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Factors Related to Blood Intact Incretin Level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유소연,양은진,고관표 대한당뇨병학회 2019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43 No.4

        Background We performed this study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intact incretin level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Methods We cross-sectionally analyzed 336 patients with T2DM. Intact glucagon-like peptide 1 (iGLP-1) and intact glucose-dependent insulinotropic polypeptide (iGIP) levels were measured in a fasted state and 30 minutes after ingestion of a standard mixed meal. The differences between 30 and 0 minute iGLP-1 and iGIP levels were indicated as ΔiGLP-1 and ΔiGIP. Results In simple correlation analyses, fasting iGLP-1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lucose, C-peptide, creatinine, and triglyceride level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ΔiGLP-1 was positively correlated only with ΔC-peptide levels. Fasting iGIP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and fasting glucose levels,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ΔC-peptide levels. ΔiGI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abetes duration and HbA1c level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Δglucose and ΔC-peptide levels. In multivariate analyses adjusting for age, sex, and covariates, fasting iGLP-1 leve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fasting glucose levels, ΔiGLP-1 levels were positively related to ΔC-peptide levels, fasting iGIP levels were related to fasting C-peptide levels, and ΔiGIP levels were positively related to ΔC-peptide and Δglucose levels. Conclusion Taken together, intact incretin levels are primarily related to C-peptide and glucose levels. This result suggests that glycemia and insulin secretion are the main factors associated with intact incretin levels in T2DM patients.

      • KCI등재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숲놀이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유소연,김수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rest play activities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on the nature-friendly attitude and playfulness of 2-year-old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rom C daycare center and S daycare center located in P-city, Gyeongbuk, and 42 children aged 2 yea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1 two-year-old infants at C daycare center, and 21 two-year-old infants at S daycare center in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 started from September 28, 2020 and went to December 18, 2020, and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forest play activities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three times a week,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outdoors at the outdoor playgroun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ree times a week. Free play was held a total of 36 tim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est play activities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are more about the interest and love of animals and plants, which are sub-factors of the nature-friendly attitude and natural evolutionary attitude of 2-year-old infants, a sense of respect for life, and a love for the natural environment rather than an artificial environment. It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Forest play activities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which are sub-factors of playability and playfulness of 2-year-old infants. In conclusion, it is educationally implied that forest play activities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are effective in promoting the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playfulness of 2-year-old infants.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숲놀이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북 P시에 위치한 사회경제적 수준이 비슷한 C어린이집, S어린이집 만 2세 영아 총 42명이다. 실험집단은 C어린이집 만 2세 영아 21명, 비교집단은 S어린이집 만 2세 영아 21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은 2020년 9월 28일부터 시작하여 2020년 12월 18일까지 실험집단은 매주 3회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숲놀이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매주 3회 유아교육기관 내 실외놀이터에서 실외 자유놀이를 총 36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숲놀이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자연진화적 태도 하위요인 동·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호,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인공 환경보다 자연환경에 대한 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숲놀이 활동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과 놀이성의 하위요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 감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태그림책을 활용한 숲놀이 활동은 만 2세 영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놀이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교육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20세기 초반 대덕 지역의 고모음화 현상과 모음 /오/, /우/의 특징

        유소연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9 No.-

        This paper examined The Sourcebook of Korean Dialects: Chungcheongnam-do Edition and An Outline of Korean Oral Literature: Daedeok-gun Edition to analyz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Daedeok region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paper focused on the vowel raisings of “e → i,” “eo → eu,” and “o → u.” The linguistic materials of the Daedeok region showed that the vowel raising of “o → u” was relatively less active in comparison. Thus, this study posi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wels /o/ and /u/ affected the realization of vowel raising. This paper analyzed the realization of vowel-related phonological processe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conjectured that the vowels /o/ and /u/ are phonetically closer compared to the /eo/ and /eu/, and /e/ and /i/. Therefore, it could be predicted that the phonetic distance between the vowels can affect the degree of realization of vowel raising. 이 글은 20세기 초반 대덕 지역의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 양상을 통해 대덕 지역이 단모음 체계에서 모음 /오/와 모음 /우/가 갖는 특징을 분석한 글이다. 고모음화 현상은 조음상의 편이를 위해 발생하는 음운 현상이며, 이는 해당 모음이 장음으로 실현되는 경우와 해당 모음에 선행하는 자음이 [+설정성] 자질을 가질 때 활발하게 실현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 음운 현상이라면, 단모음 체계상 모음 /에/와 모음 /이/, 모음 /으/와 모음 /어/, 모음 /우/와 모음 /오/는 유사한 정도로 실현되어야 할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20세기 초반 대덕 지역어를 확인할 수 있는 <<한국방언자료집-충청남도편>>과 <<한국구비문학대계-충청남도 대덕군편>>을 분석한 결과, ‘오→우’ 고모음화 현상은 다른 고모음화 현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활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차이가 고모음화 현상이 실현되는 모음들이 가지고 있는 실제적인 음성적인 거리가 차이를 가질 수 있음에 기인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후설 모음들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음운 현상의 실현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모음 /오/와 모음 /우/의 음성적 거리가 매우 가까울 것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특징이 고모음화 현상의 실현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19세기 말 서천 지역어의 단모음 체계

        유소연 한국방언학회 2022 방언학 Vol.- No.36

        19세기 말 서천 지역어를 반영한 ≪초학요선≫과 ≪한자용법≫은 구어를 반영한 자료로 음운 현상의 실현 양상을 통해 단모음 체계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훈민정음(해례본)≫과 ≪저정서≫를 통해 15세기와 18 세기 단모음의 특성과 단모음 체계의 변화 방향을 파악하여, 현대 한국어단모음체계로 변화되는 과정 속에서 19세기 말 서천 지역 단모음 체계가 보이는 특징을 살펴 보았다. ≪초학요선≫과 ≪한자용법≫은 [+설정성] 자음이 선행하는 환경에서‘ㆍ >ㅡ’의 변화를 겪은 어형들이 확인된다. ‘ㆍ ’의 음가가 15세기의 중설 중모음에서 18세기의 후설 중모음으로 이동되며 모음 ‘ㅡ’와 점차적으로 고저자질에서 대립 관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단모음 체계의 변화와 관련지어 선행 자음의 조음 위치에 영향을 받아 ‘ㆍ >ㅡ’의 변화가 실현된 것으로 볼 수있다. ‘ㆍ ’가1단계 변화를 겪은 이후에는‘ㆍ→ㅏ ’의 예들이 확인되는데, [+ 설정성] 자음이 선행하는 환경에서 주로 확인돼, 모음 체계의 변화와 관련됨을 알 수 있다. 19세기 말 서천 지역어의 단모음은 ‘ㅣ , ㅔ , ㅐ , ㅟ, ㅚ, ㅡ, ㅓ , ㆍ , ㅏ , ㅜ, ㅗ’로 볼 수 있는데, 이 중에서 ‘ㅟ, ㅚ’는 ‘ㅔ , ㅐ ’에 비해 음소로서의 지위가 확고하지 않으며, 특히 ‘ㅟ’가 상대적으로 후대에 단모음체계에 편입되었을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ㆍ ’는 음소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어, 다른 후설 모음에 비해 음소로서의 지위가 불안정하다. 또한 모음 체계의 변화 과정과 관련해 모음 ‘ㅗ’와 ‘ㅜ’의 음성적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까움을 추정할수 있었는데, 이는 고모음화와 ‘ㅣ ’ 모음 역행 동화, 원순모음화와 비원순모음화의 실현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군산시 초등학교 음악실 및 음악 전담교사 현황과 실태

        유소연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2

        본 연구는 군산시의 초등학교 음악실 및 음악전담교사 실태를 파악하고 음악교육 환경 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군산시 초등학교 58개의 음악 실 및 음악전담교사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근무경력 5년 이상 그리고 2개이상 초등학교에서 근 무한 초등교사 5인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 면담하였다. 그 결과 군산시는 음악실과 음악 전담 교사 보유율이 절반도 되지 않으며 서울지역에 비해 음악 환경적 요소가 미흡하게 갖춰져 있었 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음악실 구비, 음악 전담교사 의무 배정, 실제적 교사대상 음악 연수, 음악 교과의 위상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충남 서천 지역 ‘ㅔ, ㅐ, ㅚ’, ‘ㅟ’ 단모음화의 특징

        유소연 한국방언학회 2024 방언학 Vol.0 No.40

        19세기 말∼20세기 초 서천 지역어에서 ‘ㅔ[e], ㅐ[ɛ], ㅚ[ö]’, ‘ㅟ[ü]’는 단모음화가 이루어졌으나, ‘ㅔ, ㅐ, ㅚ’와 ‘ㅟ’는 단모음화의 시기와 그 정도에서 차이를 보인다. ‘ㅔ, ㅐ, ㅚ’에 비해 ‘ㅟ’의 단모음화가 상대적으로 늦게 이루어진 것은 ‘ㅗ, ㅜ’의 음가 변화에 따른 것으로, 이는 이들이 이중모음으로 실현되었다는 점과 핵모음이 음가 변화를 겪었다는 점과 관련된다. 이에 보다 후대 자료인 ≪한국방언자료집-서천≫의 고모음화 현상과 원순모음화 현상의 실현 양상을 통해, ‘ㅗ, ㅜ’의 음가 변화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초학요선≫과 ≪한자용법≫에 비해 ≪한국방언자료집≫에서 ‘ㅗ→ㅜ’ 고모음화 현상이 활발하게 실현됨을 보이는데, 원순모음화와 비원순모음화의 실현 양상을 통해 ‘ㅜ’가 비교적 후대까지 음가가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ㅔ[e], ㅐ[ɛ], ㅚ[ö], ㅟ[ü]’ in Seocheon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ere monophthongized, but ‘ㅔ, ㅐ, ㅚ’ and ‘ㅟ’ differ in the timing and extent of monophthongization. The relatively late monophthongization of ‘ㅔ, ㅐ, ㅚ’ compared to ‘ㅟ’ was due to the change of vowel phonetic value(‘ㅗ, ㅜ’). Originally, ‘ㅔ, ㅐ, ㅚ, ㅟ’ was diphthong. And diphthong’s nuclear vowel suffered the change of vowel phonetic value. Therefore, high-vowelization and unrounding were analyzed in the Korean Dialect Sourcebook. Based on the results, the change of vowel phonetic value of ‘ㅗ, ㅜ’ was confirmed. Compared to Chohakyoseon and Hanja Yongbeop, the ‘ㅗ → ㅜ’ high-vowelization was actively realized in the Korean Dialect Sourcebook,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honetic value of ‘ㅜ[u]’ through the realization of vowel rounding. And this means that ‘ㅗ, ㅜ’ is becoming a modern Vowel System of mid-vowel and high-vowel.

      • KCI등재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분석

        유소연,이순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thematics contents that involve life themes and activity types, provided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daily child care plans drawn up by day care center teachers and identify how such are being actually applied at day care centers. For a frequency-based analysis, daily education plans used for classes in seven day care centers located in P City were collected., All the daily education plans were found to accord with the names and contents of daily activity by life theme in the standardized child care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ged two.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 in the daily child care plans was ‘taking interest in space and figure and classifying the twos,’ whereas ‘taking interest in simple rules’ was the least frequent. By life theme, ‘playing animals’ and ‘enjoying colorful autumn’ were the most frequent, whereas in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taking interest in space and figure and classifying the twos’ was the most frequent and ‘taking interest in simple rules’ was the least frequent. Second, the indoor free play activity with the greatest number of mathematics contents was ‘sense/exploration area of interest’. In add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taking interest in space and figure’ was the most frequent, with the most frequent sub-topic being ‘taking interest in shape of objects around us.’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표준보육과정을 기반으로 보육계획안에 나타난 수학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P시에 위치한 7개의 어린이집 수업에 적용한 일일보육계획안이며,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보육계획안을 바탕으로 수학교육의 생활주제별 분포와 실내자유놀이 활동별 분포를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2세 표준보육과정 일일보육계획안의 수학교육 내용은 공간과 도형에 관심가지기와 구분하기의 영역이 가장 많이 분포가 나타났고, 단순한 규칙성에 관심가지기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생활주제별 수학적 탐구하기 내용으로 ‘동물놀이해요’와 ‘알록달록 가을이에요’의 생활주제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만 2세 표준보육과정 일일보육계획안에 나타난 수학교육 내용 중 실내자유놀이영역에서는 감각·탐색 흥미 영역, 수학교육내용에서는 공간과 도형에 관심가지기의 내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세부내용으로 ‘주변사물의 모양에 관심을 가진다’에 집중적인 분포가 나타났다.

      • KCI등재

        회덕군 고시 지명의 의미·음운·표기상의 문제점 - 마을 지명을 중심으로

        유소연 한국지명학회 2024 지명학 Vol.41 No.-

        본고는 회덕군의 고시 지명을 분석함으로써 의미·음운·표기상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지명어·한국어·대전지역어의 일반적 특징과 관련해 고시 지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로써 고시 지명 정비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공개한 회덕군 고시 지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고시 지명이 해당 지역에서 본래 사용되던 지명이 유지·변화되었을 가능성과 다양한 요인에 의해 생성·변경·폐지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회덕읍지』, 『호구총수』, 『조선지지자료』, 『五萬分一地形圖』, 『충청남도지지조서』 등의 자료에서 문증되는 지명과 『대전지명지』, 『한국지명총람』 등의 자료를 함께 검토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의미상, 본래의 의미에서 벗어난 경우와 고시 지명에 병기된 한자 지명이 의미 이해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알외, 먼고개, 남해’는 ‘알뫼[卵山], 머고개[梧桐嶺], 남개[木浦]’의 의미가 분명히 드러나지 않으며, ‘소들(所坪), 황소(黃水), 오물(五勿)’에 병기된 한자 지명은 ‘孝坪, 大禾, 梧井’과 차이를 보인다. 음운상, 음운현상이 실현된 변화형이 의미 이해에 방해가 되는 경우와 지명 사용자들의 실제 말소리를 반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장개울, 배재기, 느릅고지’는 연구개음화, 움라우트, 사잇소리 현상에 의한 변이형으로, 본래의 고유어지명이 가지는 ‘細, 城, 黃’의 의미와 거리가 멀다. 또한 ‘샘머리, 배고개’는 대전지역어와 한국어의 특성을 반영한 ‘새암머리(샴머리), 배오개’가 문증된다. 표기상, 고시 지명 중에서 과도하게 한자어화한 형태와 표기 규정에 맞지 않는 형태가 확인된다. ‘한샘낵이, 목달이’는 ‘찬샘내기, 남달미’의 ‘차-[冷], 목[木]’이 한자어화한 경우이며, 사이시옷 표기 규정이나 두음법칙 등의 표기 규정에 어긋난 고시 지명도 확인된다. 따라서 고시 지명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이들 문제에 대한 해결이 필요할 것이며, 대전광역시 전체 고시 지명을 대상으로 한 검토나 미고시 지명 등을 포함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officially announced Toponym' of Hoedeok-gun in terms of meaning, 'phoneme', and 'orthography' to identify problematic cases. In terms of meaning, there are cases where it deviates from the original meaning, and cases where the 'Chinese character notation of Toponym' of the 'officially announced Toponym' does not help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Al-oe, Meongogae, Namhae' does not clearly reveal the meaning of 'Almoe[卵山], Meogogae[梧桐嶺], Namgae[木浦]',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Chinese character notation of Toponym' of 'Sodeul(所坪), Hwangso(黃水), Omul(五勿)', which is '孝坪, 大禾, 梧井'. In terms of ‘phoneme’, there are cases where the transformation forms that have realized ‘phonological phenomena’ interfere with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and cases where they do not reflect the actual ‘phoneme’ of place name users. ‘Jang-gaeul, Baejaegi, Neuleubgoji’ are transformation forms due to Velarization, Umlaut, and ‘Sait-sori Phenomena’, and are far from the meaning of ‘細, 城, 黃’ of the original ‘Native Toponym’. In addition, ‘Saemmeoli, Baegogae’ is attested as ‘Syammeoli, Baeogae’,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ejeon regional dialect and Korean. In terms of ‘orthography’, excessively Sino-Koreanized forms and forms that do not conform to the ‘orthography’ regulations are confirmed among the ‘officially announced Toponyms’. ‘Hansaemnaeg-i, Mogdal-i’ is a case where ‘Cha-[冷], Mok[木]’ of ‘Chansaemnaegi, Namdalmi’ are Sino-ized, and ‘officially announced Toponyms’ that are against the ‘Korean orthography’ such as ‘Orthography of ‘Sai-siot’’ and ‘the initial law’ are also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