존하는 지식 집약적인 사회이다. 피터 드럭커는 다가오는 21C 사회는 정보화 사회를 축으로 모든 경제활동이 지식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지식경제(knowledge economy) 시대라고 예언했지만 기업활동의 많은 부분이 이미 지식경제시대의 여러 가지 특징적인 측면을 보여주고 었다. 전통적인 생산의 3요소라고 할 수 있는 토지, 노동, 자본이외에 보다 중요한 지식이 경제활동의 새로운 원천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라는 책으로 유명해진 Tapscott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이미 전직종의 60%가 지식을 매개로 업무활동을 하는 지식 노동자로 전환되고 있으며 그 중의 약 80% 정도가 지식창출 활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업종에 종사하고 있다고 한다. 이미 또한 모든 정보가 디지털의 형태로 전환돼서 빛과 같은 속도로 원하는 사람에게 원하는 장소로 전달되며, 전세계 어느 곳에서나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원하는 데이타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 SCOPUSKCI등재

        기관지 평활근종: 1 수술 치험례

        유영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8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18 No.4

        Benign tumor of the lung are relatively uncommon and leiomyoma among these is one of the rarest tumors. Because of salient features as well as the location of the leiomyoma, which led to the destruction of the lung and subsequent pneumonectomy, the importance of early diagnosis should be emphasized. Recently, authors experienced a leiomyoma of left main stem bronchus with complete atelectasis of the lung, resected with left thoracotomy and transverse bronchotomy in a 58 year old male. The tumor resected was composed of dense interlacing spindle cells by hematoxilin-eosin and also trichrome stains. At repeated bronchoscopic examination postoperatively, one and three months later, there was no evidence of any residual or recurrent tumors. For the universal rarity of the leiomyoma in the bronchus or lung and also there is no report in the reviews of the Journal of Korean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ince volume one, 1968, authors report a case with the foreign literature reviews.

      • SCOPUSSCIEKCI등재

        하반신마비를 동반한 흉추 Ewing's Sarcoma : 1예 보고 Report of 1 case

        유영만,이광영,문명선 대한신경외과학회 1982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1 No.3

        Since Ewing has reported a primary malignant tumor as medullary origin in 1921, the Ewing's sarcomas have been reported more than 1,000 cases in the literatures. The Ewing's sarcoma has frequent incidence in the long tubular bone but very rare in the skull and spine for primary malignant tumor of the bone. The incidence of the Ewing's sarcoma in the spine is very rare than in the skull. We experienced a case of Ewing's sarcoma of the thoracic spine which has associated a paraplegia as neurological deficit. A 24 years old Korean female has admitted to our clinic because of paraplegia with incontinence for 2 days. On admission, the neur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 paraparesis below T3 level with urinary and fecal incontinence, and then local tenderness on T2 level. No fever and leucocytosis were checked. Only the ESR has elevated up to 38㎜/hr. The simple X-ray film of the thoracic spine has showed a mottled destruction of the T2 vertebral body and abscence of the pedicle shadow, which were more similar to the picture of malignant tumor(primary or metastatic) than the bony change of ostemyelitis. We performed a myelography by pantopaque through the lumbar and cisternal puncture for accurate site of lesion. We found a complete block at T2 level by myelography. Then the immediate total laminectomy on T2-3 was applied. The operative finding was a extradural mass, which has compressed the spinal cord. We removed the tumor mass incompletely but the decompression was enough. The neurologic deficit has improved gradually for post-operative 2 weeks, but the improvement of neurologic deficit has stopped to T10 sensory recovery. We performed a radiation therapy as 4500 rads dose for 4 weeks, but no further improvement has been found. The post-operative pathological diagnosis was Ewing's sarcoma as a anaplastic small cell type.

      • KCI등재

        실천적 지혜(phronesis)에 비추어 본 수업설계자의 전문성 재고

        유영만 한국기업교육학회 2015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alternative perspective of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from the lens of phronesis and draw the implications of phronesis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Three different paradigms of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are critically reviewed in order for this study. That is to say, there are technical rationality that is seen expert’s competencies as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practical rationality regarded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as reflection in and on the process and result of designing instructional systems, and practical wisdom that has been emerged as a result of an alternative approach to technical and practical rationality in the field of instructional design. Aristotle defines phronesis in the Nicomachean Ethics as 'a true and reasoned state of capacity to act with regard to the things that are good or bad for man. It then clarifies phronesis as the core of an excellent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by reinterpreting instructional designer’s expertise from the perspective of pheonesis. The fin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implications of phronesis as an alternative paradigm to technical and practical rationality for developing the right instructional designer who has phronesis as well as epiteme and techne beyond a competent instructional designer. 본 연구는 Aristotle의 실천적 지혜(phronesis)에 비추어 수업설계자의 전문성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을 정립하고, 이것이 미래의 수업설계자 육성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업설계자의 전문성을 바라보는 다양한 접근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전문성을 바라보는 세 가지 패러다임은 우선 능숙한 수업설계자가 보유하고 있는 역량을 수업설계자가 갖추어야 될 전문성으로 바라보는 기술적 합리성, 수업설계자의 설계 행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성찰을 전문성 축적의 과정으로 바라보는 실천적 합리성, 마지막으로 기술적 합리성과 실천적 합리성의 한계와 문제점을 비판하고 대안으로 등장한 실천적 지혜다. 실천적 지혜는 특정한 환경에서 특정한 대상에게 특정한 시점에 맞추어 올바른 일을 올바르게 판단하고 추진하는 능력이다. 이어서 본 연구는 수업설계자의 전문성을 실천적 지혜에 비추어 재해석함으로써 탁월한 수업설계자가 갖추어야 될 전문성의 본질과 핵심이 바로 실천적 지혜에 있음을 밝혀보고, 기존의 역량 중심 ‘능숙한 수업설계자’를 넘어서 이론적 지식과 기술적 지식은 물론 도덕적 판단능력을 겸비한 ‘올바른 수업설계자’를 육성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한국 HRD의 과거, 현재, 미래 : 존재론적 HRD와 관계론적 HRD의 도전과 응전의 역사

        유영만 한국성인교육학회 2007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0 No.2

        본 연구는 기존의 HRD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 HRD를 ‘Human Resources Development’에서 ‘Happiness Revitalization Development’나 ‘Human Relationship Development’ 또는 ‘Human Revitalization Development’로 재해석한다. 즉 인간을 자원으로 취급하면서 효율중심, 경제적 환전가치 창출의 수단적 가치로 이해되는 기존의 HRD를 인간의 감수성과 창조적 상상력, 보람찬 성과와 행복한 일터조성에 주력하는 HRD 현실 과 실제를 총체적 관계망으로 파악하는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한국기업에서 논의되어 왔거나 적용된 HRD 이론과 실천 노력은 존재론적 패러다임보다는 관계론적 패러다임에 근거해서 이루어져 왔음을 논의 한다. 관계론적 HRD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농업화, 산업화, 정보화 시대에 따라 부각 된 이전의 제1세대, 제2세대, 제3세대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제4세대 HRD를 부각시킨다. 제4세대 HRD는 관계론적 가정 위에 정초된 일종의 「Post-HRD」의 성격을 지닌다. 「Post-HRD」에서 ‘post’는 이전의 HRD를 계승․발전하면서도 이전의 HRD를 넘어서는 「탈(脫)-HRD」의 성격이 강하다. 「탈(脫)-HRD」는 한 마디로 ‘HRD를 위하여 HRD를 넘어서는’ 대안적 연구노력이자 실천적 결단이다. 「탈(脫)-HRD」의 관계론적 특성에 근 간을 두고 그 동안 한국 HRD 현장에 수입되어 적용된 다양한 HRD 프랙티스의 존재론적 폐해와 역기능, 한계와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면서 존재론과 관계론의 철학적 차이점을 부각시킨다. 그동안 한국 HRD 현장에 적용되었던 환원론적 역량중심 교육체계 (CBC: Competency-Based Curriculum), 개체론적 지식관에 근거한 지식경영(KM: Knowledge Management), 객체기반 콘텐츠 개발과 학습관리시스템 중심의 e-Learning, 탈 맥락적 리더십 개발활동 등을 존재론적 구성 원리에 근거해서 이루어진 HRD 프랙티스 임을 관계론적 구성 원리와 접근 논리에 비추어 논의한다. 이를 위해 HRD의 역사적 발 전과정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미시문화사적 역사이해방법으로 논의되고 있는 두껍게 읽 기, 다르게 읽기, 작은 것을 통해 읽기 방법을 차용한다. 마지막으로 관계론적 HRD의 발 전방향을 제시하고, 관계론적 HRD의 연구과제로 인류학적 HRD 현장연구, 미시문화사적 HRD 역사연구,

      • KCI등재

        사회역학적․행동경제학적 관점에 비추어 본 대안적 수업설계 방향과 전략수립 논의

        유영만,최수진,이은택,설동준,이정훈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by combin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social-epidemiology and behavioral economics to instructional design. Social epidemiology is a methodology that takes the approach of finding the cause of an illness in the social structural context. Behavioral economics is a theory focus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who choose and act on the basis of limited rationality. Insight of social epidemiology is to be able to reflect on the limitations of existing instructional design in the view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methodology of behavioral economics provides methodologic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healthy learning.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social epidemiology in instructional design are as follows: (1) ecological instructional design, (2) social instructional design (3) multi-level instructional design (4) lifelong instructional design. In addition, in the methodology of behavioral economics, (1) default design to provide essential experience to learners, (2) affordance design to desig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environment, (3) feedback loop design to support continuous growth of learners, (4) coherent design that focuses on the early experience which constructs a learner's thinking frame. The four directions and four strategies are matched in the order of direction and strategy, and finally it is derived as a guide for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this study, we presented to existing instructional designs (1) the change in instructional design as a change in underlying theory (2) the possibility of methodological changes in instructional design (3) the role of ISDer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수업설계의 이론적, 방법론적 혁신을 위해 의학 분야의 사회역학 연구의 문제의식과 경제학 분야의 행동경제학적 방법론을 수업설계에 접목하는 것을 통해 대안적 수업설계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역학은 질병의 원인을 개인의 생리학적 특성보다는 그 사람이 속한 사회구조적 맥락 속에서 찾아야 한다는 접근법을 취하는 방법론이며, 행동경제학은 인간은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계산 주체라는 고전경제학의 전제를 의심하면서 제한된 합리성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인간에 주목한 경제학 이론이다. 사회역학의 문제의식은 학습장애를 바라보는데 있어서 기존의 수업설계의 한계가 무엇인지 성찰할 수 있게 하며, 행동경제학의 방법론은 건강한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역학의 시사점에서 (1) 학습 생태계라는 총체적 관점을 기초로 하는 생태학적 수업설계 (2) 학습자 행동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는 사회적 수업설계 (3) 학습자 및 학습환경 분석을 다양한 위계에서 진행하는 다수준적 수업설계 (4) 한시적 효과 발휘를 넘어서기 위한 통시적 접근으로서의 생애과정적 수업설계라는 4가지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행동경제학의 방법론에서는 (1) 학습자가 얻어야 할 필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디폴트 설계 (2) 학습자와 학습환경의 상호작용을 디자인하는 어포던스 설계 (3) 탈맥락적 보상이 아닌 학습자의 지속적 성장을 지원하는 피드백루프 설계 (4) 사고틀을 형성하는 초기 경험에 주목하는 일관성 설계의 전략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방향-전략을 토대로 수업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존의 수업설계에 대해 (1) 기저 이론의 변화가 주는 수업설계의 변화 (2) 수업설계의 과정 및 방법의 변화 가능성 (3) 수업설계자의 역할 및 핵심역량의 변화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미래의 수업설계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에 다시 생각해보는 아날로그 학습: 정보와 지식창출 및 공유 메카니즘에 비추어서

        유영만 한국산업교육학회 2000 산업교육연구 Vol.7 No.-

        디지털 시대에 접어 들면서 속도는 더욱 강조되고 아날로그 시대의 미덕이었던 느림은 빠름에 비해 주변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각인되고 있는 시점에서 아날로그의 본질적 속성과 디지털의 본질적 속성을 정보와 지식창출 및 공유 메커니즘에 비추어 한국산업교육의 발전방향을 재음미해보고 디지털 시대의 아날로그 학습을 통한 지식창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가 가속화될수록 아날로그적 상상력과 창의력의 소중함을 인식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몇 가지 에피소드를 통해 설명하고, 디지털 네트워크를 타고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정보에 인간적 고뇌와 체험, 그리고 자신의 창조적 아이디어가 가미시키지 않는다면 절대로 정보에서 지식으로 전환되지 않는다는 점을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서는 인간적 고뇌와 설명하기 어려운 암묵적 지식은 절대로 공유될 수 없기 때문에 디지털의 급류가 일상은 물론 기업 전체에 퍼질수록 무한한 가능성을 생각해내고 독특한 지적 창의성이 유래하는 아날로그적 사고와 이를 통한 학습활동을 강조하는 한국산업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