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형성평가 리터러시 유형과 영향 요인 탐색

        유신복,신이나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4 지방교육경영 Vol.27 No.1

        최근 과정중심평가,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라는 교육정책에 맞추어 수업에서 형성평가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평가리터러시는 평가와 관련해서 평가지식을 바탕으로 평가를 시행하고 결과를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형성평가에 초점을 맞추어 교사의 평가리터러시를 다루는 것을 형성평가 리터러시라고 정의하고, 중학교 교사 517명을 대상으로 형성평가 리터러시를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대구교육 종단연구의 5차 교사 데이터에서 형성평가 리터러시 문항을 추출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형성평가 리터러시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형성평가 리터러시가 차별적으로 유형화됨을 확인하였다. 즉 중학교 교사는 우수한 형성평가 리터러시형(2.1%), 높은 형성평가 리터러시형(23.2%), 평균 형성평가 리터러시형(62.9%), 낮은 형성평가 리터러시형(11.8%)으로 유형화 되었다. 둘째, 교사의 형성평가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하여 교사의 형성평가 리터러시 함양에 도움이 되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formative assessment in classes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in alignment with the educational policies of learning process assessment, free semester system, and alignment of curriculum-class-assessment. assessment literacy refers to the ability to conduct assessment based on assessment knowledge and utilize the results.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formative assessment, defined formative assessment literacy as dealing with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and attempted to type formative assessment literacy targeting 517 middle school teachers. Formative assessment literacy items were extracted from the 5th teacher data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performe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derived formative assessment literacy latent profi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middle school teachers' formative assessment literacy was differentiated. In other words, middle school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excellent formative assessment type (2.1%), high formative assessment literacy type (23.2%), average formative assessment literacy type (62.9%), and low formative assessment literacy type (11.8%). Seco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eachers' formative assessment literacy were explored.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helpful in cultivating teachers' formative assessment literacy were presented.

      • KCI등재

        청소년 학업적 내재동기의 변화 및 안정성과 영향요인 탐색

        유신복,신이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시행한 한국교육종단연구의 1차년도에 해당되는 중학교 데이터와 5차년도에 해당되는 고등학교 데이터를 연계하여, 청소년 학업적 내재동기 변화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을 결정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이며, 분석방법은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 LTA)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중․고등학교에서 동일하게 4개의 학업적 내재동기 잠재프로파일 유형(동기우수형, 동기평균형, 영어동기결핍형, 동기위기형)을 확인하였다. 둘째, 청소년 학업적 내재동기의 변화 및 안정성은 약 48%는 안정성을 유지하였으며, 약 52%의 전이가 나타났다. 학업적 내재동기 프로파일의 전이 양상을 살펴보면, 약 27%의 학생들은 학업적 내재동기 프로파일이 학업적 내재동기가 상향하는 적응적인 방향으로 전이가 나타났으며, 25.1%의 학생들은 학업적 내재동기 프로파일이 학업적 내재동기가 하향하는 부적응적인 방향으로 전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프로파일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향요인을 교사지원 및 부모지원으로 다각적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가 지각한 교수 및 평가 실제, 기본심리욕구,학업참여 및 핵심역량의 구조적 관계

        유신복,송영명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3

        In order to cultivate pre-service teachers with core competencies that can actively and proactively responding to a changing society, the importance of the classroom teaching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is emphasized. this study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 basic psychological needs, academic engagement, and core competency perceived by the pre-service teacher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pre-service teacher's core competency to cope with the future society. The subjects of study were 411 pre-service teachers of 4 university located in D and K Metropolitan City.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ional design of the instruct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cademic engagement, and core competencies. The autonomy support of the instruct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except for the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and core competencies, and academic engagement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re competenci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instructional design, autonomy support, and core competencies. 변화하는 사회에 능동적이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핵심역량을 갖춘 예비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핵심적인 기능이자 본질인 수업의 내실화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예비교사의 핵심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예비교사가 지각한 교수 및 평가 실제, 기본심리욕구, 학업참여 및 핵심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예비교사가 지각한 교수 및 평가 실제에는 교수자의 교수방법 및 평가에 관한 수업설계와 수업에서의 자율성 지지를 가정하였다. 연구대상은 D, K지역의 사범대학 및 교직을 이수하는 411명의 예비교사이다. 연구의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의 수업설계는 기본심리욕구, 학업참여, 핵심역량에 유의한 결과는 효과를 나타냈고, 교수자의 자율성지지는 핵심역량에 간접효과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본심리욕구는 학업참여, 핵심역량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학업참여도 핵심역량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의 수업설계 및 자율성지지와 핵심역량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학업참여의 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수학교과에서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업방법 유형 분석: 학교 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유신복,김혜숙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미래교육학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ing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subject-specific interests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methods perceived by students. Method: Discrimina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Results: First, It was classified in 3 clusters: Cluster 1 is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are all high, Cluster 2 is Low Teaching Methods Cluster-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are all low, Cluster 3 is Instructor-Centered or Low Learner-Centered Cluster-instructor-centered teaching method is high but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is mean or low. Clusters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methods perceived by students were different among school levels. Second, Low Teaching Methods Cluster’ ratio increase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In case of general high school, the level was similar to that of middle school. Also In case of high school,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 ratio higher than that of general high school. Third, At all levels of the school, the subject-specific interests in Mathematics was in order of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 Instructor-Centered or Low Learner-Centered Cluster, Low Teaching Methods Cluster. Finally, At all levels of the school, High Teaching Methods Cluster had higher achievement.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 한정하여 학생이 인식하는 교수법 변인을 중심으로 교사의 수업 방법을 유형화하고, 이러한 수업방법 유형에 따라 교과 흥미와 학업 성취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학교 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전국 수준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특히, 학교 급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체 학교급을 포함시켜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군집분석과 판별분석을 사용하였다. 첫째,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수학 수업 방법은 3개의 군집인 즉 교수자중심 교수법과 학습자중심 교수법이 모두 높은 군집1, 교수자중심 교수법과 학습자중심 교수법이 모두 낮은 군집2, 교수자중심 교수법이 높으며 학습자중심 교수법이 평균 수준 혹은 낮은 수준의 군집3으로 유형화되었는데, 학교 급과 학교 유형에 따라 프로파일 양상이 상이했다. 둘째, 군집2의 비율은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진학하면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일반고의경우에는 중학교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특목고는 일반고에 비해 수업에서 군집1의 비율이 높았으며, 일반고에서는 특목고보다 군집3이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셋째, 모든 학교 급에서 수학 흥미는 군집1, 군집3, 군집2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모든 학교 급에서 군집1이 군집2보다 수학성취도가 높았으며, 특목고에서는 군집3이 군집1과 수학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의 교수법이 교수자중심 및 학습자중심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학교급에 따라 다양하게 유형화됨을 확인하였으며, 대체로 학습자중심이든 교수자중심이든 교사의 수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학습자의 흥미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 및 평가의 실제와 학습자 특성이 수학교과흥미 및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유신복,송영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er's teaching and assessment practices, students' self-esteem, and academic efficacy on subject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explore the causes of students' affective and cognitive achievement. Methods Using data from the 3rd year of the Daegu Education Panel Study (2019),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degree of each variab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teachers on cognitive and affective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orm of teaching and assessment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thematics and interest except for the entire feedback experi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feedback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Second, it was found that only the total feedback experience, individual feedback experience, and task feedbac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thematical achievement in the form of instructional and evaluation practice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Like the mathematics and interest regression model, individual feedback experienc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In the case of the effect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mathematical achievement, only academic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when comparing the size of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it was found that academic efficacy, which is the learner characteristic, had the greatest effect Conclusions The actuality of classes and evaluation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ifferential effect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students' math interest,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were confirmed,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used in teachers' classes were proposed.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와 인지적 성취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원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그들이 인식한 수업및 평가 실제(classroom assessment practice)와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학업적 효능감이 수학교과흥미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대구미래교육연구원에서 제공하는 3차년도(2019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각 변수의 상관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중학생의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성취에 미치는 교사의 수업 및 평가 실제와 학습자 특성의 차별적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해 각 모형의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 및 평가 실제의 형태에서 전체피드백경험을 제외하고는 수학교과흥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별피드백경험의 경우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특성에서는 자아존중감과 학업적효능감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 및 평가 실제의 형태에서 전체피드백경험, 개별피드백경험, 과제피드백만이 수학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교과흥미 회귀모형과 마찬가지로 개별피드백경험의 경우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특성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학업적효능감만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준화계수의 크기를 비교하면, 학습자특성인 학업적 효능감이 가장 큰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학생이 인식한 수업 및 평가의 실제와 학습자 특성이 학생의 수학교과흥미 및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사의 교실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

        유신복,손원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chool happiness. Also we identified the sub-groups by a cluster analysi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n explored their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3 students sampled from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city and K province. We hypothesized a structural model in that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influ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onomy, and autonom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mpetence, or relatedness and in turn, thes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fluence their school happiness.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either direct or indirect ways, while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on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terms of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from a cluster analysis suggested that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can also play a positive role for the child’s psychological needs and happi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ternal expressiveness can contribute to their child’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Finally, it was discussed that future work with the person-oriented perspective is neede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aren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ts effects on other psychological trai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크게 두 가지의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먼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 등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한 정서표현성의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정서표현성 프로파일별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 및 K지역에 위치한 8개 초등학교 5, 6 학년 총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변인 측정을 위하여 자기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정서표현성은 자녀의 기본심리욕구뿐 아니라 학교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다. 반면 어머니의 부정 정서표현성은 자율성 및 학교행복감에는 부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으나, 자녀의 유능성 및 관계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또는 부정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자율성-관계성, 자율성-유능성 등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유능성 및 관계성은 긍정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단순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프로파일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는데, 긍정과 부정 정서표현성이 모두 평균 이상인 집단, 모두 낮은 집단, 또한 둘 중 하나의 정서표현성이 높은 집단 등이었다. 이 중 긍정과 부정 정서표현성이 균형을 이루거나 긍정 정서표현성만 높은 프로파일의 경우가 다른 프로파일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행복감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정 정서표현성의 효과와 더불어서 보다 적응적인 형태의 정서표현성 유형을 탐색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화에 따른 뉴스 리터러시 및 사회적 참여의 차이

        유신복(Yu, Shin-bok),김난옥(Kim, Nanok)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오늘날 다양한 매체 환경에 노출된 중학생이 어떠한 형태로 매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적용하여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을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된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레퍼토리 유형에 따른 뉴스 리터러시와 사회적 참여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실시한 ‘10대 청소년 미디어 이용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학생의 미디어 레퍼토리는 PC 및 모바일 인터넷, 메시징 서비스, SNS의 이용확률도 높은 편이고, 1인 방송, 팟캐스트, 텔레비전, 종이신문, 라디오, 잡지의 이용확률이 높은 집단으로, 10개 미디어의 전반적 이용률이 높은 다중매체 이용 집단(2.2%), PC인터넷의 이용확률은 없으며, 모바일, 메시징서비스, SNS의 이용률이 높은 집단인 모바일-소셜네트워킹 중심 이용 집단(23.1%), 모바일뿐만 아니라 PC인터넷 이용확률도 높으며, 메시징서비스, SNS뿐만 아니라 1인 방송의 이용확률이 높고, 텔레비전, 종이신문, 라디오, 잡지의 이용확률이 낮은 집단인 뉴미디어 중심 이용집단(67.7%), 모바일 인터넷의 이용확률이 높기는 하나 이에 비해 다른 매체들의 이용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인 미디어 저이용 집단(6.9%)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둘째, 중학생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들 유형에 따라 뉴스 리터러시와 사회적 참여가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중학생의 뉴스 리터러시는 ‘다중매체 이용집단’이 가장 높고, ‘모바일-소셜네트워킹 중심 이용집단’이 가장 낮았으며, 사회적 참여인 서명운동과 기부경험도 ‘다중매체 이용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 및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media use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what types of media are used by adolescents exposed to various media environmen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ategorized types,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news literacy and soci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media repertoire type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data condu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and classified the latent class by applying the latent class analysis method. As a result, first, the media repertoire of middle school student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classes: a multi-media use group, a mobile-social networking-oriented use group, a new media-based use group, and a media low-use group, respectively. Second, according to the media repertoir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news literacy and the degree of social participation. Selective reading, balanced reading, and critical reading were all high in the multi-media use group, and the average of the mobile-social networking-focused use group was the lowest.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 분석

        유신복(Yu, Shin-Bok),박정(Park, Ch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요인인 디지털 리터러시 기술, 지식 및 태도에 따라 차별적인 잠재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된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B광역시 B교육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에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적으로 응답한 555명을 연구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5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으며, 프로파일의 유형은 디지털 리터러시 지식 열위(31%), 디지털 리터러시 중위(25%),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19.1%),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우수(14.1%),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10.8%)이다. 도출된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우수, 디지털 리터러시 중위, 디지털 리터러시 지식 열위,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의 순으로 온라인 학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디지털 리터러시 잠재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른 온라인 학습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온라인 학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지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differential profile exists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skill, knowledge, attitude, which are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dentified digital literacy profile typ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in 2020 for students enrolled in B University of Education in B Metropolitan City, and 555 students responded. The collected data were investigated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One-way ANOVA. Results: Five latent profiles were identified, and the profile types were: poor digital literacy knowledge (31%), middle digital literacy (25%), excellent digital literacy (19.1%), good digital literacy attitude (14.1%), and low digital literacy (10.8). The difference in e-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type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the e-learning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excellent digital literacy, middle digital literacy, poor digital literacy knowledge, good digital literacy attitude, and low digital literac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support a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digital literacy and e-learning satisfac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학습자 중심 수업과 피드백 경험, 정의적 성취 및 수학교과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유신복(Shinbok Yu),김난옥(Nanok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feedback experience and affective and cognitive achievement, focusing on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at emphasize student grow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third year of the middle school panel of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overall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but individual feedback had a negative effect on academic efficacy. Second, the higher the academic efficacy or the higher the happiness in school learning, the higher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Third, the direct effect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overall feedback on mathematical competencies was not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 of individual feedbac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looking at the indirect effects, the indirect effects of academic efficacy were all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verall feedback, and individual feedback and mathematical competencies.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happiness in school learning was significan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overall feedback and mathematical competenci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최근 교실 수준에서 학생의 성장과 교수-학습 개선에 도움이 되는 수업과 평가가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성장을 강조하는 수업 및 평가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 중심 수업 및 피드백과 학생의 정의적 및 인지적 성취와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의적 성취에는 학업적 효능감과 학교 학습에서의 행복감에 초점을 두었으며 인지적 성취는 수학교과역량을 포함하였다. 대구교육종단연구의 중학교 패널 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중심 수업과 전체 피드백은 학생의 정의적 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개별 피드백은 학업적 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업적 효능감이 높거나 학교 학습에서의 행복감이 높을수록 수학교과역량이 높았다. 셋째, 수학교과역량에 대한 학습자 중심수업과 전체 피드백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개별 피드백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학습자 중심 수업, 전체 피드백, 개별 피드백과 수학교과역량의 관계에서 학업적 효능감의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하였지만, 학교 학습에서의 행복감이 갖는 간접효과는 학습자 중심 수업, 전체 피드백과 수학교과역량의 관계에서만 유의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교실 환경에서 학생의 성장을 위한 수업과 평가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