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First Reported Case of Fibrous Hamartoma of Infancy with Hyperhidrosis and Hypertrichosis in Korea

        유문형,신동훈,최종수,김병수,김연웅,김준군 대한의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3 No.9

        Fibrous hamartoma of infancy (FHI) is a rare entity with a benign nature. The typical clinical features are a single, slowly growing, painless mass on the trunk that appears within the first 2 years of life. We report a 13-month-old boy who presented with a plaque on the lower back since 4 months of age. The plaque had gradually become larger and firm, and hyperhidrosis and hypertrichosis were noticed. No visible connection between the spinal cord and the lesion was found in radiologic studies, indicating a disease other than spinal dysraphism. Histopathological findings showed well-defined fibrous trabeculae, mature adipose tissue, and primitive mesenchymal cells, all consistent with FHI. This is the first case of FHI presenting with hyperhidrosis and hypertrichosis reported in Korea.

      • 매립폐기물 성상별 혐기분해가능유기탄소분율(DOCf)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유문형,조병철,박진규,이남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폐기물매립지에서는 폐기물이 매립되어 혐기성 조건하에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지면서 메탄(CH4)과 이산화탄소(CO2)로 이루어진 가스가 발생된다. 메탄은 매립가스 중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서도 온실가스로 규정하고 그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매립지 내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의 발생량을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일차분해모델인 IPCC 모델이 배출량 산정을 위해 사용되며, 모델에 적용되는 변수 중 매립폐기물의 메탄잠재발생량(L0)과 메탄발생속도상수(k)는 모델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 메탄발생잠재량에 적용되는 매개변수로 생화학적 분해 가능한 유기탄소량을 의미하는 유기탄소(DOC), 혐기성 조건에서 메탄으로 전환 가능한 유기탄소 비율(DOCf), 호기성분해에 대한 메탄 보정계수(MCF), 발생 매립가스에 대한 메탄 부피비(F) 등이 있다. 이러한 매개변수들 중 활동도 자료인 폐기물의 물리적 조성과 매개변수인 DOCf는 메탄발생량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이에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는 각 국가의 고유값이 있을 경우 기본값 보다는 국가 고유값을 적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기본값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가 될 우려가 있어 국가 고유값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실험을 통해 DOCf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며, 제안된 방법으로 종이류, 섬유류, 고무/피혁류 폐기물들을 대상으로 DOCf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A매립지에서 매립연령이 8년, 12년, 13년, 14년, 15년, 20년인 폐기물을 굴착하여 수선별을 통해 성상별로 구분한 시료를 사용했으며, BMP 실험을 실시하여 도출된 메탄발생량을 이용하여 DOCf를 산정하였다. DOCf의 평가 방법으로는 매립연령을 0년으로 추정한 메탄발생량 추정치와 8년, 12년, 13년, 14년, 15년, 20년의 메탄발생량의 비율로 DOCf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매립연령이 8년인 종이류의 DOCf 값은 0.73, 섬유류 0.61, 고무/피혁류 0.03으로 나타났다. 매립연령이 20년인 종이류의 DOCf 값은 0.95, 섬유류 0.89, 고무/피혁류 0.09로 매립연령이 증가할수록 DOCf의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매개변수를 통해 국내 환경에 맞는 메탄잠재발생량을 정확하게 예측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더 많은 국내 폐기물매립지의 연구를 통하여 국가 고유값 배출계수 개발 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매립폐기물 성상별 메탄발생속도상수(k) 산정에 있어 호기성 분해평가의 활용 가능성

        유문형,박진규,김용준,이남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폐기물매립지에서는 매립되어 있는 폐기물이 혐기성 조건하에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지고, 메탄과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가스로 전환된다. 메탄은 매립가스 중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서도 온실가스로 규정하고 그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매립가스를 효율적으로 처리, 관리하며 자원화 하기 위해서 폐기물매립지 내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의 발생량을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배출량 산정을 위해 일차분해모델인 IPCC 모델이 사용되며, 모델에 적용되는 변수 중 매립폐기물의 메탄잠재발생량(L0)과 메탄발생속도상수(k)는 모델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변수들은 각 국가의 고유값이 있을 경우 기본값 보다는 국가 고유값을 적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기본값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가 될 우려가 있어 국가 고유값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폐기물매립지에서의 k값을 산정 할 때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실험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혐기성 조건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30~60일 정도의 장기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기에 분석 소요기간을 줄여 단기간 내에 효율적으로 실험이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석 소요기간이 10~15일 정도로 짧게 소요되는 매립폐기물의 산소소모량을 평가하는 호기성 평가 방법을 대상으로 BMP 실험의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매립폐기물을 매립연령별, 성상별로 BMP 실험과 산소소모량 실험을 실시하여 도출된 메탄 발생량과 산소소모량을 이용해 k값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실험 간의 상관관계는 종이류 0.888, 섬유류 0.976, 목초류 0.963, 고무/피혁류 0.957로 높게 나타났으며, BMP 실험을 통한 k값은 종이류 0.1334 yr<sup>-1</sup>, 섬유류 0.1047 yr<sup>-1</sup>, 목초류 0.0821 yr<sup>-1</sup>, 고무/피혁류 0.0049 yr<sup>-1</sup>로 나타났다. 또한 산소소모량 실험을 통한 k값은 종이류 0.0926 yr<sup>-1</sup>, 섬유류 0.0898 yr<sup>-1</sup>, 목초류 0.0750 yr<sup>-1</sup>, 고무/피혁류 0.0049 yr-1로 BMP 실험과 유사한 값이 나타났다. 이는 호기성 실험 방법이 향후 k값을 산정하는데 있어 유용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짧은 시일 내에 분석이 가능한 호기성 실험을 통해 분석 기간이 오래 걸리는 혐기성 실험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매립폐기물 성상별 혐기분해가능유기탄소분율(DOCf)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유문형,조병철,박진규,이남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폐기물매립지에서는 폐기물이 매립되어 혐기성 조건하에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지면서 메탄(CH4)과 이산화탄소(CO2)로 이루어진 가스가 발생된다. 메탄은 매립가스 중 지구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알려져 있고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에서도 온실가스로 규정하고 그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폐기물매립지 내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의 발생량을 정확히 추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일차분해모델인 IPCC 모델이 배출량 산정을 위해 사용되며, 모델에 적용되는 변수 중 매립폐기물의 메탄잠재발생량(L0)과 메탄발생속도상수(k)는 모델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 중 하나이다. 메탄발생잠재량에 적용되는 매개변수로 생화학적 분해 가능한 유기탄소량을 의미하는 유기탄소(DOC), 혐기성 조건에서 메탄으로 전환 가능한 유기탄소 비율(DOCf), 호기성 분해에 대한 메탄 보정계수(MCF), 발생 매립가스에 대한 메탄 부피비(F) 등이 있다. 이러한 매개변수들 중 활동도 자료인 폐기물의 물리적 조성과 매개변수인 DOCf는 메탄발생량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기초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이에 2006 IPCC 가이드라인에서는 각 국가의 고유값이 있을 경우 기본값 보다는 국가 고유값을 적용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기본값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가 될 우려가 있어 국가 고유값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실험을 통해 DOCf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며, 제안된 방법으로 종이류, 섬유류, 고무/피혁류 폐기물들을 대상으로 DOCf를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A매립지에서 매립연령이 8년, 12년, 13년, 14년, 15년, 20년인 폐기물을 굴착하여 수선별을 통해 성상별로 구분한 시료를 사용했으며, BMP 실험을 실시하여 도출된 메탄발생량을 이용하여 DOCf를 산정하였다. DOCf의 평가 방법으로는 매립연령을 0년으로 추정한 메탄발생량 추정치와 8년, 12년, 13년, 14년, 15년, 20년의 메탄발생량의 비율로 DOCf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매립연령이 8년인 종이류의 DOCf 값은 0.73, 섬유류 0.61, 고무/피혁류 0.03으로 나타났다. 매립연령이 20년인 종이류의 DOCf 값은 0.95, 섬유류 0.89, 고무/피혁류 0.09로 매립연령이 증가할수록 DOCf의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매개변수를 통해 국내환경에 맞는 메탄잠재발생량을 정확하게 예측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더 많은 국내 폐기물매립지의 연구를 통하여 국가 고유값 배출계수 개발 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피부 편평세포암종에서 PD-L1의 면역조직화학적 발현과 전이 위험과의 연관성

        유문형 ( Moonhyung You ),신동훈 ( Donghoon Shin ),최종수 ( Jongsoo Choi ),배영경 ( Youngkyung Bae ),이지민 ( Jihmin Lee ) 대한피부과학회 2018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6 No.7

        Background: Programmed cell death ligand 1 (PD-L1) plays a major role in the immune responses of a variety of cancers. Recently, several studies revealed that PD-L1 is differently expressed in some cases of non-melanoma skin cancer. The expression of PD-L1 in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has not yet been described in Korea.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PD-L1 in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and its association with variable clinicopathological factors. Methods: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52 cutaneous cell carcinoma cases, including 28 high-risk cases and 24 low-risk cases. Cases were selected from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of our hospital from 2001 to 2017. The expression patterns were assessed using the H-score. Cases demonstrating at least 1+ of PD-L1 in more than 1% of tumor cells were considered positive. Results: PD-L1 expression of tumor cells was 19.2% (10/52) for all cases, 0.0% (0/24) for the low-risk group, and 35.7% (10/28) for the high-risk group. PD-L1 positive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case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large tumors and tumors with deep invasion and a higher lymphatic metastasis rate when compared to PD-L1 negative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cases.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exhibits PD-L1 expression in 19.2% of cases. PD-L1 positive tumors are associated with high-risk cases of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which may help guide the choice of therapeutic strategy. (Korean J Dermatol 2018;56(7):415∼420)

      • KCI등재

        폐기물매립지에 있어서 폐목재의 온실가스 배출계수 평가

        박진규,이원재,김용준,유문형,이남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1 No.8

        The IPCC methodology for estimating methane emissions from a solid waste landfill is based on the first order decay (FOD) method. One emission factor in the model is the methane generation potential (L0) that is estimated from the amount of decomposable degradable organic carbon (DOC) in a solid waste landfill. L0 is estimated based on the fraction of DOC in the waste, the fraction of the degradable organic carbon that decomposes under anaerobic conditions (DOCf), methane correction factor (MCF), and the fraction of methane in generated landfill gas (F). The other emission factor is the methane generation rate constant (k). The IPCC recommended that every country needs to develop country-specific key parameters (DOC, DOCf, k) more appropriate for its circumstances and characteristic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actor (k) and parameters (DOC, DOCf) for wood wastes in a solid waste landfill. To investigate DOC, DOCf, and k for wood wastes, the biodegradable rate of wood wastes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composition of excavated samples (L-1, L-2) with their fresh ones (F-1, F-2). The DOC values were found to be 48.36% and 45.27% for F-1 and F-2, respectively. It showed that the IPCC default value of DOC for wood wastes is appropriate for estimating methane emission. The maximum DOCf (0.17 and 0.18) or each wood waste excavated from G landfill was found to be lower compared with those for IPCC. The IPCC provided that default values of DOCf 0.5. The k values were found to be 0.0055 and 0.0058 year−1 for F-1 and F-2, respectively.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biodegradation rate of wood wastes was very slow due to its lignin.

      • KCI등재

        폐기물매립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분해가능유기탄소(DOC) 및 혐기분해가능유기탄소분율(DOCF)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정용길,박진규,김인희,유문형,이남훈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3 No.1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recommended the first order decay (FOD) model for estimating methane emissions from solid waste landfills. However, selecting appropriate parameter is a major challenge in methane emission modeling. The degradable organic carbon (DOC) and the fraction of degradable organic carbon which decomposes (DOCF) are the two primary parameters in the methane generation potential (L0). The DOC is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that can be decomposed by biochemical reactions in microorganisms. Chemical analysis methods are currently available to measure the DOC including using total organic carbon and element analysis methods. However, chemical analysis methods are not appropriate for determination of the DOC, which indicated that the DOC should be measured by biochemical tests. In addition, these methods should consider a fossil carbon content that needs a complex and high cost of analysis. The DOCF is an estimate of the fraction of carbon that is ultimately degraded and released from landfills. However, no methodology is provided for determination of the DOCF in landfil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ethodologies for the determination of DOC and DOCF in solid waste landfills. A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BMP) test could be used to calculate the DOC because the BMP represents an upper limit on the methane potential of a waste, which corresponds to a maximal amount of degraded organic carbon. The calculation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OCF is 100%. In this study, two methodologies were suggested to determine the DOCF in landfills. The first one uses a new equation (DOCF = 2.76W-0.44) with moisture content in the landfill that actual methane flux data are unavailable. Moisture content is a major ecological parameter on the anaerobic biodegradability of the solid waste in the landfill. Another methodology is to use L0,Landfill/L0,BMP ratio. The L0,Landfill could be determined by a regression analysis if methane flux data were avail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