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 직장 여성의 개인 특성 및 사회적 지지가 일-가족 갈등 및 향상에 미치는 영향

        유성경,한영주,조윤진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기혼 직장 여성들이 일과 가족에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경험하는 갈등과 향상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학령기의 자녀를 한 명이상 두고 있는 305명의 기혼 직장여성들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일-가족 갈등 및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적 특성, 사회적 지지, 및 외적 자원과 관련된 특성들을 측정하고, 측정결과에 대해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은 상호 미약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가족 갈등과 관련된 변인들은 반응적 대처전략, 배우자 및 상사 지지, 신경증 및 개방성, 그리고 여성들의 학력 및 수입이었고, 일-가족 향상과 관련된 변인은 반추적 전략, 배우자 및 상사 지지, 외향성 변인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기혼 직장 여성들이 경험하는 일-가족 갈등과 향상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고, 추후 연구 및 일하는 여성들을 위한 상담 개입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Korean working mothers’ work-family conflict(WFC) and enhancement(WFE) experiences. First,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WFC and WF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personality, coping and physical resources) and social support(spouse support and employer support) with WFC and WFE. Results showed that WFC and WFE was negatively related, but the correlation was very mild. The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with WFC were reactive strategy, neuroticism, openness, spouse and employer support, and education level and income. On the contrary, reflective strategy, neuroticism, openness, and spouse and employer support were found significantly related with WFE. We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nd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orking mothers in Korea.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청소년 탈비행과 위험요소 및 보호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성경 한국교육학회 2000 敎育學硏究 Vol.38 No.3

        본 연구는 청소년 탈비행과 관련된 위험요소와 보호요소를 구명하고자 함을 기본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실제 탈비행화에 성공한 10명의 청소년들을 심층 면접하였고, 면접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행을 저지르는데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들을 개인, 가정, 학교, 지역사회의 측면에서 밝혀내었다. 또한 이들이 탈비행화 하는데 영향을 미친 보호요소들을 밝혀 내었다. 위험요소의 경우는 가정요인이 가장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요소로는 친화력있는 인간관계, 학교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 올바른 행동에 대한 올바른 기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청소년 비행 예방 및 개인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isk factors and the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delinquent behaviors in Korean youths. Ten Korean juvenile delinquents were interviewed. Results indicated that 9 out of 10 youths had family risk factors, which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ailure in school was found to be another significant risk factor. In School dropout and runaway in most cases of this study were co-occurrent phenomenon with other problematic behaviors. Regarding the protective factors, all the interviewees considered "self-determination to chang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prevent recidivism. Bonding relationship was found significant to lead the youths to the self-determination to change their behavio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llectual capability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delinquent behaviors was found to prevent recidivism. Results also indicated that experiences of achieving something consolidated the youths' self-determination to change. All the youths interviewed were shown to put positive value on schooling.

      • KCI등재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자기 대화 내용의 차이 분석

        유성경,심혜원 한국상담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 and content of counselors' self-talks in terms of the levels of expertise. Counselors' self-talks were defined as the counselors' internal dialogue for their interventions in the course of counseling sessions. The self-talk coding system was adopted from the Nutt-Williams and Hill's (1996) coding system and the Morran, Kurpius, and Brack's (1989)'s self-talk categori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4 counselors; 13 beginning level, 13 middle level, and 8 advanced level in counseling experience. The counselors were asked to list their thoughts for their first 40 verbal responses during the session within 24 hours after the session finished. The counselors were also asked to choose either the third or fourth session. Data analysis found that counselors at the advanced level utilized more self-talks as compared to the novice counselors. In addition, the counselors at the advanced level reported more self-talks on counseling plans and intentions than the novice counsel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unselors at the advanced level tend to reflect the counseling process more than the novice counselors. Advanced counselors also seemed to have a better sense of how to guide the counseling process with more consideration of counseling plans and intervent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is suggested that future studies on counselors' reflection should be expanded with an inclusion of counselors' affective awareness and clients' responses. Also, the effects of the counselors' self-talks could be measured by clients' ratings on the session impac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counselor education and training conclude this paper. 이 연구는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상담자 자기 대화 내용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상담자 자기 대화 범주와 차원을 보다 명확히 개념화하고 구분하기 위해 Nutt-Williams와 Hill(1996)의 평정 기준 및 Morran, Kurpius와 Brack(1989)의 사고 범주 목록을 참조하여 상담자 자기 대화 평정 목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기 대화 평정 목록에 근거하여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자기 대화 내용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위 발달 집단이 하위 발달 집단에 비해 자기 대화 전체 빈도가 높았고, 개입과 관련하여 상담자가 특수한 행동의 과정을 밟거나 특수한 치료적 기술을 사용하기 위한 자기 지시 형태의 자기 대화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이 높을수록 상담 과정 중에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이 많이 일어나고, 이러한 성찰이 상담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상담자 나름대로 계획이나 의도를 검토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는 상담자 전문성 발달 과정에서 반드시 자기 성찰이 이루어져야한다는 선행연구의 제언을 경험적으로 뒷받침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담자 자기 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교육 및 슈퍼비전 모형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수퍼비전 형식, 방법 및 내용에 대한 수퍼바이지 인식

        유성경,김은하,정여주,두경희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4

        Along with settlement of the counseling license system in Korea, professional needs of supervision as an essential requirement has been increased. However, litt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evaluation of the supervision process and methods in terms of their contribution to the supervision efficacy.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into the current state of supervision in Korea, and identify the difference of supervisee's perception according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ighty two supervisees located in Seoul or Kyunggi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upervisee's perception on the most effective form of supervision,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contents and the frequently used methods in supervision, preferred and lousy types of supervisor, and evaluation methods used in supervision. We compared supervisee's response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lso, we emphasized the role of supervision to imporve supervisee's competence, and suggested possible direction of supervision in Korea. 국내에 상담자격제도가 정착되면서 수퍼비전은 전문성 발달에 필수요건으로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수퍼비전 과정에 대한 평가나 수퍼비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관한 국내 연구는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수퍼비전에 대해 수퍼바이지들은 어떤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를 수퍼바이지의 경력에 따라 확인하여 향후 수퍼비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82명의 수퍼바이지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경력에 따라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수퍼비전 형태 및 방법 그리고 가장 효과적으로 생각하는 수퍼비전 형태 및 방법, 수퍼비전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지는 내용, 선호하는 수퍼바이저와 꺼려지는 수퍼바이저 유형, 수퍼비전 평가 방식 등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에 비추어 상담자의 발달과 교육에 있어 수퍼비전의 역할과 효과적인 수퍼비전 방식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혼직장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일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유성경,임영선 한국여성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1 No.3

        This study analyzed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atisfaction with marriage and work for married working women.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an & Fmaliles,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rriage satisfaction was decreasing with the course of time and the higher the intial score of marriage satisfaction, the faster the decreasing speed of marriages satisfaction. Second, the work satisfaction was increasing as time passes and the higher of initial score of work satisfaction, the slower the increasing speed of work satisfaction. Third, the younger married working women, the higher the initial score of the marriage satisfaction. The shorter the period of marriage, the higher the initial score of work satisfaction and the older married working women, the slower the decreasing speed of work satisfaction. Forth, the effect of work satisfaction on marriage satisfaction was decreasing over time. The implications on research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1997년-2013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유성경,박은선,김수정,조효진 한국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3 No.2

        The association between meaning in life and mental health outcomes was examined with meta-analysis across 38 studies (N=13,961) published from 1996 to 2013 in Korea. The mental health outcome variables were categorized as negative measures of anxiety and depression and positive measures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Hackney & Sanders(2003). The average effect size(r)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ositive measures was 0.499, indicating the greater the meaning in life is strong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the association between meaning in life and positive measures differed in age groups, indicating the strongest association was found in adult group and the weakest one in elderly group. Moreover, meaning in life was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with subjective well-being. The average effect size(r) between meaning in life and negative measures was insignificant(r=-.152). 본 연구는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의 연구논문 총 38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N=13,961). 정신건강은 Hackney와 Sanders (2003)의 기준에 따라 우울과 불안의 부정적 지표와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지표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부정적 지표간의 평균 효과크기(r)는 -.15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던 반면,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긍정적 지표간의 평균 효과크기(r)는 0.499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긍정적 지표간의 평균 효과크기는 큰 효과크기로 삶의 의미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이에 대한 하위집단 분석결과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 긍정적 지표의 측정영역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관적 안녕감보다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 연령에 따른 집단차이를 보였는데, 성인, 청소년, 대학생, 노년 순으로 관계가 더 크게 나타나 삶의 의미와 정신건강의 긍정적 지표의 관계가 성인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 KCI등재

        삶의 의미추구와 주관적,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 및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유성경,김유진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presence of meaning and human basic psychological needs(BPNs) in the relationship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well-being. Research participants were 367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ound the fully-mediated effect of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implies that the search for meaning does not directly affect subjective well-being(SWB) and psychological well-being(PWB), but it affects well-being only through the presence of meaning. Second, BPN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Finally, the search for meaning led to SWS and PWS through fulfillment of BPNs and the presence of meaning.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의미를 추구하고 안녕감을 느끼게 되는 과정에서 의미 발견과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36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척도, 기본심리욕구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삶에 대한 만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의 관계와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추구와 주관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미추구는 의미발견을 할 때만 안녕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본심리욕구의 충족이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미추구 하는 과정에서 기본심리욕구가 충족이 될 때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삶의 의미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추구는 기본심리욕구 및 의미발견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미추구와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의미발견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삶의 의미가 안녕감에 이르는 심리적 경로를 확인하는데 기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퍼비전 회기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성경,민경화,김영빈,김형수,이일화,최한나 한국상담학회 2004 상담학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수퍼비전 회기를 상담 수련생의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수퍼비전 회기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퍼비전 회기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우선 문헌연구 및 기존의 수퍼비전 척도들을 검토하여 수퍼비전 관계요인, 상담 지식 및 기술 요인, 그리고 수퍼비전 구조화의 3 요인을 구성요인으로 잡고 총 36개의 예비문항들을 만들었다. 선정된 예비문항에 대해 3명의 상담전문가들에게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토 받아 예비 질문지를 만들었다. 그리고 수퍼비전 경험이 있는 상담자 109명을 대상으로 예비 수퍼비전 회기 평가지를 실시하였다. 이들의 응답 결과에 기초하여 문항의 앙호도를 검토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정을 통해 최종 20개 문항의 수퍼비전 회기 평가질문지를 제작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퍼비전 회기 평가가 본 연구에서 선정한 3요인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수퍼비전 만족도 질문지(Ladany, Hill, & Nutt, 1996)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퍼비전 회기 평가지는 추후의 수퍼비전 연구 및 수퍼비전 성과 측정에 높은 활용도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upervision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SSEQ). There has been increasing need for “good supervision” as the counseling field is expanded. We examined the supervision literature on the outcome studies and the instruments developed in Western cultur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defined the “good supervision” as fulfilling the two primary goals of supervision; 1) enhancing the counselo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2) protecting the client's welfare. To fulfill these fundamental goals in supervision session, supervisors are expected to assume several different roles. Outcome studies in supervision indicated that supervisee tend to consider two aspects for their satisfaction in supervision session; one is supervisory relationship and the other teaching counseling knowledge and techniques. Also, the factor of structuring supervision is another factor to be considered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supervision.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the SSEQ with three dimensions of good supervision; 1) supervision relationship, 2) counseling knowledge and techniques, and 3) structuring supervision. We conducted descriptive analysis on each item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alidation of the SSEQ. One hundred and nine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final SSEQ with 20 items (9 for supervision relatinship, 5 for counseling knowledge and technique, and 6 for structuring supervision).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