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서적 방임 아동의 학교적응에 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유세진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21 임상미술심리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정서적 방임을 경험한 초등학교 2학년 남아에게 미술치료를 시행하여 미술 치료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미술치료는 20회기, 주 1회 50분간 Y초등학교에서 진행되었다. 아동의 심리 정서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사전검사로 CBCL, TRF, KFD를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아동의 학교적응 정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 해 TRF와 KFD를 실시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아 동의 주의 산만함과 공격성으로 인한 문제행동과 DSM 진단 척도상의 ADHD 점수, TRF 문제행동증후군의 공격행동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로 미루어 미술치료는 정 서적 방임을 경험한 아동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대상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 척도 점수가 낮아진 것으로 보아 미술치료는 아동의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술치료가 정서적 방임을 경험한 아동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정서적 방임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child's adaptation to school by administering art therapy to 2nd-grade elementary school boy who were emotionally neglected. Art therapy was held at Y Elementary School for 50 minutes once a week, 20 sessions from July 2016 to December 2016. K-CBCL6-18, TRF, and KFD were performed as pre-tests to determine the psycho-emotional state of child, and TRF and KFD were conducted, compared, and analyzed to measure the degree of school adaptation of child before and aft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problem behavior due to the distraction and aggression of the target child, ADHD score on the DSM diagnostic scale, and the attack behavior of the TRF problem behavior syndrome have significantly decreased, art therapy is positive for the school adaptation status of child who has suffered emotional neglect gave a phosphorus effect. Second, as the scores on the social immaturity scale were lower than that of the preliminary examination,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hips of child who was neglected emotionall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 adaptation of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emotional neglect, and that it presents basic data for art therapy research on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emotional neglect.

      • KCI등재

        이중관계에 있는 동료미술치료사 간의 내담자-치료사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유세진,정보라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3

        In this study, do ethical concerns about the client being in a dual relationship make it inappropriate to consider a request for counseling even though the client has a doubl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due to the special circumstances and difficulties in the art therapy clinical field? The research started with exploring this question. Accordingly, two researchers, who are fellow art therapists, established a therapeutic client-therapist relationship and tri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dual relationship experience while performing art therapy through narrative inquiry. As fellow art therapists, co-researchers, and research participants, Jin and Jung met 12 times over 3 months and experienced client-therapist interaction in a double relationship. Each researcher composed a narrative of her experiences as a client and a therapist through word and picture analyses. Each then found the final research text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and analyzing each other's narratives. Based on those aspects, the experiences between the two art therapists revealed following: “the therapist is a channel through which the inner voice is transmitted”, “client gains the courage from the therapist's warm gaze”, “the client and therapist both get to learn from each other”, and “therapist becomes a companion”. Based on these cont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탐구는 미술치료 임상에서 내담자의 어려움과 환경이 특수하여 치료사와 이중관계임에도 상담 의뢰를 할 경우에 치료사가 이중관계라는 윤리적인 이유로 상담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과연 적절한가? 라는 물음에서 시작하였다. 이에 동료미술치료사인 두 연구자가 내담자-치료사의 치료적 관계를 맺고 미술치료를 해나가는 과정에서 이중관계가 주는 경험의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찾고자 한다. 동료미술치료사이며 공동연구자이자 연구참여자인 진과 정은 3개월간 12번의 미술치료를 통해 이중관계 안에서 내담자-치료사의 경험을 하였다. 각 연구자는 자신이 경험한 내담자, 치료사로서의 경험을 축어록 분석과 그림분석을 통해 내러티브를 구성하였고, 서로의 내러티브를 검토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 연구텍스트를 발현하였다. 동료미술치료사 간의 내담자-치료사의 경험의 의미는 ‘치료사는 내면의 소리를 전해주는 통로이다’, ‘치료사의 따뜻한 시선에 나아갈 용기를 얻다’, ‘동행자로서의 치료사가 되어가다’, ‘서로에게 배우는 내담자-치료사가 되어가다’라는 의미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동사 ‘찾다’의 상적 의미: 사건 구조를 통해 본 언어 표현과 인지의 문제

        유세진,최윤희,이정민 국어학회 2008 국어학 Vol.0 No.52

        동사의 상(aspect)은 사건 구조(Event Structure)의 틀을 형성하며 인지 구조에 영향을 미쳐서 문장의 의미 해석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그러나 다른 여러 문장 요소들과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동사의 상이 중의적으로 해석되거나 의미가 변경되는 경우가 있는데, 한국어의 ‘찾다’는 이와 같은 동사의 대표적인 예이다. 본고는 과정 사건(process)과 결과 상태 사건(result state)이 동시에 나타나는 한국어 동사 ‘찾다’를 생성어휘부 이론의 틀 안에서 완성(accomplishment)동사로 분류하고 한 단어로 설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논의에서 우리는 ‘찾다’의 사건구조에 있는 과정 사건과 결과 상태 사건의 두 하위사건에 주목하여 ‘찾다’를 ‘완성 동사’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찾다’의 사건 중점은 상적 의미에 따라 일반적인 완성 동사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즉, ‘찾다’가 ‘발견하다’의 의미로 사용될 때는 일반 완성 동사처럼 ‘과정’에 중점을 받지만 과정의 의미로만 사용될 때는 중점을 갖지 않는 ‘무중점(headless)’의 특성을 보인다. 우리는 ‘찾다’의 이러한 특성을 중점 미명세(underspecified head)로 주장함으로써 완성 동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우리는 중점이 미명세 되는 완성 동사가 과정에 중점을 갖는 다른 완성 동사와는 달리 ‘미완료 역설’(imperfective paradox)을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현상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더 나아가 우리는 내포동사와 외연동사의 특징을 모두 지니는 ‘찾다’의 보(충)어 개념유형을 {존재·소재, 소재, *존재}의 복합 형태(dotted type)로 나타내어 이를 특질구조의 형상역에 표시함으로써 ‘찾다’의 어휘 구조를 완성하였다. 본고는 생성어휘부의 이론을 적용하여 ‘찾다’를 분석하면서도 독자적인 개념으로 넓혀 새롭게 설명하고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특히 ‘찾다’의 상적 의미에 따라 실현되는 어휘 항목이 구별되는 타 언어와 비교하여 볼 때 ‘찾다’는 한국어의 특수성이 표면적으로 잘 드러난 경우라 하겠다. 그러나 관련된 일련의 사건을 하나의 사건 구조 안에서 보려는 인간의 보편적인 인지 기제를 고려해 볼 때, 한국어와 달리 다른 언어에서 ‘찾다’가 두 개의 개별 단어들로 실현되는 이유가 현재까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 제시한 분석을 한국어의 다른 어휘에 대해서 일반화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 더욱 많은 언어들의 현상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자료에 나타난시제와 상 분포

        유세진,김효영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5 외국학연구 Vol.- No.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are authentic in terms of the use of tense and aspect. Textbooks are a major input material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s in school settings. Consequently, for effective learning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provide learners with textbooks that authentically reflect the actual use of a target language. Thus, in this study, we examined Korean English textbooks for their authenticity, focusing on tense and aspect. The frequencies of tense and aspect in Korean high school textbook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a corpus of current American English, Ame06. Six Korean textbooks with the largest circulation were selected for comparison. First, overall frequencies of (the present and past) tenses and (progressive, perfect, and perfect progressive) aspects were compared. Then, the text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depending on their types of writing—prose and fiction—and their frequencies of tense and aspect use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same genres in Ame06.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dequately reflect the tense and aspect use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in terms of frequency.

      • KCI등재

        레고(Lego)를 활용한 대학 작문 PBL 수업 사례 연구

        유세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oblem-based learning(PBL) centered on dynamics as an example of university writing classes and to examin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BL writing classes by confirm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class. Accordingly, the PBL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Basic Writing” subject, which is an essential subject for basic liberal arts at C University in Daejeon, and the detailed goals were “inducing interest” in writing and “increasing convergence and complex thinking skills”. In particular, “Lego” was used as a learning tool to stimulate students’ sense of experience and bring about fusion and complex thinking, and the contents of the class were “explanation, description, narrative”, which corresponds to “writing statement method”. Through this,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at explanation, description, and narrative are effective methods that can be used comprehensively when writing, and to learn empirically that writing is a cooperativ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writer” and “reader”. In addition, by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They understood the step-by-step procedure for the overall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