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학습분석기반 대시보드 유형이 학습자들의 그룹토론 참여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미나,진성희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type of dashboard on online group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learning analysis. The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51 learners from a university by dividing them into 2 groups. Group A provided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 and group B provided the discussion topics and message type dashboard. First, pre-tests were conducted on attitudes toward computer writing and the level of motivation that could affect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Then the students participated three different topics of online group discussions.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ta were automatically collected through the dashboard, and learning outcom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ost-tests. The results showed level of participation in Group B (M=47.56, SD=2.37) that provided discussion topics and message type dashboar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Group A (M=38.13, SD=2.21) that provided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future studies, we suggest that the dashboard effects based o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hould be carried out because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may affect the use of the dashboard. 이 연구는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유형이 학습자들의 그룹토론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51명을 대상으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한 집단과 토론주제와 메시지유형 대시보드를 제공한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온라인 토론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컴퓨터 쓰기에 대한 태도, 자기성찰 동기 수준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온라인 그룹토론 3회를 실시하였고, 참여도와 상호작용 데이터는 온라인 토론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수집하였으며, 사후검사를 통해 학습성과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토론주제와 메시지유형 대시보드를 제공 받은 집단 B의 참여도 수준(M=47.56, SD=2.37)이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받은 집단 A의 참여도 수준(M=38.13, SD=2.21)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시보드 유형이 상호작용과 학습성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참여도와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만 제공받은 집단보다 토론내용에 대한 질적 정보가 포함된 토론주제와 메시지유형 대시보드를 제공받은 집단이 토론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해 참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특성변인을 고려하지 않고 대시보드 유형에 따른 효과만 검증하고자 하였는데, 선행연구에 의하면, 학습자 특성이 대시보드 활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학습자 특성에 따른 대시보드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임진왜란 의병장 조헌(趙憲)(1544~1592)의 행적을 그린 『항의신편(抗議新編)』 판화 고찰

        유미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0 강좌미술사 Vol.35 No.-

        『항의신편』은 조선중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인 趙憲(l544-1592)의 언행과 행적에 관한 글을 모은 책으로 그의 충절과 절의를 숭앙한 안방준(1573-1654)이 1613-1615년 무렵 편찬하였다. 『항의신편』은 호남의 사림으로 서인 계열의 학자였던 안방준이 조헌의 절의와 충렬을 깊이 숭모하여 그의 글을 모아 펴낸 문집이다. 안방준은 이 책의 서두에 판화를 수록하였는데, 그림은 당시 대표적 화원이었으며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제작에도 참여한 이징에게 의뢰하여 조헌의 행적을 그리도록 하였다. 『항의신편』 판화는 1613-1615년에 제작되어 1615-1621년 사이에 간행되었다. 이후 영조의 명에 의해 교서관에서 1748년 조헌의 문집인 『중봉집』 중간본을 간행할 때 판화가 다시 한번 제작되었다. 그리고 1863년 『항의신편』 단행본의 중간본이 印刊될 때 판화가 번각 및 補刻되었다. 그리고 1864년 간행된 안방준의 문집인 『은봉전서』에 『항의신편』 이수록되면서 또 한 차례 판화가 제작되었다. 이렇게 총 4차례에 걸쳐 새로운 판본의 판화가 제작되었는데, 각 시기의 판화양식 을 반영한 점에서 주목된다. 『항의신편』 판화양식을 살펴보면, 한 인물의 행적을 여덟 폭에 순차적으로 나열한 서사적 구성을 취하였다는 점 이 특징 적이다. 이는 행실도류 판화에서 시점을 달리한 여러 장면 혹은 한 장면을 한 화면에 그려 넣는 방식과는 구별되는 새로운 구성방법 이다. 『항의신편』 판화의 표현 양식은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와 중국에서 전래된 『삼재도회』와 같은 목관화와 관련성이 갚으며, 이징이 밑그림을 그렸다고 하지만 이징의 회화 작품과는 비교할 만한 작품이 눈에 띄지 않는다. 이징은 『항의신편』 그림을 판화라는 특성에 맞게 구상하여 작품화시켰다고 생각된다. 『항의신편』 판화는 임진왜란을 기억한 전쟁기록화로서 큰 의의를 지닌다. 『동국신속삼강행 실도』 판화 중의 다양한 차림새의 왜군 묘사와는 달리 下衣를 벗은 반나신으로만 표현하여 야만성을 강조하여 왜군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을 반영하였다. 또 조헌이라는 인물의 이미지가 시대마다 다르게 형상화된 과정을 보여주었다. 즉, 전쟁 직후에는 왜적에 맞서 분연히 일어난 은둔한 선비의 이미지에서 18세기 전쟁 영웅의 이미지로, 19세기에는 신선의 이미지로 형상화된 점에서 시대마다의 조헌이라는 의병장에 대한 인식의 변천상을 엿볼 수 있다. The Hang-eui-shin-pyeon is the book that carries the words and deeds of Jo Heon(, 1544-1592), the civil minister during the mid-Joseon period, who raised a volunteer army to fight against theJapanese Invasion in 1592. The bcxk was compiled between 1613 and 1615 by Ahn Bang-joon(flft, 1573-1654) who admired the righteousness and integrity of Jo Heon. Ahn Bang-joon attached the woodhlock prints depicting the eight scenes from the life of Jo Heon at the beginning of the book. He commissioned Yi Jing, one of the leading painters around that time to do the painting. Yi Jing was affiliated with the Academy of Painting, and was taking part in the production of the woodblock prints for the Dong-guk-shin-sok Sam-gang-haeng-sil-do, the Book of Three Bonds. Yi Jing prepared the painting between 1613 and 1615, based on which the wcxxlcutting was done and the book was printed between 1615 and 1621. In 1748, with King Yeongjo(iIflJ`s royal order, the book, Jung-bong-jip, a full-fledged anthology of Jo Heon, was puhlished by Gyo-seo-gwa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t that time, the woodblock prints of Jo Heon`s Life was newly produced by Gyo-seo-gwan, and were included in the book. Again in 1863, the book, Hang-eui-shin-pyeon was republished for which the wcxxlhlock prints were again produced. And in 1864, when Eun-hong-jeon-seo, Ahn Bang-joon`s anthology was being recompiled, the Hang-eui-shin-pyeon was included in it along with its woodhlock prints. So, the woodblock prints were newly produced. All in all, the woodhlock prints were produced four times, and each prints reflect the artistic style of the time. What is particular about the woodblock prints of Hang-eui-shin-pyeon is that they take narrative strucwre as the eight life scenes of a person are arranged in the chronological order·That is a new style compared to the method taken in the prints for Fxok.s like Dong-guk-shm-sok Sam-gang-haeng-si 1-do, where often more than one scene are comprised in a work of print. The stylistically, the prints of Hang-eui-shin-pyeon share common features with those of Dong-guk-shin-sok Sam-gang-haeng-sil-do which was published around the same time. Even though Yi Jing is pointed as the painter who did the original painting for the prints, none of his extant paintings reveal any similarities with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prints. Yi Jing must have designed differently for the prints. The prints of Hang-eui shin-pyeon carry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y are the pictorial records of the lmjinweran War. Unlike the various ways in which the Japanese soldiers are depicted clad in the Dong-guk-shin-sok Sam-gang-haeng-sil-do, they are all described half naked in Hang-eui-shin-pyeon, probably to emphasize the barbarities of the Japanese soldiers,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Joseon people`s recognition of them. Also, the prints show the different ways the central figure,Jo Heon, is put to image according to time. He was described as a retired scholar who rose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right after the war. However, in the 18th century, he was represented as a war hero, and in the 19th century, he was visualized as an immortal, showing how the image of Jo Heon, the volunteer army leader Jo Heon, changed with time.

      •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직장 내 사회적 지지

        유미나,신나리 한국생애학회 2013 생애학회지 Vol.3 No.2

        The relations between the job-satisfaction related to burnout and social supports in the workplace among childcare teachers were examined.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among 312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predicted that the lower satisfaction the teachers experienced with colleague relations, and of job properties, the wage and social supports in the workplace, the higher emotional exhaustion they pleaded about. The lower satisfaction they had of job properties and social recognition, the higher dehumanization of them in the centers. Their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social supports in the workplace had no effects on their insufficient senses of personal achieve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an improvement scheme to assist them in preventing and reducing their burnouts is suggested.

      • KCI등재

        용의 비늘・푸른 수염― 촉각으로 보는 조선시대 소나무 그림

        유미나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3 大東文化硏究 Vol.123 No.-

        회화에서 감각은 어떻게 수용되고 시각적으로 재현되었는가. 평면 예술인 회화의 특성상 시각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주된 역할을 해왔음은 자명하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근대기 회화에서의 촉각의 표현에 대해서 살피고자 한다. 조선시대 회화에서 촉각을 불러일으키는 주제로서 필자는 소나무 그림을 대표적으로 꼽고자 한다. 소나무는 곧게 뻗은 줄기와 늘어진 가지가 주는 고고한 자태와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 상록의 특성이 절개와 지조를 상징하여 예로부터 깊은 사랑을 받았다. 도연명이 유독 소나무를 어루만진 것은 소나무의 상징성을 공유하고자 했기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상징성 못지않게 소나무는 생태적으로 다양한 촉각적 요소를 지니고 있다. 소나무 樹幹의 딱딱한 질감과 솔잎의 가늘고 뾰족한 생김새에서 소나무는 ‘붉은 갑옷, 푸른 수염’이라는 의미의 ‘赤甲蒼髥’ 혹은 ‘蒼髥紫甲’이라 불리었다. 특히 줄기의 표피는 용비늘에 비유되어 ‘龍鱗’이라 일컬어졌고, 푸른 수염의 나무라는 뜻의 ‘蒼髥樹’는 그 자체가 소나무의 이칭이었다. 이처럼 소나무는 ‘촉각’을 자극하는 요소를 풍부하게 지녔고, 이러한 요소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재현했는지가 소나무의 이념적 상징 못지않게 작화 및 감상의 핵심이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하면서 조선 후기 소나무 그림에서 ‘촉각’이 어떻게 인식되었고, 어떤 표현 방식으로 재현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살피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ense of “touch” is expressed in pre-modern Korean paintings. It particularly focuses on pine tree paintings as they are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subject that evokes the sense of touch among the paintings of the Joseon era. Pine trees have been cherished for their dignified appearance with straight trunks and drooping branches, as well as their evergreen nature that retains its greenery even in winter, symbolizing longevity and integrity since ancient times. The reason Tao Yuan-ming(陶淵明) specifically embraced pine trees could be attributed to sharing the symbolic significance they hold. Notably, pine trees possess various tactile elements ecologically. From the rough texture of the trunk to the slender and pointed shape of its needlike leaves, pine trees were referred to as “red-armored, blue-bearded” (赤甲蒼髥) or “blue-bearded, purple-armored” (蒼髥紫甲), emphasizing the dragon scale-like appearance of the stem’s epidermis, which was likened to “dragon scales” (龍鱗). The term “blue-bearded tree” (蒼髥樹) itself was an epithet for pine trees. Thus, pine trees were rich in elements that stimulate the sense of touch, and effectively reproducing these elements would have been crucial in the paintings’ symbolism and appreci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ouch” was depicted and what meanings it carried in late Joseon pine tree paintings.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 활성화를 위한 공학교육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방안

        유미나,조설희,김재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8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g data accumulated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bigdata platform’ for the activation of capstone design, to analyze the trend of changes in capstone design topics, induscty-academia cooperation status, and changes in the topics of submitted projects, and to propose a plan for the advancement of the platform along with a plan for the activation of capstone design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the big data of capstone design projects from 2014 to 2022, the year that the ’Engineering education bigdata platform’ started managing data on capstone design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we analyzed the status of capstone design projects by year, the status of topics, the status of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and the changes in the keywords and topics of the projec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changes in capstone design were suggested, and the future suggestions to activate capstone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the ‘Engineering education bigdata platform’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 빅데이터 플랫폼’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캡스톤디자인 주제 및 키워드 변화 추이, 산혁협력 현황을 분석하고, 캡스톤디자인 활성화와 공학교육 빅데이터 플랫폼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2022년까지 공학교육 빅데이터 플랫폼에 축적된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빅데이터를수집⋅분석하였다. 연도별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 출품작 현황 분석 결과 IoT, 로봇, 미래차 분야 등 4차 산업혁명 주요 기술관련 주제가 주를 이루었고, 2019년부터 특허출원 건수도 증가하였다. 출품작 키워드 분석 결과, 2017년 지진, 2020년과 2021년COVID와 같은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키워드가 상위 순위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바탕으로 캡스톤디자인 발전 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 ‘공학교육 빅데이터 플랫폼’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양양 낙산사 동종 보살상에 대한 회화사적 고찰

        유미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3 강좌미술사 Vol.61 No.-

        이 논문은 조선 전기 왕실에서 발원하여 주성된 낙산사 동종 종신에 표현된 보살입상에 대한 회화사적 고찰이다. <낙산사종>은 1469년 왕실 발원으로 제작된 동종으로서 종신의 상단에 부조로 표현된 보살입상은 조선 전기 도화서 화원인 김중경과 이장손이 그린 것이다. 이처럼 도화서 화원이 제작에 동원되어 선묘의 보살입상 부조는 정교하고 세련된 표현을 특징으로 하며 조형적으로 우수하고 격조 높은 경지를 보여주었다. <낙산사종> 보살입상은 늘씬한 신체 비례에 방형에 가까운 상호와 또렷한 이목구비의 표현을 보인다. 연꽃 대좌 위에 두 발을 딛고 두 손을 모아 합장 자세를 하고 있다. 화염보주와 영락으로 장식된 화려한 보관을 착용하고, 당당하게 넓은 어깨에 천의를 걸치고 영락 장식과 조백 등 화려한 치장을 더하였으며, 흩날리는 천의에서는 동세가 느껴진다. <낙산사종>보살입상의 양식 특징을 불교 회화와 비교 고찰하여 그것이 고려말 불화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기도 하고 동시기 왕실 발원 불화에서 공유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낙산사종> 보살입상은 동시기에 제작된 왕실발원 동종인 <흥천사종>과 <봉선사종> 보살입상과 함께 화원의 능숙한 필치로 구현된 수준 높은 인물화 양식을 보인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하지만 제작에 임한 화원의 개인 양식 차이 또한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회화사적으로 흥미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특히 <낙산사종> 보살상은 이상적이고 안정된 조형과 시원스러운 힘찬 선묘로 완성된 기품있는 보살상으로서, 독보적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우수한 작품이라 보았다. 이에 주도적 역할을 한 화원은 이장손이었을 것으로 보았으며 특히 동종의 제작 공정과 재료의 성질을 잘 이해하여 이에 적합한 표현을 창출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This paper studies the artistic style of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Naksansa Temple Bell was cast in 1469 under the royal patronage, and the Bodhisattva image, cast in relief on the side of the bronze bell, was designed by Kim Jung-gyeong and Yi Jang-son, who were court painters serving in Dohwaseo, the Painting Academy. The participation of court painters in the production of Buddhist Bell led to a highly refined and sophisticated artistic expression, demonstrating excellence in both form and composition.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exhibits a slender and well- proportioned figure with a square shaped face and clear-cut features. The figure stands on a lotus pedestal with hands clasped in prayer. The Bodhisattva wears a lavish crown adorned with Cinta-mani and beads, along with a gracefully draped robe over broad shoulders, featuring intricate ornamentation. The flowing drapery imparts a sense of movement. By comparing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Bodhisattva on the Naksansa Temple Bell with those depicted in Buddhist painting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nherits the tradition of the Buddhist paintings from Goryeo Dynasty and shares common characteristics with those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along with that on other contemporary royal court-sponsored temple bells such as the Heungcheonsa Temple Bell and the Bongseonsa Temple Bell, showcases a high level of figurative artistry executed by the court painters.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 artistic styles of the painters involved in their creation also offer intriguing insights for art historical analysis. In particular, the Bodhisattva image on the Naksansa Temple Bell stands out as an exceptional work with its idealized and stable form, as well as its refreshing and powerful line work.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outstanding pieces of its kind. The leading painter in this project is believed to have been Yi Jang-son, who demonstrat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nature of the bronze casting, creating an appropriate and exceptional style of expression.

      • KCI등재

        전공자격증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제철산업학과 사례

        유미나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0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2 No.1

        This study surveyed 244 employees out of a total of 356 graduates from the steel industry in 2015 to February 2019. The employmentrate of graduates is POSCO 67.7%, Hyundai Steel 23.8%, POSCO families 13.1%, and Hyundai Steel families 8.5%. Thenational certificates acquired by each section were surveyed, with 53.1% of metal section, 39.8% of mechanical section, and 7.1%of other section. Preferred national certificates were POSCO, machinery maintenance industry technicians, steelmaking technicians,and Hyundai Steel followed steelmaking technicians, mechanical maintenance industrial technicians. Among other certifications,the national certificate of industrial safety industrial engineer was preferred. In addition, the average number of national certificatesper person for major employment is 5.06 for POSCO, 5.35 for POSCO families, 5.29 for Hyundai Steel, and 4.73 for Hyundai Steelfamilies. The average number of national certificates for S-OIL, KEPCO, Poongsan Metal, etc., is 2.51. In conclusion, it was foundthat the national certificates related to majors are used as the main evaluation data in finding suitable majors and competency for thejob when recruiting talents. 본 연구는 제철산업학과 2015년에서 2019년 2월 졸업생 총 356명 중 취업자 24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졸업생의 주요 취업처인 포스코의 취업율은 67.7%, 현대제철은 23.8%, 포스코 계열사 13.1%, 현대제철 계열사는 8.5%로 조사되었다. 각 분야별취득한 자격증은 금속 분야 53.1%, 기계 분야 39.8%, 기타분야 7.1%이다. 국가자격증의 종류와 분포는 포스코의 경우, 기계정비산업기사, 제선 기능사 및 제강 기능사 순이며, 현대제철은 제강기능사, 제선 기능사 및 기계정비 산업기사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 외 기타분야의 자격증 중 산업안전 산업기사 국가자격증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1인당 평균 국가자격증의수는 포스코 5.06개, 포스코 계열사 5.35개, 현대제철 5.29개, 현대제철 계열사 4.73개이다. S-오일, 한국전력, 풍산금속 등 기타 취업처의 평균 국가자격증 수는 2.51개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한 전공 관련 국가 자격증이 입사시 직무에 필요한 인재를 채용하고, 직무에 적합한 전공자를 발굴하는 데에 있어서 주요한 평가자료로 사용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후보

        深河戰鬪의 名將 金應河와 『忠烈錄』 판화

        유미나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2 No.1

        This is an art-historical look into the woodblock prints of the Chungnyeollok published in memory of Kim Eung-Ha who was killed in action in the Sarhu Battle against Later Jin(後金) in 1619. The first edition of Chungnyeollok was published in 1621 to justify the fact that Joseon had been reluctant in sending reinforcements to Ming, and to defend the fact that Joseon troops led by Kang Hong-Nip(강홍립) surrendered to Later Jin. Meanwhile, the second edition of Chungnyeollok published in 1798 was a full synthesis of the all the efforts throughout Later Joseon Period to praise Kim Eung-Ha.In fact, the praise for Kim Eung-Ha wa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Theory of Fulfilling the Obligation to Ming (對明義理論) the Theory of Zhou-centered World (尊周論), and coincided with the identity of Joseon since the 17th Century. It was an effort to stay faithful to the fallen Ming, former ally, and to maintain at least in spirit the Ming-centered cultural order in East Asia. In such an intention, Joseon continued to praise the war dead, the loyal retainers, and the patriots who were victimized in Imjinweran(壬辰倭亂) or in Byeongjahoran(丙子胡亂) war. That was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contributors to defending the regime and the state. Especially after the defeat in Byeongjahoran(丙子胡亂) and the humiliating incident when Joseon king surrendered to Qing, China, Joseon people began to raise voices for revenge against Qing. The death of Kim Eung-Ha in the Sarhu Battle who had fought against Later Jin(Qing), got to carry greater meaning.The first and the second editions of Chungnyeollok each contains a portrait of Kim Eung-Ha, and four pieces of woodblock prints describing Kim Eung-Ha’s military actions, which are noteworthy examples of war painting. The prints in the first edition of Chungnyeollok were designed after the Jeongchungnok, the book about the patriotic deeds of Yue-Fei (岳飛) of Southern Sung, China. The Jeongchungnok, which was published between 1522-1566 was imported to Joseon in 1584, and was republished in Joseon at the order of King Seonjo. Unlike the the books, Donggukshinsok Samganghaengsildo(東國新續三綱行實圖) or Hangeuishinpyeon (抗義新編) which also deal with the war veterans of Imjinweran, the fact that Chungnyeollok took Chungnyeollok as a model can be because they both praised the generalwho fought against the Jurch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